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Chloral hydrate 및 midazolam으로 진정되지 않는 환아에서 chlorpheniramine의 진정 효과

        김희나(Hee Na Kim),윤병규(Byung Gyu Yoon),배시영(Si Young Bae),손영준(Young Joon Son),김영옥(Young Ok Kim),우영종(Young Jong Woo) 대한소아신경학회 2013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21 No.1

        목 적 : Chloral hydrate 및 midazolam으로 진정되지 않는 신경계 질환 환아에서 chlorpheniramine의 진정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2007년 9월부터 2012년 9월까지 전남대학교병원 소아청소년과 외래에 방문하였던 신경계 질환을 가진 환아 중 뇌파 및 뇌 영상 검사를 위해 Chloral hydrate 및 midazolam으로 진정을 시 도하였으나 실패한 환아에서chlorpheniramine를 병용 투여하였던 총 33명을 대상으로 나이, 성별, 체중, 약물 용량 및 기저 신경계 질환에 따른 진정 효과를 조사하였다. 결 과: 총33명의 신경계 질환 환아들 중 26명(78.7%) 에서 진정에 성공하였으며 7명(24.2%) 에서 진정에 실패 하였다. 연령에 따르면, 0-4세에서는 100%, 5-9 세에서는 84.6%에서 진정에 성공하였으나, 10-14 세에서는 50%의 가장 낮은 진정 성공률을 보여 나이가 어릴수록 진정 효과가 높았다. 체중, 성별, 약물 용량에 따른 chlorpheniramine 진정효과의 차이는 없었으며, 발달 지연 및 경련성 질환,기질적 뇌병변의 유무에 따른 진정 효과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주의력 결핍과잉 행동 장애를 동반한 환아에서 28.5% 로 진정 성공률이 매우 낮았다(P= 0.002). 약제 투여 에 의한 심각한 부작용은 보이지 않았으며 1명에서 일시적인 청색증이 발생하였다. 결 론: 신경계 질환 흰아에서 chloral hydrate 및 midazolam으로 진정 효과가 없는 경우 chlorpheniramine을 추가했을 때 78.7%의 높은 진정 효과를 보였다. 특히 진정 효과는 연령이 낮을수록 높았으며 심각한 부작용은 관찰되지 않았다. 3가지 약물을 사용하였음에도 진정이 되지 않은 환아들 중에 는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 장애를 동반한 경우가 많았으며 이에 대한 추후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 된다. Purpose: To evaluate the sedative effect of add-on chlorpheniramine in children with neurologic diseases failed to sedate with chloral hydrate and midazolam. Methods: Thirty three patients who had not been successfully sedated with oral chloral hydrate and intravenous midazolam for diagnostic examinations were attempted for sedation with intravenous chlorpheniramine at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rom September 2007 to September 2012. The sedative effects were compared on the aspects of age. sex. body weight. dosage of drug and underlying neurologic conditions with the retrospective review of medical records. Results: Among 33 patients, 26 (78.7%) were successfully sedated and 7 (24.2%) failed to sedate. The success rates were different by age and were decreased with age: 100% (0-4 y), 84.6% (5-9 y). 50% (10-14 y). The effectiveness of chlorphcniramin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terms of ages. sex. body weight. dosage of drug and the underlying neurologic conditions-developmental delay. seizures or organic brain lesions. Children with ADHD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however. showed a significantly lower success rate than the non-ADHD patient group (28.5%, P=0.002). No serious side effects were reported except for one case with transient perioral cyanosis. Conclusion: Chlorphenirarnine appeared highly effective in children with neurologic diseases who had not been sedated with chloral hydrate and midazolam. The efficacy seemed to be higher in the younger age groups and lower in children with ADH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