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어머니가 실행하는 SCERTS 모델 기반의 사회 의사소통 중재가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와 어머니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윤라임(Yun, RaIm),이소현(Lee, SoHyun) 한국자폐학회 2020 자폐성 장애연구 Vol.20 No.3

        Based on a SCERTS(Social Communication, Emotional Regulation and Transactional Support) model,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mother-implemented social communication intervention on interaction between mothers and their young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ASD) at home. A multiple probe design was used across three mothers and their young children with ASD under three experimental conditions: baseline, intervention, and maintenance. Intervention consisted of education of mothers, SCERTS assessment process (SAP), and feedback. This study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intervention resulted in increases in young child-initiated interaction and decreases in mother-initiated interaction within mother-young child interactions across all participants. Second, the effects of intervention were maintained four weeks after the intervention was completed.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the future directions of the related research were also discussed. 본 연구는 어머니가 매일 가정의 일과 활동에서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에게 SCERTS 모델 기반의 사회 의사소통 중재를 실행하는 것이 유아와 어머니의 상호작용을 향상시키는지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하여 유아 시작 상호작용 행동 발생률이 낮은 만 3-5세 사이의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와 어머니 3쌍을 대상으로 대상자 간 중다 간헐 기초선 설계를 사용하여 중재를 실시하였다. 중재는 어머니 교육과 SCERTS 모델의 사회 의사소통 진단 및 피드백으로 진행되었으며, 이를 통하여 어머니 시작 상호작용 행동과 유아 시작 상호작용 행동의 발생률을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가정에서 어머니가 실행하는 SCERTS 모델 기반의 사회 의사소통 중재는 참여 유아와 어머니의 상호작용에서 어머니 시작 상호작용 행동 발생률 감소와 유아 시작 상호작용 행동 발생률 증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으며, 3쌍의 참여 유아와 어머니 모두 중재 종료 4주 후에도 그 효과가 유지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근거로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를 위한 가정에서 어머니가 실행하는 SCERTS 모델 기반의 사회 의사소통 중재의 의의에 대해 논의하였으며, 향후 연구에 대해 제언하였다.

      • KCI등재

        중도 자폐 범주성 장애 학생의 가족 참여 및 가족 지원에 대한 범위연구

        장영선(Chang, Youngseon),김유리(Kim, Yu-Ri),윤라임(Yun, RaIm) 한국자폐학회 2022 자폐성 장애연구 Vol.22 No.1

        본 연구는 중도 ASD 학생의 가족이 참여한 국내외 논문의 전반적 동향을 살펴보고, 가족 참여 및 가족 지원 관련 연구의 내용과 범위를 체계적으로 탐색함으로써 향후 중도 ASD 학생의 가족 관련 연구의 방향과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을 위해 문헌연구의 한 방법인 범위연구(scoping review) 방법을 활용하였으며, 범위연구 방법의 절차에 따라 2000년부터 2021년까지 출판된 총 37편(국내 27편, 국외 10편)의 논문을 선정하고, 선정된 선행연구의 전반적 연구 동향과 하위 연구주제별 분석을 실행하였다. 문헌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연구에 비해 국외연구의 편수가 상대적으로 적었고, 유아기와 학령기 ASD 학생의 부모가 주로 연구에 참여하였다. 둘째, 지금까지 연구들은 가족 중심 중재, 가족의 경험, 가족 지원 요구라는 3가지 연구주제를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그 중 가족 중심 중재 관련 연구가 가장 많았고 이들은 주로 단일대상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토대로 가족 지원 실천 현장과 후속연구에 주는 시사점이 논의되었다. This study explores research on family involvement and family support for families of severe ASD students and suggests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Using scoping review as one type of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a total of 37 studies were selected and analyzed in terms of research trend and themes. The findings suggested that the number of international studies was relatively small and parents of young children and school-aged students with ASD took part in the majority of research studies. Second, previous studies were categorized into three themes, including family-based intervention, family experiences, and family support. Most studies were related to family-based intervention and they employed a single-case research design. Based on these findings, practical implication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자폐 범주성 장애 아동의 인지 프로파일 연구 동향 : DSM-5 적용 이후를 중심으로

        이소현(Lee, SoHyun),남보람(Nam, Boram),장영선(Chang, Youngseon),윤라임(Yun, RaIm),선아(Yoon, Sun Ah) 한국자폐학회 2022 자폐성 장애연구 Vol.22 No.1

        연구목적: 자폐 범주성 장애(ASD)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인지 프로파일을 조사한 선행 연구들을 체계적으로 고찰하여 ASD의 인지적 특성을 종합적으로 분석해본 후 교육적 시사점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DSM-5의 진단적 틀을 사용하기 시작한 2014년-2020년까지의 ASD 아동을 대상으로 인지 프로파일을 분석한 국외 학술지에 게재된 연구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18세 미만의 대상군과 세부적인 인지 프로파일의 수치를 제시한 연구만을 포함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의 분석 대상 논문은 총 22편이었다. 연구결과: ASD 아동의 FSIQ 점수 범위는 68.7-98.9로, 비언어성 지능이 전체 지능과 언어성 지능보다 높은 경향성을 보였다. 분석 대상 연구 중 12편에서 지적장애를 동반하지 않은 ASD 아동의 프로파일을 분석하여 ASD 고유의 인지 프로파일을 제시하였다. WISC 프로파일 분석 결과, 지각추론 영역 및 토막짜기 소검사에서 높은 점수를, 처리속도와 작업기억 영역, 이해 및 기호쓰기 소검사에서 낮은 점수를 받았으며, 소검사 점수 간 불균형한 능력 차이를 보였다. 결론: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이에 따른 시사점과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Purpose: This study systematically reviewed the cognitive profiles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and comprehensively examined their cognitive characteristics. Method: The studies included were published in international journals in 2014-2020 after the DSM-5 diagnostic criteria began to be used, included children with ASD under the age of 18, and had detailed cognitive profiles. Systematic search procedures resulted in 22 studies for review. Results: The FSIQ range was 68.7-98.9, showing that nonverbal intelligence tended to be higher than overall and verbal intelligence. Twelve studies analyzed the profiles of HFASD and suggested the ASD-specific cognitive profiles. A WISC profile analysis showed high levels on the Perception/Reasoning Index and Block Design and low levels on Process Speed Index, Working Memory Index, Comprehension, and Coding. There were discrepancies between the subtest scores. Conclusion: According to the results, implications for further studies were sugges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