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CLUE-s 모형을 이용한 경안천 유역의 미래 토지이용변화에 따른 유출 및 유사량 특성분석

        박종윤 ( Jongyoon Park ),이지완 ( Jiwan Lee ),조형경 ( Hyungkyung Joh ),유영석 ( Yungseok Yu ),신형진 ( Hyungjin Shin ),김해도 ( Haedo Kim ),이광야 ( Kwangya Lee ),김성준 ( Seongjoon Kim ) 한국농공학회 2011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1 No.-

        최근 급격한 도시화 · 산업화가 진행되고 인구가 증가하면서 토지이용의 변화를 가져왔다. 그로인한 도심지의 증가와 산림 및 농경지의 감소는 우수의 불투수지역 확대와 유수기능을 저하 시키며, 물순환 체계 왜곡에 따른 하천 유출량의 변화와 함께 비점오염원에 의한 수질악화 등의 문제를 야기시킨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SWAT) 모형을 이용하여 경안천 유역(262 km2)을 대상으로 미래 토지이용변화가 유출 및 유사량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Landsat TM(1987, 1991, 1996, 2004), ETM+(2001) 위성영상으로부터 시계열 토지이용도를 작성하고, 과거 강우-유출 및 유사량 변화 특성을 분석하였다. 미래 토지이용변화 예측은 Conversion of Land Use and its Effects at Small regional extent(CLUE-s) 모형을 이용하여 2030, 2060, 2090년도의 토지이용변화 시나리오를 작성하였다. 이때, 토지이용과 변화요인 간의 상관관계 분석을 위해 총 12개의 Driving Factor(Altitude, Slope, Aspect, Soil Group, Depth and Type, Distance to Stream, City, National Road and Local Road, Population Density)를 선정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SWAT 모형의 적용성 평가를 위해 1999~2003년까지의 유출량 및 유사량 자료를 이용하여 모형의 보정을 실시하였으며, 2004~2007년까지의 자료를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그 결과, 검보정 기간 동안의 유출량에 대한 모형 효율성 계수는 0.79, 유사량에 대한 결정계수는 0.80으로 분석되었다. 과거 시계열 토지이용도를 바탕으로 토지이용항목별 변화 추세를 분석한 결과, 도시화에 따른 불투수면적 증가로 인해 유역평균 Curve Number(CN)값이 증가하였으며, 지표유출량의 증가를 초래하여 유사량의 유출특성 변화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과거에서 현재, 미래 토지이용변화에 따른 경안천 유역의 유출특성 변화를 정량적으로 규명함으로써 효율적인 유역관리 방안을 수립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