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자기공명 타액선조영검사 시 고체 타액분비 촉진제의 유용성

        최관우(Kwanwoo Choi),이호범(Hobeom Lee),나사라(Sara Na),손순룡(Soonyong Son),유병규(Beonggyu Yoo) 한국방사선학회 2016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Vol.10 No.8

        본 연구는 MR Sialography 검사 시 사용되는 타액분비촉진제를, 새로운 고체 자극제로 대체하더라도 신호강도는 차이가 없다는 것을 증명함으로써, 기존 액체 자극제의 사용으로 인해 발생되는 문제점을 개선하 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2016년 1월부터 동년 8월까지 타액선 질환이 없는 60명을 대상으로, 액체 자극제와 고체 자극제를 적용한 그룹으로 나누어 각각 영상을 획득한 후, 자극제의 종류에 따른 이하선 관의 신호강도를 비교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기존의 액체 자극제(59.42±15.74)에 비해 새로운 고체 자극제(61.80±1 3.99)를 사용했을 경우 신호강도는 4.01%(2.38) 증가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자극제의 종류에 따른 신호강도는 차이가 없음으로 새로운 고체 자극제를 사용하면 기존의 액체 자극제의 사용으로 인해 발생되는 여러 가지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다. This study is aimed to prove that a solid sialogogue can improve the defects of the liquid one and substitute it with no differences in the signal intensity. From January to August 2016, 60 patients with no salivary gland diseases were enrolled.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s follows; a group with a liquid sialogogue and the other group with a solid sialogogue. MR images were acquired and signal intensities of the parotid glands were compared. As a result, the signal intensities of liquid and solid sialogogues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59.42±15.74 and 61.80±13.99, respectively) In conclusion, a solid sialogogue was verified to have no signal intensity differences from the liquid one while it could improve the defects of the liquid sialogogu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