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양식장의 회귀율과 용수이용 가능성 평가

        유나영 ( Nayoung Yu ),원철희 ( Chulhee Won ),신민환 ( Minhwan Shin ),이수인 ( Suin Lee ),최중대 ( Joongdae Choi ) 한국농공학회 2015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5 No.-

        물고기나 해조, 조개 등의 양식을 전문적으로 하는 곳을 양식장이라 한다. 이러한 양식장 중 북한강 상류에 위치하고 있는 산천어 양식장은 지자체에서 개최하는 축제의 공익적 성장을 도모하고, 지역 경제의 회생과 발전에 기여하고자 설립되었다. 그러나 산천어 양식장은 치어 20만 마리와 성어 40톤에 필요한 용수를 취수할 수 있도록 지하수 집수정을 설치하여 운영 했으나, 양식용수가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북한강 하천수를 사용하기 위한 방안으로 양식장으로 유입되는 용수량과 양식장에서 사용 후 퇴수되는 방류 수량을 조사하여 회귀율을 산정하였다. 또한 적정 취수원의 선정과 용수이용 가능성 평가를 위해 양식장 인근 하천의 수심별 수온을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산천어 양식장의 일평균 유입량은 5,144.7 m<sup>3</sup>/d로 조사되었으며, 일평균 방류량은 4,959.6 m<sup>3</sup>/d로 조사되었다. 배출량과 유입량의 비를 이용하여 산정한 회귀율은 96.4%로 조사되었다. 또한 용수이용 가능성을 평가한 결과 양식장 주변에서 양식장으로 공급되는 용수는 춘천호가 유일한 용수공급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산천어 양식에 필요한 용수의 적정 온도는 18℃로 하천 주변의 전 조사지점이 산천어 양식장의 용수로 이용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조사기간 동안 가뭄으로 인해 춘천호로 유입되는 하천수량이 감소하여 춘천호 수위가 내려가는 상황이 조사되었으며, 여름철 대기 기온의 상승으로 표층의 수온이 25℃ 이상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산천어 양식장 용수의 적정 취수원은 수심 5 m 이하에서 취수해야 할 것으로 보여진다. 또한 조사기간 동안 강우가 발생하지 않아 강우시 상류 지류에서 발생할 수 있는 탁수에 대한 대처 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보여진다.

      • 최적영농관리기법(BMPs)을 이용한 무 재배지의 비점오염원 유출 특성 분석

        박재진 ( Jaejin Park ),송지예 ( Jiye Song ),유나영 ( Nayoung Yu ),이수인 ( Suin Lee ),최중대 ( Joongdea Choi ) 한국농공학회 2014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4 No.-

        본 연구는 밭에서 비점오염물질의 비구조적 삭감효과를 정량화하기 위하여 사질토 특성을 가진 밭에 평지(3%) 완경사(8% 내외) 등 2개의 경사도에 대해 각 4개씩 총 8개의 시험포를 조성하였다. 각 시험포장의 크기는 폭 5 m, 길이 30 m로 외부 유입수를 차단을 위한 경계벽을 매설하였으며, 하류부에는 유출수를 차집할 수 있는 gutter(차집시설)와 H-flume을 설치하였다. 또한 강우시 플륨을 통해 배출되는 유출수의 수위(유량)를 측정하고, 수질시료를 채취 하기 위하여 수위계와 자동채수기를 설치하였다. 밭은 3%와 8% 각 시험포 마다 경운시험포 2개와 무경운 시험포 2개로 경운하였다. 자연강우 조사는 2회 (2013년 8월23일/94.2 mm, 2013년 9월 13일/72.0 mm), 인공강우 실험은 강우강도 약 30mm/h로 경사도별로 1회씩 수행하였다. 수질분석은 유출수 발생시 수질시료를 채취하여 수질오염공정시험법에 따라 SS, BOD, T-P, T-N 농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자연강우 시 경운방법 대비 무경운 방법의 유출율 저감효과는 경사도 3%에서 22.8%, 경사도 8%에서는 약36.6% 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오염부하는 수질항목별로 3%에서 45~95%, 경사도 8%에서도 약 50~99% 저감된 것으로 나타났다. 인공강우 결과 자연강우와 동일하게 무경운이 경운보다 유출율과 오염부하가 저감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출율 저감효과는 약 62.8%, 오염부하는 BOD 81.6%, TN 83.9%, TP 88.3%가 저감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와 같이 자연강우와 인공강우 실험에서 유출율과 오염부하 발생과 저감효과에 차이는 있었지만, 경운보다는 무경운 방법이 유출률과 오염부하를 저감할 수 있는 방법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무경운의 경우 기존 작물 수확 후 남아 있는 뿌리와 잔류물 등에 의해 빗물의 토양 침투능을 증가시켜 유출량이 감소했기 때문으로 보여지며, 토양이 교란되지 않아 토양 내에 있는 오염물질의 배출이 적은 것으로 보여진다. 그러나 본 연구는 2번의 자연강우와 1번의 인공강우의 모니터링을 통한 분석 결과이기 때문에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축산 농가 밀집지역 비점오염물질 분석

        이수인 ( Suin Lee ),신재영 ( Jaeyoung Shin ),주소희 ( Sohee Ju ),유나영 ( Nayoung Yu ),최중대 ( Joongdae Choi ) 한국농공학회 2015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5 No.-

        축산 농가에서 발생하는 비점오염은 관리 주체가 확실하지 않으며, 축산 비점오염물질의 정량화와 하천에 미치는 영향에 연구가 미흡하며, 이에 따라 관리 대책 마련에 있어서도 어려움이 따른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축산농가가 밀집되어있는 소유역을 선정하고 강우시 모니터링을 실시하여 축산 비점오염이 하천 수질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지역은 경상북도 영천지 북안면 지역으로 유역 내 7개의 돈사가 위치하고 있으며, 가축두수는 약 18,000 두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가축분뇨는 1개의 시설의 제외한 나머지 6개 시설에서 개별 처리하여 퇴·액비화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니터링 기간은 2015년 3월부터 8월까지이며 총 6회의 강우사상에 대하여 모니터링 하였다. 유역의 상류 지점부터 말단 지점까지 하천을 따라 총 6개 지점을 선정하여 유량을 산정하고 수질 농도를 분석하였다. 모니터링 결과 축산 농가가 하천에 미치는 영향은 적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본 연구는 단기간의 모니터링에 의한 결과로 보다 장기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축산농가에서 발생하는 오염물질에 대한 정량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