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연과학편 : 12주간의 복합운동과 유산소운동이 편마비 환자의 고유수용성 위치감각과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유경태(KyungTaeYoo),이만균(ManGyoonLee),성순창(SoonChangSung) 한국체육학회 2008 한국체육학회지 Vol.47 No.4

        본 연구의 목적은 12주간의 복합운동과 유산소운동이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 환자의 고유수용성 위치감각과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피검자로 참여하여 연구를 완료한 편마비 환자 39명(복합운동 집단 13명, 유산소운동 집단 13명, 통제 집단 13명) 중 복합운동 집단의 피검자는 20분의 트레드밀 걷기와 20분의 세라밴드를 이용한 저항성운동을 실시하였고, 유산소운동 집단의 피검자는 20분의 트레드밀 걷기와 20분의 고정식 자전거 타기를 실시하였다. 두 집단 모두 12주간, 주 3회 트레이닝을 실시하였다. 각 집단 간, 그리고 시기별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반복 이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유수용성 위치감각과 관련하여, 복합운동 집단은 열린고리 운동의 환측과 닫힌고리 운동의 환측에서 유의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고, 유산소운동 집단은 열린고리 운동의 환측을 제외한 모든 부분에서 향상되는 경향을 보인 반면, 통제 집단에서는 유의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근활성도와 관련하여, 복합운동 집단은 모든 항목에서 유의하게 증가되었고, 유산소운동 집단은 닫힌고리 운동 중의 내측광근 환측과 건측을 제외한 변인에서 유의하게 증가된 반면, 통제 집단은 열린고리 운동의 대퇴직근 환측에서만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따라서 복합운동 트레이닝이 유산소운동 트레이닝에 비하여 고유수용성 위치감각의 개선과 근활성도의 증가에 더 효과적인 것으로 밝혀졌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combined training and aerobic training on proprioceptive perception and muscle activity in hemiplegic stroke patients. Thirty nine patients (combined exercise training group (CET: n=13), aerobic exercise training group (AET: n=13), and control group (CON: n=13)) volunteered to participate in and completed the study. Subjects in CET performed treadmill walking (20 min) and resistance exercise(20 min) using Thera-band in a session, and subjects in AET performed only aerobic exercise composed of treadmill walking(20 min) and cycling on a stationary (20 min) in a session. Subjects in the two training groups performed the exercise three sessions per week for 12 weeks.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were as follows: 1) Proprioceptive perception improved significantly in CET, showed a trend of improvement in AET, but did not show significant change in CON. 2) Muscle activities increased significantly in all variables in CET, increased significantly in all variables except OVM of paretic side and non-paretic side in AET, but increased significantly in only ORF of paretic side in CON. It was concluded that both the combined and aerobic training program had positive effects on proprioceptive perception and muscle activity in hemiplegic patients. Moreover, combined aerobic and resistance exercise training was more effective in enhancing proprioceptive perception and muscle activity than aerobic trai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