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우 임신 기간별 사료급여 수준이 혈중 대사물질, 신체충실지수 및 번식 효율에 미치는 영향

        박명선(Myungsun Park),장선식(Sunsik Jang),조상래(Sang-Rae Cho),강성식(Sung-Sik Kang),박병호(Byoungho Park),원정일(Jeongil Won),진실(Shil Jin),이현정(Hyun-Jeong Lee) 한국산학기술학회 2022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3 No.10

        본 연구는 한우 임신우의 임신 단계별 사료 급여량의 차이가 혈중 대사물질과 신체충실지수, 번식 효율 및 분만 후 회복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공시축은 보증씨수소 혈통의 기초축군 14 두(63 개월령)와 유전적 다형성 발굴을 위해 사양중인 계통축군 66 두(37 개월령)를 공시하여 시험에 이용하였다. 시험사료는 배합사료 3 kg, 볏짚 4.5 kg를 대조구의 전체 임신 기간 및 처리구의 임신 전기에 급여하였고, 처리구의 임신 중기 및 말기에 배합사료 4.5 kg, 볏짚 6.5 kg를 급여하였다. 실험 결과, 기초축군에서는 임신 단계별 일당증체량이 유의적으로 처리구에서 높았고, 계통축군에서는 일당증체량과 신체충실지수(BCS)에서 대조구에 비해 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p <0.05). 혈액대사산물에서는 콜레스테롤이 계통축군(임신 말기)과 기초축군(임신 중기)에서 유의적으로 대조구에 비하여 처리구에서 높았고(p <0.05), 기초축군의 임신 말기에서 혈중 요소태질소 함량이 처리구에 대비하여 대조구에서 높은 함량을 보였다(p <0.05). 반면에, 같은 시기의 총 단백질 함량은 대조구에 비하여 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p <0.05). 암소의 임신기간, 발정재귀일수는 수치적으로 대조구에서 느렸으나, 경향은 보이지 않았다(p >0.05). 분만 후 체중에서는 대조구에 비해 처리구에서 낮았고(p <0.05), 분만 후 BCS는 처리구에서 높았으나 유의적인 경향은 보이지 않았다(p >0.05). 임신후기와 분만 후 체중 및 BCS의 차이 및 발정재귀일을 상관성 분석하였다. 전체 BCS의 차이와 발정재귀일은 0.31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성을 보였다(p <0.05). 따라서, BCS의 회복이 높을수록 발정재귀일이 빠른 것으로 조사되었다. 결론적으로, 한우 임신 중기 및 말기의 사료 증량 급여는 암소의 생산성과 분만 후 회복 및 번식 효율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Different feed amounts consumed during each period of pregnancy in Hanwoo cows were investigated for their effects on reproductive efficiency and postpartum recovery in Hanwoo cows. Totally, 14 cows (63 months old) from basal breeding (Base) and 66 heads (37 months old) from line breeding (Line) were examined. The control group (C), constituting 40 heads, was fed 3 kg of concentrate and 4.5 kg of rice straw during the entire pregnancy, whereas the treatment group (T) of 40 heads was fed increased amounts (concentrate, 4.5 kg; rice straw, 6.5 kg) during the middle-to-late period of pregnancy. We observed that the average daily gain (ADG)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T group of Base cows, and ADG and body condition scores (BC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T group of Line cows (p <0.05). The blood urea nitrogen of Base (mid) was T (late). Compared to C (control), the cholesterol was significantly higher in Line (late) and Base (mid) cows (p <0.05). The postpartum body weight was lower in T than in C (p <0.05).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as obtained between differences in BCS and the date of return to estrous (0.31, p <0.05). Our results indicate that increased feed for Honwoo cows during the middle-to-late period of pregnancy could contribute to increased productivity of cows, recovery after calving, and improved reproductive efficien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