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유아들이 느끼는 겨울 숲 자유놀이의 의미

        우명숙,이유미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8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9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meaning of winter forest free play felt by children. The study subjects were 20 five-year-old children in the Forest Class in S kindergarten located in K City, Kyunggi Province. The investigator as their sub-homeroom teacher monitored their free play in the forest from November 3, 2017 to the end of January 2018 36 time, and performed interviews with paintings in addition to analyzing the meaning of their happiness. Based on the study results, first was ‘the release of instinct to run’ as the meaning of their happiness from their free play in the winter forest. The children who left limited indoor place to go to the wider place ran without feeling the cold weather. Second, it was ‘play with imagination and creation.’ In the winter forest where there was a lack of playing things, they acknowledged the snow-covered forest as the new space and enjoyed the process to make their own imaginative play using the snow and nature. Third, it was ‘challenge, cooperation, and a sense of collaborative accomplishment.’ They showed scenes to take care each other’s safety when challenging their friends with difficult play situations. The fourth one was ‘calm space to think and search something.’ The children often sought their own space to think in the wide forest space and became silent because they were absorbed by their activities. The fifth one was ‘meeting with my friends and nature.’ They showed they experienced the different weather and changes in insects by seasons, and considered nature as a living friend, and accordingly, consider living creatures to be preciou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hanges in the educational spac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and changes in the new role of teachers are proposed using winter forest free play for children.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들이 느끼는 겨울 숲 자유놀이의 의미를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 참여자는 경기도 K시 소재 S유치원 만5세 숲반 유아 20명이다. 연구자는 이들의 부담임으로서 2017년 11월 3일부터 2018년 1월 말까지 총 36회에 걸쳐 유아의 숲 자유놀이를 참여관찰하고 부가적으로 면담 및 그림그리기를 실시하여 그 안에 담긴 자유놀이의 의미를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유아들이 느끼는 겨울 숲 자유놀이의 의미는 첫째, ‘뛰고 싶은 본능의 발산’이다. 겨울철 실내놀이에 한정되었다가 넓은 공간으로 나온 유아는 추워도 추운 줄 모르고 뛰고 또 뛰었다. 둘째, ‘상상하고 창조하는 놀이’이다. 놀이 재료가 부족한 겨울 숲에서 눈으로 덮인 숲을 새로운 공간으로 인식하고 눈과 자연물을 이용해 자신들만의 상상의 놀이를 만들어 가는 과정을 즐겼다. 셋째, ‘도전과 협력, 공동의 성취감’이다. 친구들과 힘을 합하여 힘든 놀이를 만들어 도전하며 서로의 안전을 챙겨주는 모습도 볼 수 있었다. 넷째, ‘사색하고 탐구하는 조용한 공간’이다. 넓은 숲 공간에서 유아들은 때론 사색하기 위해 혼자만의 공간을 찾기도 하고, 활동에 몰입될수록 조용해지는 것도 볼 수 있었다. 그리고 다섯째, ‘내 친구, 자연과의 만남’이다. 계절에 따른 날씨와 곤충들의 변화를 체험하고 자연을 살아있는 친구처럼 여기며 자연스럽게 생명을 소중히 여기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유아들이 느끼는 겨울 숲 자유놀이의 의미를 통해 유아교육기관의 교육공간의 변화와 교사의 새로운 역할 변화를 제안하였다.

      • KCI등재

        ‘좋은 사회’는 삶의 만족을 높이는가: 5개국 개인 삶의 만족과 사회갈등해소역량

        우명숙,김길용,조병희,유명순 서울대학교 국제학연구소 2013 국제지역연구 Vol.22 No.2

        This article examines how individuals’ perceptions of social conflict and social integration influence their life satisfaction, using the <Life and Society> survey data collected from Korea, Germany, Italy, Greece, and Turkey in 2012. This study, expanding the previous studies on life satisfaction, emphasizes the social dimension of factors that affect life satisfaction. We argue that there are three different levels of social conflict consisting of economic, relational, and value conflicts. Individual life satisfaction depends on each level of social conflict. At the same time, individual life satisfaction also depends on individual trust in social integration capacity to manage social conflicts. The overall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finds that affluent, trustful individuals with material and growth-oriented values tend to be satisfied with their lives. Second, if they have positive views on their society’s capacity to deal with social conflicts, individuals tend to be satisfied with their lives. As we expected, some differences among countries are found when we compare each country’s results. Income level, experience of economic crisis, trust, value-orientation have different implications in explaining individual life satisfaction in each country. Furthermore, individuals’ views on the various dimensions of their society’s capacity to deal with social conflicts affect their life satisfaction in a different way in each country. 이 글은 2012년도에 한국, 독일, 이탈리아, 그리스, 터키 5개국에서 실시된 「삶과 사회에 관한 조사」자료를 분석하여 사회갈등과 사회의 갈등해소역량에 관한 개인의 인식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이 연구는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주로 국가간 거시비교와 심리학적인 개인주의적 접근으로 탐구했던 기존 연구와 다른 질문을 던져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에서 주목하고자 하는 것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으로서 사회관계의 잠재적인 갈등과 이러한 갈등을 해소할 수 있는 사회의 역량이다. 이를 통해 이 연구는 결국 한국을 비롯한 비교국가들의 삶의 만족도를 설명하는 갈등양상과 갈등해결의 사회 역량의 효과를 검증해 보고자 한다. 총 5,232 명의 응답 자료를 분석한 결과, 사회갈등 인식의 측면에서 보면, 경제적으로 안정되고, 신뢰를 가지며, 물질주의적이고 성장주의적 가치를 추구하는 개인들의 삶의 만족도가 그렇지 않은 개인들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예상한 바대로 사회갈등해소역량에 대한 긍정적 인식은 개인들의 삶의 만족도를 높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사회갈등 인식수준에서는 소득수준, 경제적 위기의 경험, 신뢰, 탈물질주의 또는 복지지향의 가치관 등의 영향요인들과 삶의 만족도 사이의 관계가 국가에 따라 영향의 정도는 물론 유의성에 있어서 서로 달리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점은 사회갈등해소역량 인식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도 유사하게 확인되었다.

      • 제3의길 사회투자 관점과 복지정책의 공공성

        우명숙 한국사회학회 2008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 논문집 Vol.2008 No.12

        이 글은 ‘제3의길’ 사회투자국가론이 말하는 사회투자는 특히 개인화라는 사회적 조건의 변화에 적합한 복지국가의 전환을 위해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는 것을 살펴보고, 사회투자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사회투자국가론의 사회투자는 개인의 적응력 향상과 생산적 투자라는 좁은 의미로 규정되어 복지정책의 공공성 강화의 필요성을 논하지 못한다는 점을 보여주고 있다. 제3의길의 사회투자 관점은 복지정책을 주로 ‘사회투자적’ 복지로 간주함으로써, 보다 넓은 복지정책의 목표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사회투자 정책과 재분배적 정책이 반드시 대립적이지 않고 동시에 강화해 나갈 수 있다는 점을 보여주지 못한다. 사회투자의 중요성은 보다 넓게 복지정책의 공공성을 어떻게 강화할 수 있는가라는 목표를 분명하게 제시하는 논의들과 함께 강조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능력주의와 성역할 태도의 사회적 균열: 능력주의 태도와 성역할 태도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우명숙,남은영 강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22 사회과학연구 Vol.61 No.2

        이 글은 능력주의 태도가 성역할 태도에 어떤 차이를 가져오는지를 탐구한다. 성역할 태도 연구들은 평등한 성역할이 성평등 성취에 핵심적인 것으로 보고, 주로 어느 집단이 더 평등한 성역할을 지지하는지, 또는 반대하는지를 보여줌으로써 성역할 태도의 사회적 균열을 드러내고자 했다. 이 글은 능력주의 태도가 성역할 태도의 새로운 균열을 드러내는지를 확인해 보고자 한다. 능력주의 태도는 ‘근로와 노력에 의한 성공’에 대한 동의 정도를 말하며, 성역할 태도는 공적영역에서의 성역할 태도로서 남성주도성에 대한 태도와 사적영역에서의 성역할 태도로서 여성정체성에 대한 태도로 구분한다. 남성주도성 성역할 태도는 남성리더십과 남성생계부양자 모델에 대한 태도를 말한다. 여성정체성 성역할 태도는 전통적 어머니 역할과 주부 역할에 대한 성역할 태도를 포함한다. 세계가치관조사 7차 조사(2017-2020)의 한국 자료를 분석한 연구 결과를 보면, 능력주의 태도는 남성주도성 성역할 태도에서 뚜렷한 차이를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난다. 반면 능력주의 태도는 여성정체성 성역할 태도와는 유의한 관계를 갖지않는 것으로 나타난다. ‘근로와 노력에 의한 성공’에 대한 지지는 전통적인 남성리더십과 남성생계부양자 모델에 대한 반대로 이어지지만, 전통적인 어머니 역할과 주부 역할에 대한 찬반과는 관계가 없다. 능력주의 태도는 공적 영역에서의 평등한 성역할을 강화하는 데 기여할 수 있지만, 사적영역에서의 평등한 성역할과는 무관하다. 능력주의 태도는 평등보다는 공정과 관련된 태도라고 할 때, 능력주의 태도에 동의하는 사람들은 기회의 평등을 보편적으로 확대하는 정책을 지지할 수 있을 것이다. 능력주의에 대한 강한 지지가 있는 사회에서는 공적영역의 성역할에서의 평등성을 강화하는 데 있어 보편적 기회의 확대가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