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금문도 냉전생태의 형성과 해체

        오준방 ( Chun Fang Wu ),정근식 ( Keunsik Jung ) 한국사회사학회 2014 사회와 역사 Vol.0 No.104

        동아시아 냉전-분단체제는 매우 독특한 경계선을 가지고 있었다. 한국의 DMZ 와 서해5도의 NLL에 상응하는 중국과 대만의 경계는 대만의 마조도 및 금문도가 중국 대륙과 마주하고 있는 해안이다. 이 지역들은 냉전체제하에서 극단적 대치를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독특한 경관과 생태를 만들어왔다. 이 글은 자유진영의 최전선이었던 금문도에서 어떻게 냉전생태가 형성되었고, 탈냉전과 더불어 해체 되어가는지를 보여준다. 금문도의 경관은 방어형 냉전생태에 속하는 것으로, 그것을 만들어낸 핵심적 요소는 지뢰매설이었다. 금문도의 주민들은 오랫동안 냉전생태에 적응하면서 살아왔다. 탈냉전과 함께 시작된 금문도의 지뢰제거 프로젝트는 소금문도에 있는 용사보와 철한보라는 토치카를 활용한 지뢰박물관 설립으로 귀착되었다. 이것은 동아시아 최초의 지뢰박물관으로, 금문도 전장관광의 특징을 보여주는 항목이다. 이 글은 주민들의 지뢰에 대한 인식과 태도, 그리고 지방정부의 지뢰제거를 위한 노력들을 살펴보고, 최근에 만들어진 소금문도의 지뢰박물관을 전장관광 (battlefield tourism)이라는 맥락에서 분석한다. The East Asia Cold War·division regime have some sensitive boundaries as Korea’s DMZ, West Sea’s NLL, and Mazu and Kinmen lines between mainland China and Taiwan. These areas created a unique landscape and ecology by showing the extreme confrontation visually under the Cold War. This study showed the gradual process of Kinmen’s Cold war landscape and ecology, as the front line of defense for Taiwan, and the appropriation of it based on the battlefield tourism. Kinmen’s landscape belonged to the Cold War ecology, in which the key elements was defined by buried landmines. In addition, this study explored how the local people lived with landmines, and the process of landmine clearance resulted in the seyablishment of the Museum of the Landmines. While the landmine clearance project was proceeding, the Kinmen local government and Lieyu Township Administration renovated two pillboxes, as a main body of the museum during 2010~2013. This shows the distinctive characteristic of Kinmen’s battlefield tourism. Kinmen’s battlefield tourism is based on the complex memories of the military and the inhabitants.

      • KCI등재

        탈냉전과 금문학 -형성, 성과, 과제

        오준방 ( Chun Fang Wu ) 한국사회사학회 2015 사회와 역사 Vol.0 No.107

        20세기에 동아시아의 냉전사에서 가장 격렬한 ‘냉전의 섬’이었던 금문도에 대한 학문적 관심은 1992년 계엄령 해제 이후 커지기 시작하여 근래에는 독자적인 연구영역으로서의 금문학을 형성하기에 이르렀다. 이 글은 금문학이 형성되는 과정과 연구주체, 그리고 주요성과를 검토함으로써 금문학을 체계적으로 이해하고 앞으로의 연구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중국 및 대만, 그리고 금문도내에서의 연구주체들을 리뷰하고 민남문화와 이민네트워크, 그리고 냉전과 탈냉전의 경험이 금문학을 구성하는 주요 주제임을 밝히고자 한다. 아울러 정치적으로는 대만에 속하면서 문화적으로는 민남지역에 속하는 금문도 주민들의 정체성에 관한연구가 앞으로의 중요한 과제임을 보여주려고 한다. Kinmen is known as the ‘Cold War Island’, because the most fierce battle of the 20th century Cold War history has happened here. Academically, the concerns of Kinmen research began after the lifting of Martial Law in 1992. In recent years, Kinmen research becomes an independent issue. This study reviews the formation, research topics, and achievements of Kinmen research. I try to understand Kinmen research more specifically and explore future direction. By comparing the research institutions in China, Taiwan and Kinmen, this study sorts out three main constituent parts of Kinmen research, including Minnan Culture, overseas Chinese period, and clod war period and post-clod war period. Kinmen politically belongs to Taiwan, but culturally belongs to Minnan area, so this study finds out an important future topic regarding Kinmen residents’ identity probl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