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 Study on the 1st National GIS project Policy in Korea

        오종우,Oh, Jong-Woo The Society of Digital Policy and Management 2004 디지털융복합연구 Vol.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에서 시도된 국가지리정보체계(NGIS)구축의 1단계사업에 대한 정책적인 측면에서 해외의 NGIS와 비교하여 2, 3단계 사업의 성공화를 도출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첫 장에서는 Masser(1999)에 의한 세계 NGIS 추진 10개국의 정책과 핵심분야를 한국의 NGIS와 비교 분석하여 장단점을 제시하였다. 2장에서는 한국의 NGIS정책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분석하여 3장에서 한국 NGIS의 핵심5대 분야와 연계한 결과 및 평가의 구체성과 4장에서 한국의 미래 NGIS의 방향을 동시에 제시하였다. 세계적으로 90년대 후반에 시작된 국가지리정보체계의 구축사업 중에서 11개국에 대한 선행정책연구 분석에서 볼 때 한국이 포함된 7개 국가에서 정부주도형의 하향식(Top-down)형식으로 수행하였으며, 3개 국가는 기존 수행체계를 발전시킨 상향식(Bottom-up) 형식이었고 나머지 한 국가는 절충형의 후발주자에 속하여, 한국의 NGIS 1단계사업은 국가주도형의 정책이 주종을 이루는 하향식 정책의 국책사업으로 밝혀졌다. 한국의 1단계 NGIS사업의 정책과 분야는 1995년부터 정부주도 정책에 따라서 2억 $(중앙정부: 64%, 지방정부: 36%)의 예산으로 2000년까지 11개 중앙부처가 참여하고 5개 분과위원회(총괄분과, 지리정보분과, 토지정보분과, 기술개발분과, 표준화분과)에서 10개 사업(지형도전산화사업, 주제도 전산화사업, 지적도전산화사업, 지하시설물도전산화사업, 지하시설물 관리체계개발시범사업, 공공GIS활용체계개발사업, GIS기술개발, GIS전문인력육성, GIS표준화사업, 국가GIS지원연구사업)을 수행한 대규모 국책연구개발사업이었다. 따라서 한국의 미래 NGIS 정책방향은 국가공간정보기반조성을 통한 디지털국토구축으로 국가 Agenda인 'u코리아'를 실현시키고 선진형 대민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정해질 것이다.

      • SCIESCOPUSKCI등재
      • 동굴퇴적물(洞窟堆積物)의 형성과정(形成過程)에 관한 연구(硏究)

        오종우 ( Jong Woo Oh ) 한국동굴학회 2008 동굴 Vol.89 No.-

        동굴 퇴적물의 형성과정은 1단계 기권 (Atmosphere): 빗방울 (H2O) 이 대기중에서 CO2의 혼합으로 산성비 (H2CO2)가 되어 석회암 (CaCO3)에 떨어져서 최초의 용식작용이 시작된다. 2단계 토양권 (Pedosphere): 산성비와 석회암성분이 합쳐 형성된 가용성 화합물 (Ca(HCO3)2)은 植生腐植에 의한 토양 (Humic acidic soils) 에 의해 기반암의 용식이 촉진 되어 지표에는 Karren과 석문 (石門Natural Bridge), 와지 (Dolines, Sinkholes) 지형을 형성시키고, 암석의 분순물은 지표에 남겨져서 결국 적색풍화토 (Residuum, Risidual Redish Soils)를 만든다. 3단계 암권 (Lithosphere): 용식작용에 의해 지상에서 지하로 확대되어진 모암의 균열을 타고, 지하의 공간이 지하수의 유입과 유출에 의해 점차 확대되어 동공형의 Conduites; Voids; Shaft 이라는 특수지형을 형성시키고, 동굴의 천정으로부터 나온 Ca(HCO3)2 는 탄산염의 지속적인 분해 공급에 의해 동굴내에는 종류석, 석순, 유착석 (Speleothem)등의 새로운 동굴지형 (Speleoscape)을 조성하게 된다. 4단계 수권 (Hydrosphere): 동굴의 형성작용을 거친 물은 동굴지하수로 잔여 Calcite를 함유한 채로 유출 (Spring) 된다. 동굴을 떠난 잔여 Calcite는 또다시 하천유역에 침전시켜서 석회화 단구형의 집적지형 (Tufa Formation: Tufa Dam, Tufa Flowstone)을 최종적으로 동굴을 나와 외벽이나 하천의 바닦에 형성하는 과정을 거치면서 카르스트 지형의 발달과정이 1차적인 순환을 마치게 된다.

      • 양단굴 생성물의 이화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오종우 ( Jong Woo Oh ),오승훈 ( Sung Hoon Oh ),신대봉 ( Dae Bong Shin ) 한국동굴학회 2006 동굴 Vol.75 No.-

        Yangdan Cave displays as a Vadose Cave rathre than a Phreatic Cave due to its fluvial activated ramnants of the cave beds and walls. Geochemistry experiments of the speleothem (stalactite and stalagmite)were generated in order to find out the cave material characteristics using XRD. The results present that the composition of the cave materials consists of Calcite, Dolomite, Quartz, K, K-Feldspar. Plagioclasc, Illite, and Kaolinite. These materials commonly exhibited less mineral composition than other caves. In terms of calcite compostion of the cave the upper cave materials (d=3.049) contain less than lower cave materials (d=3.055). Finally the calcite compostion of the cave materials between stalactite (d=3.055) and stalagmite (d=3.054) displays simillar values.

      • 유비쿼터스 동굴시스템에 관한 연구

        오종우 ( Jong Woo Oh ) 한국동굴학회 2009 동굴 Vol.90 No.-

        본 연구의 목적은 동굴환경의 황폐화에 대한 지속가능한 동굴의 연구, 관광 및 보존을 위하여 첨단정보화 기술인 유비쿼터스 정보기술을 활용한 새로운 차원의 동굴시스템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러한 환경문제를 극복할 수 있는 방안으로 첫째, 동굴에 대한 법제도나 조례 등으로 강력한 관리방안이 제시되거나 휴식년제 도입 등으로 행정적인 방안이 있으며, 둘째, 최첨단 정보기술을 적용하여 효율적이고 지속가능한 동굴의 관리로 지하동굴 자원의 청정환경을 도모하는 방법이 있다. 유비쿼터스 동굴의 구축에는 첨단 자동정보시스템 인 감지시스템(USN), 모니터링시스템(RFID/UFID), 무선통신시스템(WiBro/WiFi), 공간정보시스템(GIS), 항공레이저시스템(LiDAR), 저열 조명시스템(ELD) 및 통합관리시스템 등이 적용되었다. 이러한 유비쿼터스 동굴 구현에 필요한 첨단화 정보기술분야의 산업적인 융합에 의한 차세대 동굴살리기 명품솔류션 구현을 통하여 공간정보기반의 유비쿼터스 동굴관리시스템의 모델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u-cave모델은 정책의 적용에 따라 동굴의 자연관리, 생태관리, 시설관리, 관광관리, 문화관리 및 소득창출 등의 시너지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것으로서 동굴의 자연환경보존 기반의 수단으로서 기여 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implementation of the karst infrastructure systems for the u-cave. IT based u-cave represents spatial information derived fields, such as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the cave boundaries, physical configuration of the cave locations and formation characteristics of the karst history. These three aspects relate to karst infrastructure systems, cave monitoring center and spatial database implementation. In terms of the IT based u-cave infrastructure implementation systems, the u-cave depends on IT contents and spatial features. uIT contents are strongly related to IT839 strategy due to the national agenda is "-Korea" Cave should contribute to u-cave construction through the spatial analyses methods including USN, RFID, LiDAR, ELD, and GIS technologies. For these methods various cave functions will guide to u-cave`s distribution, location, and characteristics of karst. The infrastructure consists of landforms and speleothem facilities, underground related facilities, environmental protection systems, and cave planning. These six units of the cave infrastructures have spatial databases that consist of spatial configuration, such as 4-D in order to draw the spatial distribution of the limestone and lava caves. IT based u-cave system infrastructure implementation should deal with IT convergence to generate fusion affects.

      • KCI등재

        체호프『갈매기』의 복합 메커니즘

        오종우(Jong Woo Oh) 한국노어노문학회 2017 노어노문학 Vol.29 No.3

        체호프는 많은 단편소설들을 발표하고 널리 작가로서 인정받고 있던 시절에 희곡 『갈매기』를 썼다. 그는 이미 예술가로서의 자긍심을 표현하기도 했지만, 희곡 장르에서는 아직 뚜렷한 예술적 성취를 보여주지 못하고 있었다. 그러다가 희곡 『숲의 정령』이 실패한 이래 6년 동안 숙고한 끝에 『갈매기』를 내놓는다. 그런데 체호프는 『갈매기』를 의도적으로 연극의 규범을 어기면서 썼다. 문학과 예술의 장르는 그 자체로 의미를 발산하는 메커니즘이기 때문에, 이러한 사실에서 체호프의 현실에 대한 예술적인 인식이라는 문제의식을 읽을 수 있다. 『갈매기』는 일상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고 평가를 받고 있지만 사실 등장인물들은 비현실적인 삶을 살고 있다. 그것은 바로 극장의 무대가 탈현실의 공간으로 설정된 것으로 밝혀진다. 비현실의 공간인 무대에서 사는 인물들의 일상적인 모습은 궁극적으로 진짜 삶이 될 수는 없다. 극장 자체가 현실이 아닌 환상 세계인 점을 체호프는 이러한 틀로 밝히는 것이다. 극장이라는 곳이 비현실이며 이 비현실을 살고 있는 무대의 인물들의 삶이 일상이 아니라는 사실을 통해서 현실과 예술의 관계를 고민하게 만든다. 코미디 『갈매기』는 보통의 인식을 초월하지 않는 일상의 풍경을 보고 있는 듯한 착각을 일으키지만 인물들의 호숫가 생활은 결코 그들의 진짜 현실일 수 없어서 역설적으로 일상적이지 않다. 그렇게 사실과 진실이 어긋난다. 그곳이 바로 체호프의 극장이다. Chekhov wrote the play Gull when he was widely recognized as an author of short stories. Although he had already expressed his pride as an artist, he had not yet demonstrated a clear artistic achievement in plays. After deliberating for six years after the play Leshii had failed, he published Gull. Chekhov wrote Gull intentionally breaking the norms for plays. Since the genres of arts are mechanisms that emanate meanings by themselves, we can read Chekhov’s critical mind that can be defined as artistic recognition of reality. Although Gull is regarded as showing the image of everyday life, the characters are actually living unrealistic lives. This is identified from the fact that the stage of the theater was set as a space for escape from reality. The everyday lives of the characters living on the stage, which is a space of unreality, cannot ultimately be real lives. Chekhov reveals the fact that the theater per se is not a reality but a world of fantasy through this frame. Through the fact that the place called theater is unreality and the lives of the characters living in the unreality are not everyday lives, he makes the audiences agonize over the relationship between reality and arts. The comedy Gull causes an illusion that makes the audiences believe that they are watching ordinary scenery, but the scenery is not ordinary because the characters’ lives in the lakeside can never be their true reality. Fact and truth are discrepant from each other as such. That is Chekhov"s theater.

      • 돈사 내 3차원 공기질 분포 분석 방법 연구

        오종우 ( Jong-woo Oh ),이정규 ( Jungkyu Lee ),이준엽 ( Jun-yeob Lee ),이동훈 ( Donghoon Lee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8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3 No.2

        밀폐된 돈사 내부의 주요 환경 인자들을 균일하고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은 많은 에너지 낭비와 밀집사육으로 인해 발생하는 먼지, 미생물 유해가스 등의 오염물질이 시설 내에 축적되어 돼지와 작업자 모두 유해한 환경에 노출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인공적인 환기 시설을 사용하고 있지만 외부로부터 오염된 공기, 미세먼지를 다량 유입시켜 오히려 돈사 내 공간을 오염시킨다. 최근 환경문제로 대두된 먼지는 입자상 물질로 입자의 크기가 화학적 조성에 따라 미치는 영향은 다르나, 일반적으로 입자의 크기가 작은 미세먼지일수록 폐에 대한 악영향은 커진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돈사 내 환경개선을 위해서 내부 환경을 정확히 측정하고 진단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돈사 내부 특정 지역마다 먼지의 농도가 다른 것을 인지하고 다양한 지점에서 실시간 측정 후 3차원으로 내부 환경을 시뮬레이션 한다. 미세먼지 측정에는 먼지센서(DSM501, SAMYOUNG S&C, Korea)가 사용되었다. 먼지센서 내부에는 유입된 먼지가 히터의 열에 의해 상승기류를 타고 측정 영역을 지나가게 되면, LED (Light Emitting Diode)로부터 빛이 먼지에 의해 산란되어 탐지기에서 신호로 인식하게 된다. 인식된 신호는 증폭 및 필터링을 거쳐 PWM (Pulse Width Modulation)신호로 출력된다. 메인보드(ATmega8/88_Xbee, Atmel Corporation, USA)는 지그비 모듈(XBee Series)과 연결하여 통신을 지원한다. 실험은 충북대학교 부속 농장 내에서 진행되었다. 바닥면적 822*444cm, 높이 305cm로 벽체 4면 중 2면은 외부로 통하는 문과 창문이 있다. 덕트 2개와 케이지 총 4대가 위치하며, 돈사 내부 각 모서리 지점에 파이프를 설치한다. 가로, 세로, 높이를 일정하게 나눠 먼지 측정기를 설치한다. 3주간 실험이 진행되었으며 저장소에서는 1초에 1회 데이터가 저장되도록 설정하였다. 취득한 결과를 분석하기 위해 매트랩(MATLAB, R2014a, USA)을 사용하였다. 3차원 시뮬레이션 결과 환풍구가 위치한 지역이 가장 낮은 먼지 농도를 보였으며, 그 주변지역도 상대적으로 낮은 농도를 보였다. 환풍구 맞은 편 아래지역이 가장 오염된 농도로 나타났으며 돼지의 소변이 모여 있는 것은 먼지 농도가 낮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토양 현장 분석을 위한 Edge 컴퓨팅 신호 처리 방안 연구

        오종우 ( Jong Woo Oh ),박지원 ( Ji Won Park ),이동훈 ( Dong Hoon Lee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7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2 No.2

        국립농업과학원에서 온라인을 통해 제공하는 흙토람 서비스는 국내 1400만 필지의 농경지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현장에 실효적인 서비스가 되기 위해선 지속적인 조사가 병행되어야 하며, 이를 위한 현장신속 분석 장치의 개발이 진행 중에 있다. pH, EC, NO3-, PO4-, 수용성 K+, 수용성 SO4-, 수용성 Cl- 등 측정 항목이 증가함에 따라 현장 분석 시스템에 요구되는 신호 처리 성능 증가가 필요하다. 기존의 1Ghz 내외의 AP (Application Processor)를 이용한 현장 분석 장치는 400~720 nm에 해당하는 분광밴드를 측정하고 상응하는 적정 밴드의 흡광도를 계산하는 원리로 작동한다. 다변량 회귀모델을 사용하는 일부 토양속성의 경우 스펙트럼 전처리과정을 동시에 수행하므로 이에 알맞은 적정 AP가 선정되어야 하나, 휴대장비의 소형화, 전력 소모량의 최소화, 발열의 최소화를 목적으로 하는 휴대형 장비의 제약으로 인해 고속 AP를 채용하기에 무리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1.2 Ghz의 속도로 작동하는 모바일 프로세서 Quad-core Cortex-A7 (Alliwinner Technology, Zhuhai, Guangdong, China)을 2식을 이용하여 총 8개의 쓰레드를 동시에 처리할 수 있는 소형 Edge 컴퓨팅 시스템을 제작하였다. LCD와 분광센서에 별도로 내삽되어 있는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총 10식의 코어를 이용하고, AP부의 코어의 크기는 3.54 × 3.54 × 4 cm로 소형화 하였다. 총 8개중 2개의 쓰레드는 스펙트럼의 전처리에 사용하고 6개는 흡광도 분석 보정을 개별적으로 수행하였다. 운영체제는 UbuntuCore 16.04버전를 이용하였으며, 병렬 컴퓨팅 구현을 위하여 MPICH (Message Passing Interface) 3.3a2 버전을 이용하였으며, IPC (Inter Process communication)을 위하여 20Mhz SPI (Serial Peripheral Interface)를 이용하였다. 결과적으로 분광 센서 소자에서 지체된 시간 (5~20초)을 제외하고 분광 스펙트럼 측정 후 소요되는 시간만을 고려하였을 때, 총 6개의 항목 측정에 2초 이내의 계산 시간을 보였다. 직렬적으로 처리하는데 소요된 시간 4~5초에 비하여 120% 정도 내외의 성능향상을 보이면서 전력 소모량은 50% 이하로 줄일 수 있었다. 추후 증가하게 될 토양 속성 및 그에 따른 Time complexity에 상응하는 마이크로 병렬 Edge computing기술에 대한 연구를 통해 토양 현장 진단 시스템의 대민 실효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 우로굴 생성물 미발달 특성에 관한 연구

        오종우 ( Jong Woo Oh ),오승훈 ( Sung Hoon Oh ),김원진 ( Won Jin Kim ),오승우 ( Sung Woo Oh ),변태근 ( Tae Gun Byun ) 한국동굴학회 2006 동굴 Vol.70 No.-

        The Wooro cave speleothem displays comparatively very less developed characteristics due to its unactive fluviation, less soluable carbonate rocks, and disconnected short voids. The Wooro cave consists of stalactite, stalagmite, flowstone, rimstone, and moonmilk, however, it is not exhibite soda straw, cave pearl, pisolites, curtain, drapery, cave flower, anthodite, cave coral, helictite. heligmite, boxwork, pendent and, cemented shield. The main cause of the underdevelopment speleothem of the Wooro cave probably less peneturated waters or less calcite compostion of the carbonate rock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