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추신경계발달 재활운동이 편마비 환자의 시ㆍ공간적 보행요소와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

        오동건(DongGunOh),성순창(SoonChangSung),이만균(ManGyoonLee) 한국체육학회 2013 한국체육학회지 Vol.52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중추신경계발달 재활운동과 일반 재활운동이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 환자의 보행능력과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었다. 중추신경계발달 재활운동집단(9명)과 일반 재활운동집단(9명)의 대상자에게 일일 2회, 각 30분씩, 주 5일, 그리고 4주간 해당 운동을 처치하였고, 처치 전ㆍ후에 시ㆍ공간적 보행요소와 균형능력을 측정하여 집단 간, 그리고 검사 간에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비마비측 보장시간, 마비측 보장, 비마비측과 마비측 활보장, 그리고 마비측 보장/하지장 비율에서 검사의 주효과가 나타났고, 중추신경계발달 재활운동집단의 비마비측 보장시간, 마비측 보장, 그리고 마비측 보장/하지장 비율에서 유의한 향상이 나타났다. FAP 점수에서 집단과 검사의 상호작용이 유의하게 나타났고, 중추신경계발달 재활운동집단은 증가한 반면, 일반 재활운동집단은 감소하였다. 2) 균형능력관련 변인 중 X축 동요지수와 총 동요지수에서 눈을 뜬 상태와 감은 상태 모두 집단과 검사의 상호작용이 유의하게 나타났고, 모든 변인에서 검사의 주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중추신경계발달 재활운동집단의 경우 모든 변인에서 유의한 향상이 나타난 반면, 일반 재활운동집단에서는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 환자의 보행능력과 균형능력의 향상을 위하여 중추신경계발달 재활운동이 일반 재활운동보다 더 효과적이라고 결론지을 수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herapeutic exercise for CNS-development and general therapeutic exercise on temporal-spatial gait parameters and balance ability in hemiplegic stroke patients. Subjects in therapeutic exercise for CNS-development group (CNS group; n=9) and general therapeutic exercise group (GEN group; n=9) exercised their assigned exercise for 30 min/session, two sessions/day, five days/wk, for four weeks. Temporal-spatial gait parameters and variables related to balance ability were measured and compared between two groups and between pre- and post-test. Main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were as follows: 1) There was a significant main effect of test in step time at non-paraplegic side, step length at paraplegic side, stride length at both sides, and step/extremity ratio at paraplegic side. Step time at non-paraplegic side, step length at paraplegic side, and step/extremity ratio at paraplegic side changed significantly in CNS group. Functional ambulation profile (FAP) score increased in CNS group, whereas it decreased in GEN group, resulting in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group and test. 2) All sways related to balance ability decreased significantly in CNS group, whereas no significant change in the sways was found in GEN group. It was concluded that the therapeutic exercise for CNS-development was more beneficial for improving gait ability and balance ability than general therapeutic exercise in hemiplegic stroke patients.

      • KCI등재

        자연과학편 : 8주간의 카이로프랙틱과 PNF 운동 복합처치가 전방머리자세 환자의 통증자각도와 자율신경기능에 미치는 영향

        오동건(DongGunOh),성순창(SoonChangSung),이만균(ManGyoonLee) 한국체육학회 2015 한국체육학회지 Vol.54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카이로프랙틱과 PNF 운동의 복합처치가 전방머리자세 환자의 통증자각도와 자율신경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30명의 전방머리자세 환자를 카이로프랙틱 집단(n=10), PNF 운동 집단(n=10), 그리고 카이로프랙틱+PNF 운동 복합처치 집단(n=10)에 무선할당 한 후, 각 집단별로 일일 25분, 주 3회, 8주간 해당 프로그램에 참여하도록 하였다. 처치 전과 후에 통증자각도와 자율신경기능을 측정하여 집단 간, 그리고 검사 간에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모든 통증자각도관련 변인이 세 집단 모두에서 유의하게 개선되었으며, 카이로프랙틱+PNF 운동 복합처치 집단에서 나머지 두 집단과 비교하여 더 유의하게 개선되었다. 2) 모든 자율신경기능관련 변인이 세 집단 모두에서 유의하게 개선되었으며, 스트레스 저항과 스트레스 지표의 경우 카이로프랙틱+PNF 운동 복합처치 집단에서 나머지 두 집단과 비교하여 더 유의하게 개선되었다. 본 연구에서 적용한 세 가지 처치 모두 전방머리자세 환자의 통증자각도와 자율신경기능의 회복에 기여하였으며, 특히 카이로프랙틱과 PNF 운동을 병행하여 처치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중재방법인 것으로 결론지을 수 있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effects of combined treatment of chiropractic and PNF exercise on pain selfawareness scale and autonomic nervous function in forward head posture patients. Thirty forward head posture patients were divided into one of three groups, i.e., chiropractic group (n=10), PNF exercise group (n=10), and combined chiropractic and PNF pattern exercise group (C+P group; n=10). Subjects in three groups went through in each program for 25 min/session, three times/wk for eight weeks. Pain self-awareness scale and autonomic nervous function were measured and compared among groups and between pre- and post-test.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1) All variables regarding pain self-awareness improved significantly in all three groups. The changes in C+P group were more significant than other two groups. 2) All variables regarding autonomic nervous function improved significantly in all three groups. The changes in stress resistance and stress index in C+P group were more significant than other two groups. It was concluded that all three interventions would be effective for functional recovery of the pain self-awareness and autonomic nervous function in forward head posture patients. Especially, combined treatment of chiropractic and PNF exercise would be the most effective interven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