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차수조건에 따른 지하수위의 변화와 흙막이에 미치는 영향

        오경훈 ( Oh Gyeong Hoon ),이달원 ( Lee Dal Won ) 한국농공학회 2008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08 No.-

        Recently, the excavations in urban area have been conducted more deeper and closer to the contiguity building to utilize the underground space effectively. The safety of retaining wall in excavation depends on the properties of soil layer composition, the construction methods, the place and situation of excavation, the level and flow of ground water and so on. In this study, effects on the retaining wall and the change of ground water according to the waterproof conditions have been researched in the area with the comparatively high ground water level. In the case of no installation of waterproof, the change of ground water level occurred most greatly during excavation, after excavation completion the ground water level became, down to the excavation level and was sustained steadily. Otherwise, in the case of installation on waterproof, the ground water level was changed slightly during excavation level after excavation completion. The earth pressure and the moment acting the retaining wall and the lateral displacement of retaining wall were largest in the zone established waterproof and the earth pressure, moment and lateral displacement in the transition zone between the zone established waterproof and the zone not established waterproof were some what more larger than those in the zone not established waterproof.

      • 일정변형률(CRS)압밀시험에서 변형률속도가 압밀정수에 미치는 영향

        이달원 ( Lee Dal Won ),오경훈 ( Oh Gyeong Hoon ),임진혁 ( Lim Jin Hyuk ) 한국농공학회 2008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08 No.-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consolidation parameter with rate of strain at the constant rate of strain(CRS) consolidation test using the remolding clay and then compared their correla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As the rate of strain increases, the settlement was rapidly decreased, while the ratio of the silty sand was increased, the range of decrease of settlement was reduced. As the rate of strain and the ratio of the silty sand increases, the void ratio didn't showed large difference. As the ratio of the silty sand was increased, the coefficient of consolidation showed very large variation, while the rate of strain increases, it didn't showed a clear variation.

      • 순환골재와 쇄석의 배수성능 감소특성

        이달원 ( Lee Dal Won ),이정준 ( Lee Jung Jun ),오경훈 ( Oh Gyeong Hoon ),임진혁 ( Lim Jin Hyuk ),김시중 ( Kim Si Jung ) 한국농공학회 2009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09 No.-

        본 연구에서는 수평배수재로서 순환골재와 쇄석의 배수성능 감소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실내 모형실험을 통하여 6개 case 별로 배수성능을 비교분석하고, 현장적용시에 막힘 현상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1. 수평배수층(순환골재, 쇄석) 속으로 상부 성토재와 하부 점토가 혼입되어 배수성능 감소현상을 6개 case별로 분석한 결과, 미립자의 혼입으로 인해 배수성능이 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PP mat가 막힘 현상을 방지하고 최소화 하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현장시공시 반영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2. P.P. mat를 포설하지 않았을 경우에 상부 성토층의 미립자가 수평배수층으로 혼입되는 깊이는 배수층 두께(30cm)의 6.7~13.3% 범위이고, 하부 점토층이 혼입되는 깊이는 배수층 두께의 3.3%~6.7% 범위로 공극이 감소하여 미립자 유입에 의한 순환골재 및 쇄석의 통수단면감소는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 연약지반에서 수평배수재로서 순환골재와 쇄석의 적용성 평가

        이달원 ( Lee Dal Won ),김시중 ( Kim Si Jung ),오경훈 ( Oh Gyeong Hoon ),임진혁 ( Lim Jin Hyuk ),이정준 ( Lee Jung Jun ) 한국농공학회 2009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09 No.-

        본 연구에서는 연약지반개량시에 수평배수재로서 순환골재와 쇄석의 적용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내 모형실험을 통하여 수평 및 수직투수계수를 구하고, 현장시험시공을 실시하여 침하량 및 공극수압 등의 계측결과를 비교분석하여 현장 실용화 방안 및 기술적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1. 수평배수재로서 순환골재와 쇄석의 입경별 투수시험 결과를 모래를 기준으로 비교ㆍ분석하면, 순환골재의 경우에 수평투수계수(k<sub>h</sub>)는 1.8~5.1배, 수직투수계수(k<sub>v</sub>)는 1.2~2.7배 정도 더 크게 나타났고, 쇄석의 경우에 수평투수계수(k<sub>h</sub>)는 2.1~3.3배, 수직투수계수(k<sub>v</sub>)는 2.0~4.0배 정도 더 크게 나타났다. 따라서 순환골재 및 쇄석은 기존에 수평배수재로서 사용되어 왔던 모래의 대체재료로서 충분한 배수성능을 나타내서 현장 적용성이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2. 순환골재와 쇄석의 적용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00 도로 건설공사”의 연약지반현장에 순환골재(25mm, 40mm)와 쇄석(25mm, 40mm)을 포설하여 현장시험시공을 수행하고, 침하량 및 공극수압 등의 계측자료로부터 수평배수재로서 적용성을 검증하였다. 3. 수평배수층의 두께 (50, 80, 100cm)에 따른 관입속도(㎝/s)는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고, 입경에 따른 관입저항은 순환골재와 쇄석 모두 SCP와 PBD 장비 관입시 초기 저항이 크므로 약간 다르게 나타났지만 관입시간 차이는 0.4-8sec 정도로 미미하여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4. 시험시공현장을 중심으로 모래(해사), 순환골재, 쇄석의 상차도 가격을 비교한 결과, 순환골재는 모래의 34.6%, 쇄석은 73.1% 정도로 나타나 순환골재> 쇄석> 모래 순으로 경제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 연약지반에서 수평유공관 간격의 설계방법

        이달원 ( Lee Dal Won ),임진혁 ( Lim Jin Hyuk ),김시중 ( Kim Si Jung ),이정준 ( Lee Jung Jun ),오경훈 ( Oh Gyeong Hoon ) 한국농공학회 2009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09 No.-

        본 연구에서는 연약지반에서 수평배수재로서 순환골재와 쇄석을 사용하였을 경우에 배수성능 부족으로 인한 압밀지연 현상을 분석하고, 동수경사와 매트저항을 고려한 합리적인 수평유공관 간격의 설계방법을 비교분석하고자 한다. 1. 수평배수층의 간극수가 원활히 배출되기 위한 합리적인 배수거리(L)는 배수층의 두께가 증가할수록 직선적으로 증가하고, 순환골재는 모래보다 1.7배, 쇄석은 1.8배 정도 더 크게 나타났다. 따라서 모래와 동일한 조건에서 순환골재와 쇄석은 유공관 간격을 크게 할 수 있기 때문에 공사비와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다. 2. 침하속도(S)가 증가함에 따라 동수경사(h<sub>w</sub>)는 직선적으로 증가하고, 배수거리(L)은 침하속도가 0.5㎝/day 까지는 급격하게 감소하였다. 시험시공 구간에서 적정한 배수거리는 모래는 99m, 순환골재와 쇄석은 167-179m 범위로 나타났으나, 성토기간중에 압밀침하량이 크게 발생하고, 부등침하 및 장비주행에 따른 지지력 확보를 위한 여유두께를 감안하여 수평배수층의 두께(H<sub>m</sub>) 및 배수거리를 결정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3. SCP와 PBD개량구간에서 압밀도가 90%일 때 압밀지연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수평배수층의 두께가 증가할수록 배수저항은 점차로 감소하여 순환골재와 쇄석은 거의 유사하고, 모래는 순환골재와 쇄석보다 2.9-3.3배 정도 크게 나타났다. 4. 간격비(n)가 10에서 20으로 증가할 경우에 배수저항은 약 8배 정도, 드레인 타입간격(d)이 1.0m에서 2.0m로 증가할 때 약 3-4배 정도 급격하게 감소하였고, 매트저항이 작을 경우에 수평거리에 따른 압밀도는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아 유공관 간격 및 드레인 타입간격 검토시 설계자료로서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