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원봉사자에 의한 아로마 복부경락마사지 제공이 입원 뇌 병변 장애환자의 변비완화에 미치는 효과

        김태임(Kim, Tae-Im),남미정(Nam, Mi-Jung),방영이(Bang, Young-Ie),연영순(Yeon, Young-Soon) 한국산학기술학회 2012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3 No.5

        본 연구는 배변 문제가 있는 뇌 병변 장애 입원 환자에게 자원봉사자들이 주 3회의 아로마 복부경락마사지 중재(7분/1회)를 4주간 적용하여 변비완화에 미치는 효과를 검정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 설계는 단일군 전후설계의 원시실험연구이며, 연구대상은 5개월 이상 입원중이며 배변문제가 있는 뇌 병변 장애환자 38명이었다. 연구기간은 2011년 5월 9일부터 6월 19일까지 총 6주간 이었다. 변비완화 효과는 좌약 또는 관장 적용 횟수, 배변 횟수, 배변 양 으로 측정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를 SPSS 19.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와 Repeated Measures ANOVA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간의 경과에 따라 좌약 또는 관장횟수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 다(F=1.03, p=.361). 둘째, 시간의 경과에 따라 배변 횟수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F=2.14, p=.133). 셋째, 시간의 경과에 따라 배변 양이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F=3.56, p=.033). 시점 간을 비교 분석한 결과 사전시기 보다 중재 1-2주(p<.05)와 중재 3-4주(p<.01)에 배변 양이 증가하여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자원봉사자에 의한 주 3회의 아로마 복부경락마사지는 입원 뇌 병변 장애 환자의 변비완화에 효 과가 있는 비 침습적인 간호중재라고 결론지을 수 있으며, 간호실무 현장에서 아로마 복부경락마사지 중재를 적용할 수 있는 경험적 근거와 지침을 제공한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추후 본 연구결과의 확산을 위해 다양한 대상자에게 반복 연구를 실시하여 경험적 증거를 축적할 것을 제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7 minutes a day, 3 times a week, for 4 weeks of abdominal meridian massage with aroma oils (AMMAO) by Volunteers on the relief of constipation among hospitalized disability patients with brain lesions. One group pretest‐posttest quasi experimental research design was used. Subjects were 38 hospitalized disability patients with brain lesions. Data were collected from May 9 to June 19, 2011. Frequencies, mean, standard deviation and Repeated Measures ANOVA with SPSS 19.0 were us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AMMAO.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noted in the amount of defecation(F=3.56, p=.033) by time. 2.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ed in the frequency of defecation, the frequency of suppository or enema application by time. Accordingly, it is concluded that AMMAO would be an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in relief of constipation among hospitalized disability patients with brain lesions. Therefore it is recommended that AMMAO be used in clinical practice as an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for hospitalized disability patients with brain les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