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문학 : 우계(牛溪) 증답시(贈答詩)에 나타난 도학적(道學的) 성향(性向) 연구(硏究)

        양훈식 ( Hoonshik Yang ) 온지학회 2015 溫知論叢 Vol.0 No.44

        牛溪成渾의 贈答詩에 나타난 도학적 성향을 三敎交涉의 세 측면에서 살펴본 것이 이 논문의 핵심내용이다. 우계의 증답시에는 세 가지 특징이 나타났다. 첫째는 내용 전개에 있어 進德修業의 德交양상이 나타났다. 둘째는 和光同塵의 僧俗이 드러나고 있다. 그리고 셋째는 隱逸自適하며 선비로서의 바른 자세를 잃지 않은 超邁한 雅儒를 지향하였다. 이처럼 우계증답시에 나타난 세 가지 전개 양상은 그가 도학자로서 지향하는 점이었고 삶의 여유가 드러나는 징표였다. 우계 성혼은 구봉, 율곡, 송강 뿐 아니라 李濟臣(1536-1583), 安天瑞, 朴守慶, 安敏學(1542∼1601), 鄭작(1533∼1603), 李海壽(1536-1598)와 문도에 해당하는 尹耆獻(1548∼?), 石泉安昶(1552∼?), 全命碩, 叢桂堂鄭之升, 李希參과 증답시를 통해 도학자로서 삶의 자세를 유지하고 이를 끊임없이 추구하였다. 이는 일상생활에서 선비로서의 바른 자세를 잃지 않은 雅儒의 모습이고 儒佛仙에 구애받지 않은 진정 도학자의 자세라 할 수 있다. 그리고 무명의 스님과 신광사 스님, 그리고 석담정사의 栗谷弟子들과 강론하고 僧俗이나 師弟를 따지지 않고 교유하였다. 이것은 朱熹가 백록동 서원에서 은거할 때 남헌 장식, 동래 여조겸, 상산 육구연이라는 벗과 교유하며 제자들과 강론하고, 유불선의 지향을 담지한 채 도학을 완성하던 그들의 모습과 같다. 우계의 증답시는 道學者의 삶을 구체적으로 보여 준 道學詩의 일면이다. 이는 유학의 進德修業의 德交, 佛學의 화광동진의 高雅, 仙學의 隱逸自適의 超邁라는 정신을 바탕으로 교유하며 시를 주고받은 도학자의 起居動靜임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볼 때 우계 성혼의 증답시에 나타난 삼교교섭을 이뤄 낸 도학적 성향은 일상생활 속에서 尙賢정신을 구현하고자 한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d Dohak (Tao learning) inclination of Ugye Seonghon from point of view of Samgyogyoseob. Ugye Jeungdapsi had three features: First, Deokgyo of Jindeoksueob at development of the contents, second, Seungsok of Hwagwandongjin, and third, much excellent Ayu that did euniljajeok (hid and enjoyed himself) and did not lose good attitude of Seonbi. As such, aforementioned three features that Taoist scholars looked for identified composure of the life. Ugye Seonghon lived life of Taoist scholar of Yun Ki-hun (1548∼?), Ahn Chang (1552∼?), Kim Myeong-sun, Jeong Ji-seung and Lee Hui-cham by Jeungdapsi who had road to learning of not only Gubong, Yulgok and Songgang but also Lee Je-shin (1536-1583), Ahn Cheon-seo, Park Su-gyeong, Ahn Min-hak (1542∼1601), Jeong Jak (1533∼1603) and Lee Hae-su (1536-1598). Ugye Seonghon had attitude of Seonbi at daily life to be Ayu and to live life of Taoist scholar free from Confucianism, Buddhism and Zen. Ugye Seonghon taught with help of unknown Buddhist monk, Shingwangsa Buddist monk and Yulkok disciples at Seokdamjeongsa and to keep human relations regardless of teacher and disciple. Such a scene followed Ju Hui``s life to make friend with Jang Sik, Yeo Jo-gyeom and Yuk Gu-yeon at Baekrokdong Seowon and to teach disciples and to cognize learning of Confucianism, Buddhism and Zen and to complete Taoist learning. Ugye``s Jeungdapsi showed life of Taoist scholar to be a part of Dohakshi. Ugye had Deokgyo of Jindeoksueob, Goa of Hwagwangdongjin of the Buddhism, and spirit of Cho Mae of Euniljajeok of Zen, and Taoist scholar``s Gigeodongjeong that exchanged Shi. Ugye Seonghon realized Sanghyeon spirit at daily life by Dohak inclination by Jeungdapsi to do Samgyogyoseob.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