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초등학생과 예비교사의 자료 해석 특징

        임재근 ( Jae Keun Lim ),조선희 ( Sun Hee Cho ),앙일호 ( Ii Ho Yang ) 한국교원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1 청람과학교육연구논총 Vol.17 No.1

        이 연구는 과학 수업에서 자주 학생들이 접하는 자료해석의 과정에 대하여 인지적 발달의 단계가 다르다고 판단되는 초등학생과 대학생의 과학적 자료 해석을 비교 분석하여 그 특정을 조사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초등학생 10명, 예비 교사 5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동의한 피험자 들이며, 연구의 방법은 사전연구를 통 해서 과제를 개발하였으며, 이를 피험자들에게 투입하였으며, 연구자는 관찰, 녹화, 인터뷰를 통해 다양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 초등학생과 대학생의 자료 해석 활동에서 변인 인식, 계 산, 표지의 사용, 자료의 정리 등이 관찰되었으며, 일부 대학생은 자료 해석에 그래프를 이용하였다. 초등학생 중 몇몇 은 변인과 자료의 순서가 일반적이지 않은 자료에서 관련된 주요 변인을 확 인하는데 어려움을 나타냈으며 이들의 자료 해석 결과는 성공적이지 못했다. 변인 인식에서 초등학생이 보여준 기능적 고착과는 달리, 대학생들은 풍부한 경 험을 바탕으로 문제의 핵심 측면을 표상 하여, 자료 해석을 성공적으로 수행하였다. 이에 대한 교육적 함의를 논의했다. Developing student``s ability to interpret the vast amount of quantitative data has become a major task for today``s educato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elementary school and preservice teachers`` interpreting data. To catch a immense variety on interpreting data used. Participants for this study were ten elementary students who can use integrated process skills and five university students as an adult. To collect data for analyzing students`` interpreting data, the researcher observed and recorded elementary school and preservice teachers. The protocol to analyze the result was established from recorded data and the students`` note.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it used their learning strategies such as a mathematical operations, use of mark, use of prior knowledge, reordering data on student``s interpreting data. Some of university students used graphs to interpret data. But, as while adult learners use visualization strategies, children failed to interpret data. In contrast with elementary school students, university students successfully interpreted same data. Because of their abundant prior experience about process skill and domain specific knowledge, they could make representation of the core of data. Finally, it is suggested that student need to be exposed more opportunities to interpret data with a variety of nature, and to catch the core of dat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