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논문 : 수용미학 관점으로 본 「만복사저포기」의 환상성

        안민정 ( Min Joung Ahn ) 온지학회 2012 溫知論叢 Vol.0 No.30

        「만복사저포기」의 환상성은 독자가 초현실적 사건에 대해 느끼는 데에서 생성되는 효과라고 말할 수 있다. 주인공과 독자의 심미거리는 서술자가 가깝게 또는 멀게 서술하여 환상성을 드러내도록 작용하였다. 결국 이러한 머뭇거림이나 심미거리는 독자적인 차원의 서술방법을 즉, 수용미학을 통해 구현되고 있다. 「만복사저포기」에서는 현실계와 환상계를 동시에 설정하기 위한 방법으로 다중시점을 이용하여 독자의 망설임을 유발시키며 이것은 환상성과 직결되는 장치로 기능하였다. 이러한 망설임은 서술자가 그것에 대해 사실처럼 느끼다가도 문득문득 의심을 하는 모습을 서술함으로 독자들 역시 그러한 느낌을 갖도록 유도한다. 결국, 「만복사저포기」의 작품 전반에 흐르는 환상성의 창출양상은 항상 독자의 읽음 방식까지 전제하고 서술하고 있다. 「만복사저포기」의 양생은 환상적인 사건에 대해 현실적인 방법으로 대처하며 이러한 면모는 독자적인 차원의 서술방법을 통해 나타난다. 「만복사저포기」전반에 걸쳐 환상지표는 독자의 환상성 창출을 목적으로 구현되고 있으며 이는 서술자가 미리 의도한 서술방법으로 기인한 것이다. 여기에서 독자는 환상적인 요소가 포함되어 있어도 새삼스럽게 그러한 요소의 성질에 관해서 의심을 품으려 하지 않는다는 점을 환기해 볼 수 있다. 그러므로 환상성은 현실과의 개연성이 있어야 하며, 독자의 인식론적 범위 안에 존재하고 있어야 한다. 결국, 「만복사저포기」의 환상성은 독자를 염두하고 서술이 되어야 하는 필연성을 가지고 있으며 환상기제와 머뭇거림, 심미거리를 통하여 작가의 주제의식을 표출시킨다. It can be said that 「Manboksajeopogi」`s fantasy is the effect originated from the reader having a feeling toward a surreal event. The aesthetic distance between the main character and the reader is made either close or far by the narrator to show fantasy. Such hesitation or aesthetic distance is realized through the narrative method of an independent dimension, that is, the aesthetics of reception after all. 「Manboksajeopogi」uses multiple viewpoints to set up a real world and fantasy world at the same time. This functions as a device to induce reader`s hesitation and be directly connected to fantasy. This hesitation is described by the narrator as a feeling toward a fact and sometimes as a doubt, so readers, too, are induced to feel the same way. Therefore, the aspect of creating fantasy flowing over the entire work of 「Manboksajeopogi」always supposes and describes even the reader`s style of reading. Yangsaeng in 「Manboksajeopogi」copes with fantasy events with realistic methods, and this aspect is shown by the narrative method of an independent dimension. The fantasy indexes all through 「Manboksajeopogi」are realized for the purpose of creating reader`s fantasy. This is attributed to the narrative method which the narrator intended in advance. Here, we can deem that even though fantasy elements are included, the reader is unwilling to have doubts over the features of those elements newly. Thus, fantasy should be probable in reality, and it should exist within the reader`s epistemological range. Therefore, the fantasy of 「Manboksajeopogi」is indispensible to keep the readers in mind for narration, and the author`s consciousness of theme is expressed by the fantasy mechanism, hesitation, and aesthetic distance.

      • KCI등재

        문학 : "꿈" 구현방식으로 본 「조신설화」의 현대적 변용

        안민정 ( Min Joung An ) 온지학회 2013 溫知論叢 Vol.0 No.37

        본 연구는 ‘꿈’의 구현방식을 통해 「조신설화」의 현대적 변용을 고찰하였다. 문학에 있어 ‘꿈’이 주는 의미는 시간과 공간을 점유하고 있다는 점에서 현실과 항상 비교하여 고찰되어야 할 대상이다. 고전소설의 독자나 영화 속 관객은 공간을 지각함과 동시에 자신의 관념 속에 존재하는 시간성을 토대로 공간이 재구축된다. 시간과 공간을 동시에 점유하면서 환상성을 창출하는 서사장치는 대표적으로 ‘꿈’을 들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고전문학 속 ‘꿈’모티브는 「조신설화」에서 시작된다고 보았다. 「조신설화」를 자신의 정체성을 찾아가는 여정을 그린 작품이라 전제하고 「조신설화」라는 원천 텍스트의 변모과정을 고찰하였다. 그래서 「조신설화」가 수용된 이광수의 중편 소설 ``꿈``에서는 꿈속 세계를 통해 현실세계의 비극적이고 잔인한 면모를 보여줌으로써 입몽 전의 욕망의 허무함을 생로병사와 가난, 이별 등의 현실 삶의 고통을 통해 조신 스스로의 세상을 살아가는 주체의식을 가지게 한다고 보았다. 소설을 바탕으로 영화화 된 배창호 감독, 이명세 극본의 ``꿈``에서는 ‘꿈’모티브가 단선적이고 일회적인 삶을 여러 번 살게 해주어 ‘죽음’에 임박하여 자신의 정체성을 찾게 해주는데 조력하고 있음을 밝혔다. 마지막으로 ‘꿈’모티브가 종국에 추구한 자신의 정체성을 찾는 여정을 그린 영화 인셉션 에서는 고소설에서 모티브 가져온 문화 컨텐츠의 새로운 패러다임은 과거 원형 컨텐츠에서 ‘꿈’을 통하여 자아정체성까지 분화되는 양상을 보여주었다. 즉 ‘꿈’모티브 변형이 복합적으로 이루어지는 영화 인셉션의 경우는 무한히 증식되는 꿈속의 꿈꾸어진 존재일 수 있다는 가능성을 암시함으로써 주체도 객체도 그 정체성을 상실하게 되는 세계를 보여주고 있었다. 「조신설화」를 바탕으로 현대적 변용이 된 작품들은 대부분 사건이 발생하고 ‘꿈’을 모티브로 항상 자아의 정체성에 관한 질문에 봉착하게 된다. 원천 텍스트인 「조신설화」역시 꿈으로 들어갔다가, 온갖 세상의 부귀영화를 누린 후, 꿈에서 깨어나 이 일생의 부귀영화가 헛된 것임을 알게 되고 최종적으로 자아의 정체성을 확립하게 된다. 꿈을 깬 후 주인공들은 꿈과 현실의 아슬아슬한 경계에서 ‘나는 누구인가’라는 근원적인 질문에 봉착하게 된다. 결국 「조신설화」의 ‘꿈’ 구현방식의 현대적 변용은 현실세계에 대한 불안감을 조성하는 방향으로 나아가며 그것이 자아의 정체성에 대해 깊은 통찰을 요구하는 방향임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조신설화」의 현대적 변용은 시간적 역행구조를 통해 자신의 정체성을 찾아가는 과정을 ‘꿈’모티브를 통해 나타냈다는 점에서 구성적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This study intends to consider fantasy in the transformation of classics with the realization of ‘dream’. In literature, the meaning of ‘dream’ is the object to be considered always in comparison with reality as it occupies time and space. It is said that in all narrations, “two elements of time and space work at the same time”. From the point that events occur according to the flow of time inevitably while occupying a certain space, all narrations can be said to integrate both time and space. In other words, time and space are not only the major factors consisting of a narration but also closely related with each other. Of course, events occurring in the changes of space exclude time as much as possible; however, the readers of the classical novels or audience in the films to be considered in this paper perceive that space and also reconstruct space based on the time which exists in their notions at the same time. And this forms a chance to create ‘fantasy’, and one of the typical narrative devices which create fantasy while occupying time and space at the same time is ‘dream’. Works that expose their thematic consciousness with the motif of ‘dream’ can be often found in both classical and contemporary works. And there are a variety of researches and interpretations about dream. One that studied it with psychoanalysis is Sigmund Freud who is widely known for it. He says that dream is the product of unconsciousness, so meaning hidden in our mind can be found from it. In the East and the West, people have different views about dream, but they commonly think that dream does reflect reality. And dream is the entrance of fantasy to the world of imagination that is ruled by the principles of pleasure, not the principles of reality. Therefore, transferring from the primary world restricted to the principles of reality to the secondary world of imagination is accompanied by the device of a journey penetrating time · space · memory, and dream works as a major device that passes through that irreversible time and space. Of course, dream does not function only as the entrance of fantasy like that. Dream also functions as the exit from fantasy, too. Thus, entrance to the world of fantasy can be possible with dream. This study sees that the emergence of the motif of ‘dream’ in classical literature started with 「Josinseolhwa」. Thus, the paper will consider how fantasy gets to be accepted in modern ways with Lee Gwang Su`s novel ‘Dream’ which dramatizes 「Josinseolhwa」 in a modern way and director Bae Chang Ho`s ‘Dream’ which has this novel as its original. Next, with director Christopher Nolan`s movie ‘Inception’ which depicts a journey that the motif of ‘dream’ finds its identity it has pursued in the end, the study discusses the meaning that the motif of ‘dream’ presents in this 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