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三槎酬唱錄」의 일고찰

        안나미(Ahn Nami) 순천향대학교 이순신연구소 2010 이순신연구논총 Vol.- No.14

        임진왜란으로 인해 조선은 명나라와 직접적인 접촉이 빈번해지면서 조선과 명나라 문인들의 교류가 활발해졌다. 임진란 이후 조선과 명나라 두나라 문화에 변화가 있게 된 데에는 명군과 조선의 문인지식층의 교류가 큰 역할을 했다. 특히 임란 초기 명나라 군대 막부에서 세사람의 조선 문인이 7개월간 함께 지내며 학문에 대해 토론하고 시를 수창하면서 양국의 제도와 문화에 대해 의견을 주고받은 것은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三槎酬唱錄」은 李廷龜, 柳夢寅, 黃愼 세 사람의 문사가 임란이 일어난 다음해인 계사년 3 월부터 9월까지 명군 지휘부와 함께 의주에서 지내면서 수창한 시를 묶은 것이다. 임란 초기, 그것도 임란이 일어난 바로 다음해에도 명나라 군인과의 교유가 있었고, 그것을 다룬 기록이 「三槎酬唱錄」이다. 임란 초기 명군 교유에 대해 다룬 기록은 이것이 유일하다. 특히 공식적인 사행을 통한 교유와는 달리 7개월이라는 기간 동안 함께 숙식을 하며 양국의 지식층이 깊이 교유한 것은 매우 드문 일로, 임란 초기 조선의 대표적인 문인이 명군 지휘부와 문화교류를 한 것은 매우 의미있는 일이라고 하겠다. 더욱이 「三槎酬唱錄」은 임진란을 계기로 조선과 명의 문화교류가 어떤 방식으로 시작되었 으며, 두 나라 지식층의 서로에 대한 인식이 어떠한지도 살필 수 있어, 앞으로 한중 문화교류 연구에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다. During from the late 16th century to early 17th century, Chosun and Ming Dynasties exchanged with each other more actively and intimately than any other periods. It was full-scale and direct interchange entirely different from formerly the envoys official communication or exchange by book imports. Especially during this period, Chosun and Ming, all of the two countries suffered from critical changes and faced lots of significant literal changes. While literary persons in two countries contacted with each other directly in this trend of changes, Chosun writers could recognize a new wave of Ming dynasty literary circles and the new literature, and then Ming writers met Chosun literature and send it to Ming. Samsasoochngrok(三槎酬唱錄) a record of Japanese Invasions of Korea in 1592(from April 1592 to December 1593), are written in a Poetry style. This work expressed completely separation from his family and a fortuitous meeting with them, and the sorrows of life due to the war. Wolsa combined his personal experiences closely in the whole story structure and made a complete narrative structure. So heightening a dramatic effect, it reveals the theme. Especially during this period, Chosun and Ming, all of the two countries suffered from critical changes and faced lots of significant literal change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허균의 「도문대작(屠門大嚼)」에 대한 고찰 -만명 유행 현상과 관련하여-

        안나미 ( Ahn Nami ) 근역한문학회 2018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Vol.50 No.-

        許筠은 임진왜란 이후 우리나라 최초의 음식품평서 屠門大嚼을 지어 조선 팔도의 진미에 대하여 산지와 요리법, 명칭 등을 소개하고 음식에 대한 품평을 다루었다. 허균은 <屠門大嚼 引>에서 그 저술 의도를 밝히고 있다. 첫째, 허균 집안에 전국의 많은 음식이 예물로 들어와 그것을 즐길 수 있어 음식을 품평할 수 있었다. 둘째, 중국 何氏의 『食經』과 舒公의 『食單』을 보았지만1) 천하의 진미를 빠짐없이 기록하여 눈만 현란하게 하는 도구에 그칠 뿐이라고 하며 조선의 음식을 소개하려고 하였다. 셋째, 식욕은 인간의 본성이 라는 점을 강조하여 절제와 금욕을 강요하는 조선 사회에서 허균은 인간의 본성 중에서 가장 큰 욕망의 하나인 식욕을 가지고 억압과 규율에 저항하려는 의도를 보였다. 허균이 도문대작 을 짓게 된 가장 큰 이유는 바로 조선사회가 강요하는 예교의 속박에서 벗어나 하늘이 내린 인간의 본성을 긍정하는 허균의 사상을 드러내고자 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晩明 시기는 상업경제가 발전하면서 소비문화가 성행하였다. 이에 음식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많은 음식서적이 간행되었고, 강남 사대부들을 중심으로 문인들의 음식서 저술 활동이 성행하게 되었다. ‘美食’에 대한 욕망이 자극되면서 강남 문인들의 문인결사 활동은 詩社에서 시작하여 飮食社로 이동하면서 음식의 풍기를 연구하고 즐기게 되었다. 이때 허균은 명의 서적을 탐독하고 많은 명인과 교류하며 만명 문화의 유행 현상을 감지하였다. 그리고 식욕과 성욕은 사람의 본성이라고 주장하면서 도문대작 을 저술하여 ‘음식’을 통해 인간의 본성을 긍정하고 개성을 존중하는 사상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특히 조선 사회의 억압과 규제에 대한 반항을 인간의 본성인 식욕, 곧 음식에 대한 관심으로 표현한 것이라 할 수 있다. 허균은 도문대작 을 통해 미식 그 자체에 탐닉하기 보다는 음식을 통해 인간의 본성을 긍정하고 개성을 존중하며 개인의 자유를 발현하는 것을 추구하는 정신을 표현한 것이다. 그리하여 봉건 도덕의 억압과 허위를 반대하고 세상을 바꾸고 싶어 했던 그의 개혁 사상과 창의적 사고가 문학의 개성을 강조하는 데에까지 이르게 되었을 것이다. Heo Gyun (許筠) wrote Domundaejak (屠門大嚼), that is Korea’s first review of foods after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Imjin War: 壬辰倭亂). Domundaejak deals with the introduction and evaluations about special production localities, recipes, and names of delicious foods in the Choseon dynasty’s eight provinces. From Domundaejak-In (屠門大嚼 引), Heo Gyun exhibits his intention of writing this book. First of all, many foods from the whole country came to Heo Gyun’s family, and thus he could review these foods. Secondly, although he read Mr. Ha’s (何氏) Sikkyung (『食經』) and Sir Seo’s (舒 公) Sikdan (『食單』), he thought that these are simply flashy tools by wholly recording delicious foods all over the world. For that reason, he intended to introduce foods of the Choseon dynasty. Thirdly, the Choseon society imposed people moderation and abstinence, but he emphasized that appetite is a human nature. Therefore, he displayed his intention to resist the society’s repression and disciplines, by dealing with appetite which is the greatest desire among human nature. The greatest reason why he wrote Domundaejak is considered that he exhibited his thoughts that agree with human nature endowed by Heaven, escaping from the restraint of Etiquette and Education. As commercial economy was developed in the late Ming dynasty, consumer culture became prosperous. As the thriving Chinese food culture led to many publications of food book, activities of writing food books became popular among writers, in particular the nobility in the south of the Yangzi River. As desires about delicious foods is stimulated, the community of writers in the south of the Yangzi River started from the Poet community (詩社) and, by extension, moved to the food community (飮食社), and eventually researched and enjoyed the flavor of foods. At that time, Heo Gyun recognized the popular trend of the Ming dynasty, and then argued that appetite and sexual desire are human nature. Through ‘foods’ by writing Domundaejak, he intended to be positive to human nature and to respect personality. As Heo Gyun pored over books of the Ming dynasty, and as he communicated with Ming people, he would notice the vogue of the Ming culture. In particular, he expressed his resistance to the repression and regulations of the Choseon society through appetite as human nature, that is, foods. Through foods from Domundaejak, Heo Gyun expressed the spirits affirming human nature, respecting personality, and seeking personal freedom, rather than indulging in delicious foods themselves. Thus, his reformative thoughts and creative thinking opposed the repression and falsehood of the feudal morality, and wished to change society. Eventually, they would arrive at his emphasis on the personality of literature.

      • KCI등재

        허균(許筠)과 한중문학교류 : -만명(晩明)시기 우순희(虞淳熙)를 중심으로-

        안나미(Ahn, Na-mi) 한국고전연구학회 2020 한국고전연구 Vol.0 No.50

        임진왜란 시기에 외교사절단으로 명 나라를 방문하거나 명 사신을 접대한 조선문인에 의해 한중 문학 교류가 활발하게 이루어졌는데, 허균은 적극적으로 명에 조선의 문학을 소개하였다. 허난설헌의 시집뿐만 아니라 조선의 시를 정리하여 조선 문학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명 문인들에게 직접 전달했다. 이 과정에서 허균을 직접 만난 명 사신 주지번(朱之蕃)과 구탄(丘坦)을 중심으로 명 문단의 문인 결사조직을 통해 조선의 문학이 전파되었다. 그리하여 명 나라의 문인들 중에는 조선을 방문하지 않았지만 조선의 문학을 접하여 함께 토론하고 비평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되었으며, 이들이 다시 다른 문인들에게 조선의 문학을 전파하게 되었다. 그중 주지번과 구탄과의 관계망 안에 있는 명 문인 우순희(虞淳熙)는 <조선영(朝鮮詠)>이라는 시집에 서문(序文)을 붙이기도 했다. 우순희는 당시 문학의 중심지였던 강남에서 영향력 있는 문인결사 조직을 가지고 있었다. 조선의 허균을 직접 만난 명나라 사신 주지번과 구탄이 2차로 그들의 문인들에게 조선의 문학을 전파하고 다시 2차 전파자들이 3차로 전파하는 과정에서 명의 문인결사조직이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the Imjin War), Joseon and Ming dynasties had direct and close exchanges. In particular, literature exchange between Korea and China was actively conducted by Joseon literati who visited the Ming Dynasty as an official diplomatic mission or received envoys from the Ming Dynasty, among which Heo Gyun actively introduced Joseon’s literature to the Ming Dynasty. Heo Gyun compiled Joseon’s poems as well as his older sister Heo Nanseolheon’s poems and delivered them directly to writers of the Ming Dynasty who were interested in Joseon literature. In the process, Joseon’s literature was spread through the association of writers from the literary circles of the Ming Dynasty, focusing on Ju Jibeon (朱之蕃) and Gu Tan (丘坦), who met Heo Gyun in person and encountered Joseon literature. Writers from the Ming Dynasty never visited Joseon, but they had the opportunity to learn about Joseon’s literature and discuss and criticize it together. They again spread Joseon’s literature to other writers. Among them, Woo Soonhee, a renowned writer who has a personal network with Ju Jibeon and Gu Tan, added a preface (序文) to the collection of poems titled Joseonyeong (朝鮮詠). Woo Soonhee had an influential literary organization in Kangnam, which was the center of literature at that time. Ju Jibeon and Gu Tan, the envoys of the Ming Dynasty who met Heo Gyun of Joseon in person, introduced Joseon s literature to their writers in the second phase. The literary organization of the Ming Dynasty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interest of writers of the Ming Dynasty in Joseon literature in the process of introducing Joseon literature to their writers in the second and third rounds of propagating Joseon literature to Heo Gyun of the Joseon Dynasty.

      • KCI등재SCOPUS

        Doo`s SACSIH 수술과 전자궁적출술후 환자와 배우자가 느끼는 심신의학적인 면에서의 비교연구

        두재균(JK Doo),이민아(MA Lee),박경배(KB Park),채규정(GJ Chae),김관식(KS Kim),석문(SM Ahn),유은영(EY Yoo),김난경(NK Kim),나미옥(MO Na) 대한산부인과학회 1994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7 No.2

        Since November 18 of 1992, we have undertaken a comparative study concerning the patients and their spouses at least five months after the operation. We chose 31 patients who were operated by Koos SACSIH operation and the same number of the patients who and psychsomatic aspects occured after each operation. And we cmae to the following conclusion: 1 Of the patients subjective complaints, weight gain was the highest after Koos SACSIH:32.3%; decrease in sexual desire was the highest after TAH: 29.1%. 2. 51.6% of the patient after Koos SACSIH had no complaint of pelvic pain and lumbago and 32.3% after TAH. 3. 19.3% of the patients after Koos SACSIH complain of decrease in sexual desire and 32.3% after TAH. 4. 33.3% of the patients in their forties after Koos SACSIH had coital frequency less than once in 2 weeks and 78.9% after TAH(PP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