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산업계 인사담당자의 인식을 통해 본 고학력 외국인 유학생의 국내 노동시장 고용가능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민숙원 ( Min¸ Sookweon ),심은비 ( Sim¸ Eunbi )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21 교육연구논총 Vol.42 No.4

        본 연구는 고학력 외국인 유학생의 국내 노동시장 고용가능성(employability)에 대해 탐색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석사 이상의 학위를 취득한 고학력 외국인 유학생을 고용한 경험이 있는 산업계 인사담당자 15인을 대상으로 초점집단면담(FGI)을 실시하였고, 이를 통해 고학력 외국인 유학생들의 고용가능성을 알아보고, 이들의 국내 노동시장 고용가능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고학력 외국인 유학생의 개인 차원의 고용가능성 수준은 조직적, 사회적 차원에서의 고용가능성 수준과 밀접하게 연관된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적 차원에서 산업체의 고용가능성은 대체로 낮은 편으로, 인력난과 채용 루트부족으로 인한 인재유치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외국인 고용을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적 차원에서는 정책적 규제와 비자 제도의 행정적 비용이 고학력 외국인 유학생의 고용에 장애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학력 외국인 유학생의 국내 노동시장 고용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요인으로는 직무역량과 한국어 능력, 문화 적응력과 같은 고용가능성 스킬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외부적 요인에는 고학력 외국인 유학생에 대한 산업체의 인식, 기업의 외국인 인력관리 및 개발 시스템 부재와 동화주의 조직문화가 도출되었다. 이들은 외국인 유학생의 고용가능성을 저해하는 요소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타 상황적 요인으로는 가족 거취와 코로나 문제가 있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고학력 외국인 유학생의 국내 노동시장 고용가능성 증진을 위한 실천적 시사점을 제안하고 고용가능성 이론에 대한 이해를 확장할 수 있는 이론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mployability of international graduate students in the Korean labor market through the perceptions of personnel managers. For this study, we conducted focus group interviews(FGIs) with 15 personnel managers who had experienced in hiring international graduate stu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individual levels of the employability of international graduate students are associated with the employability at the organizational and social levels. The levels of the employability of the Korean companies that we interviewed were generally low at the organizational level, and those companies tended to hire international graduate students instead of Korean students due to the shortage of manpower and the lack of recruitment routes. In addition, at the social level, we found that policy regulations and the administrative cost of processing a visa were considered as obstacles for Korean companies. In addition, employability skills, such as job-related skills, Korean language skills, and culturally adaptive skills, are important factors affecting the employability of international graduate students in the Korean labor market. Also, we found that the absence of the human resource management system for foreigners in Korean companies and assimilation are important external factors that low the levels of the employability of international graduate students. Finally, our results also show that family-related factors and COVID-19 worked as the situational factors for international graduate students’ emploability.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e practical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employability levels of international graduate students and also provide the theoretical implications of the employability for international graduate stu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