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우리 나라 농업용수 이용량의 재산정

        김현영 ( Kim Hyun Young ),심문산 ( Sim Moon San ) 한국농공학회 2000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00 No.-

        The peculiarity of agricultural water in Korea is taking advantage of the effective rainfall and return flow in consumptive use. The agricultural water which the Ministry of Construction figured out in 1989 was excluded these traits. As a result of the re-estimating amount of agricultural water in 1999, we can presume it up to 14.9 billion ㎥ to 22.6 billion ㎥ per year.

      • 우리나라 농업용 저수지의 용수공급능력 평가

        김상우 ( Kim Sang Woo ),심문산 ( Sim Moon San ),정진호 ( Jung Jin Ho ),이철주 ( Lee Chul Ju ) 한국농공학회 2006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06 No.-

        Among the total of 17,764 agricultural reservoirs in Korea, KRC manages 3,324 agricultural reservoirs and the remainder come under the direct control of the municipalities. The ability of the agricultural reservoir supply is being rapidly decreased in many areas due to the indraft of a sedimentation as well as the deterioration of structures. In comparison with the initial ability of the agricultural reservoir supply, It was found that 88 percent of them built prior to the 1970s has a marked change caused by a drainage basin-condition, including a change of the command area and a sedimentation. This study, Analysis on ability of the agricultural reservoir supply, takes 2,673 agricultural reservoirs as a research target which are under management of KRC and have their own catchment area and command area. The main object are to estimate the water supply potential of reservoirs used for agricultural purpose and to understand the optimum water supply levels of them.

      • 농업용 저수지 치수능력 증대를 위한 물넘이 개선 방안

        정진호 ( Chung Jin Ho ),심문산 ( Sim Moon San ) 한국농공학회 2004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04 No.-

        □ 목적 O 농업용 저수지의 약 90% 정도가 30년 이상 경과한 시설물로 설계당시 기준이 현재 기준과 차이가 많아 기상이변에 의한 집중호우시 홍수배제 능력 부족한 실정 O 농업용 저수지의 치수능력 증대를 위해 기존의 월류형 물넘이 방식을 siphon 형식으로 전환하고 기존 siphon 방식의 문제를 개선하여 치수능력 증대 방안 제시 □ 기존 siphon 문제점 및 개선내용 기존 siphon 문제점 - 다량의 물이 하류지역으로 흘러 피해 발생 - 작동후 만수위에서 정지되지 않고 만수위보다 수위가 더 내려가 이수용량 확보측면에서 불리 개선 siphon - siphon을 계단형식 설치로 peak홍수량 감소 - 보조 siphon을 만수위에 설치하여 만수위에서 자동정지 □ 분석결과 O 기존 siphon 유출현황 O 개선 siphon 유출현황 □ 결론 O 개선 siphon 형식은 관경, 개소, 설치표고 등 설치방법에 따라 월류형과 같은 배제량 조절 가능 O 개선 siphon 형식의 peak 배제량은 월류형식의 85% 정도이며 설치에 필요한 물넘이 길이는 월류형 물넘이의 40% 정도임 From the results of analysis for the design standard and hydrology method, almost agricultural reservoirs were insufficient for the flood control capability.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s, spill way have to change the overflow type to the siphon type which are improved problems of the old siphon and expand flood control capabi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