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비주얼 리터러시에 관한 시론 : 시각, 미술 그리고 교육

        신현경(Shin, Hyun Kyoung) 한국미술교육학회 2020 美術敎育論叢 Vol.34 No.2

        본고는 근대 카르테시안 퍼스팩티브의 이성적 논리와 텍스트 중심의 교육 안에서 발달한 좌뇌적 시각의 자기중심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이미지를 보고 활용할 줄 아는 소양인 비주얼 리터러시를 시각과 미술 그리고 교육적 기능과의 관계 안에서 고찰하고 있다. 우선 시각의 특성을 우뇌적 시각과 좌뇌적 시각으로 구분하여 비주얼 리터러시는 시각적 사고와 시각적 인식의 훈련으로 보았다. 이는 관계와 감성, 직관과 직감 등으로 보는 우뇌적 시각을 활용하여 보고 그리는 시각적 자기표현의 과정에서 가장 효과적으로 발달한다. 이는 몸과 마음을 합일하는 전체성을 획득하며, 자기중심적으로 보는 시각의 함정을 인식하고 창조성, 통찰과 영성으로 연결된다. 영상 시대에 주체적으로 살아가기 위한 선한 눈(a good eye) 으로서 사회 공동체에 기반 하여 함께 공감하고 소통하는 끝없는 성찰을 요한다. 이러한 비주얼 리터러시로서의 미술을 두고 ‘과정중심 시각교육’으로 개념화하였다. 끝으로 자기중심의 좌뇌적 시각의 문제를 인식하고, 우뇌적 시각의 훈련을 위하여 비주얼 리터러시로서의 미술의 다양한 기능이 기초교과로서 역할을 해야 할 것을 제기하였다. This article deconstructs the modern Cartesian perspective and the l-mode vision centered on the rational logic and text, and presents visual literacy as an alternative, which is a way to see and use images. First of all, this concept was defined and the goal was to train visual thinking and visual perception, focusing on the r-mode vision that sees with relationally and functions with one’s emotion, intuition, and intuition etc. The most effective way to train r-mode vision is to draw with the r-mode realistically, and acquires the totality unifying body and mind through the process of visual self-expression. This training connects with the creativity seen by the artist s eyes and acquires “a good eye” and practical wisdom to live alive in this image area. Vision has the pitfalls of self-centered perception, but it is also a pathway to insight and spirituality. This requires endless reflection from a shared spiritual practice. It was raised the necessity to expand these functions from art education to Process-Centered Visual Education based on social community.

      • KCI등재

        시서화 수행으로서 전통교육의 재구축

        신현경(Hyun-Kyoung, Shin) 한국문화교육학회 2020 문화예술교육연구 Vol.15 No.3

        근대 유럽 남성의 데카르트적 관점은 이성적 논리를 중심으로 이분하는 사고로 인하여 자기중심적 시각의 한계를 강화한다. 동양의 근대화는 서양화에 따라 주변화되고 전통적 관점을 잃었다. 거기에 근대 교육은 문자와 청각 중심의 좌뇌적 시각의 개념화를 초래하여 좌뇌편측화된다. 본고는 시각을 중심으로 현대 한국 교육의 문제를 비판하고, 이의 극복은 오히려 전통문인교육을 시서화의 시각 훈련적 특성에 있다고 보았다. 이는 일원론적 세계관 안에서 1) 상징적으로 의미를 전달하는 가시세계와 비가시세계의 합일성, 2) 시각적 자기표현, 3) 문학, 철학 미술의 융합, 4) 매체적 특성, 5) 우뇌적 시각과 창조성으로 찾았다. 이러한 시서화는 작업 과정에서 몸과 마음이 합일하며 통관하는 특성을 시서화 수행으로 보았다. 이의 통관적 작용은 우뇌적 시각을 활용하여 이미지를 보고 그리며 모든 것을 아우르는 체현화 훈련을 한다. 이것이 이미지를 보고 활용할 줄 아는비주얼리터러시로서 시각훈련의 역할이다. 끝으로 시서화 수행의 현대적 역할은 비주얼 리터러시를 목표로 하는 “과정 중심 시각교육”이 기초교과로서의 역할을 해야 할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The Cartesian Perspective s dichotomous thinking reinforces the limits of its’self-centered vision. This paper aims to re-establish the view of traditional education as a visual literacy that can see and utilize images, focusing on educational viewpoints between tradition and modern times. In modern Korean education, left brain lateralization, centered on text and rational logic, dismantled modern education and art education. It is to present the problem of identity along with Korean self-esteem lost due to the limitations and marginalization of self-centered vision. In the mean time, th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education for literarti were seen in the poetryㆍ calligraphyㆍpainting theory as education in a monistic world view and unity. It presented a problem in modern applications. Also, as a basis for modern education, the theory of poetryㆍcalligraphyㆍpainting contemplative practice in traditional education as a reconstruction of traditional vision was considered through the unification of integrated knowledge and practice in everyday living. Connectedness of poetryㆍ calligraphyㆍpainting contemplative practice was proposed as an old future that embraces education and art education as “process-oriented visual education.”

      • KCI등재

        5MW 부유식 풍력발전기의 운동 해석

        신현경(Hyun-Kyoung Shin),김경만(Kyoung-Man Kim) 한국해양공학회 2011 韓國海洋工學會誌 Vol.25 No.5

        The motion responses of a 5-MW floating offshore wind turbine were simulated in regular and irregular waves and its RAOs and significant motion responses were calculated, respectively. The floating offshore wind turbine employed in this simulation was the OC3-Hywind designed by the National Renewable Research Laboratory, USA. The numerical simulation was carried out using MOSES (Multi-Oper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Simulator), which is widely used to analyze and design floating off shore structures in the gas and oil industry.

      • KCI등재

        미술을 통한 자기보기 체험에 대한 사례 연구 - ‘자기보기 성찰과 자기치유’ 수업을 중심으로 -

        신현경(Shin Hyun kyoung),이은영(Lee Eun young) 한국미술교육학회 2016 美術敎育論叢 Vol.30 No.1

        본 연구는 미술을 통한 자기보기 체험을 통해 자아정체성을 형성해 가는 과정을 질적 사례 연구를 통해 탐색한 것이다. 미술은 근본적으로 시각 훈련으로서 자기 존재에 대한 탐구이다. 그러나 근대적 자아 인식은 시각 중심의 자기주관성에 갇혀 개인의 존재론적 성장을 가로막는 걸림돌이기에 타자와의 소통과 사회적 갈등을 조장한다. 따라서 미술교육에서 근대적 자기 인식의 극복과 자기 성찰은 주요하게 다루어져야 할 필요성을 지닌다. 연구자들은 미술이 자기 이해와 존재론적 자아 성장에 관여함을 이론과 경험을 통해 감지하고 실행해왔다. 본 연구는 한 연구자가 사회단체에서 20년 이상 진행해온 ‘자아를 찾아가는 미술여행’의 일환으로 “자기보기 성찰과 자기치유”를 한 학기 동안 32명의 대학생 참여자들과 함께 진행한 사례를 중심으로 연구되었다. 연구 결과, 자기 표현 중심의 미술을 통한 자기보기 체험을 통해 연구 참여자들은 비주얼 리터러시의 신장과 더불어 자신과 주변과의 관계를 돌아보는 계기가 되었으며 미술에 대한 자신감을 획득하며 미적 인식이 발달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시각적 표현을 매개로 한 타인과의 상호작용적 소통과 공감 과정에서, 수동적이고 갇혀있던 자아로부터 자기 성찰의 첫걸음을 떼고 다시보기를 시도하였다. 그러면서 역동적 자아정체성을 지닌 존재로 거듭남을 인지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자신에 관한 미술 표현에서의 미적 체험은 삶 속에서 창의적 본성과 표현 자발성을 일깨움을 더불어 파악할 수 있었다. This qualitative case study examines the process of visual self-expression to construct one's identity through an art experience of self-seeing. Art is fundamentally a study on self-existence through visual training. The modern self-centered perception can aggravate social conflicts and prevent communication with others by hindering the individuals’ existential developme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ddress self-reflection in order to overcome the modern self-centered perception in art education. Researchers have recognized how arts have developed self-understanding and existential self-development. This study is focused on a case study of the class “Self-reflection and self-healing,” a part of the workshop, “An Art Journey Searching for the Self” that a researcher has taught for over 20 years. This study found that the program’s self-seeing process of visual self-expression improved participants’ visual literacy, aesthetic consciousness, and self-confidence. They also changed from being inactive and closed to being open-minded, became more open to self-reflection and mutual communication, and responded better to others in their classroom. The participants expressed that they were transformed and reborn as a lively active existence with their identity. This study further elaborates on the role that visual self-expression plays in awakening the creative self and developing active expression of the participants in their life.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일원론적 세계관의 복원과 시서화 수행

        신현경 ( Hyun Kyoung Shin ) 한국동양예술학회 2012 동양예술 Vol.20 No.-

        The modernization of East Asia has been a process of Westernization that has involved the growing dominance of the Cartesian perspective. The region’s monistic worldview has been distorted by the Cartesian dichotomy, and many Asians have also lost sight of their true identity. Traditionally, Eastern education consisted of the visual and literal practice of shishuhua, which combines poetry, calligraphy and painting. The education of the Eastern literati was based on the ancient philosophies of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Poetry, calligraphy and painting, the literati``s modes of expression, were characterized by the theory of oneness, and the process of making art also played a role in meditation. This paper considers the value of the spiritual function revealed in their shishuhua practice. The literati’s monistic perspective can be explained as 1) the unity of the material (visible) and spiritual (invisible) worlds, joining the real and the abstract; 2) the unity of shi (poetry), shu (calligraphy), and hua (painting) into one expressive medium; and 3) the unity of the mind and the picture through the visualization process, used to liberate one``s mind as explained in Shitao``s oneness of painting theory. This paper proposes that restoring the literati``s united vision can serve as a viable method of overcoming the self-centered visual limitations imposed by the Cartesian perspective.

      • KCI등재

        포스트모더니즘의 포월(包越)로서 시서화수행론(詩書畵修行論)에서의 상징성(象徵性)의 역할

        신현경 ( Hyun Kyoung Shin ) 한국동양예술학회 2013 동양예술 Vol.23 No.-

        The role of symbolism in Shishuhua-Poetry, Calligraphy and Painiting- Meditative Practice as Envelopment of Postmodernism This paper researched the monistic perspective shared in East Asia centering on Shishuhua-Poetry, Calligraphy and Painiting- Meditative Practice as an alternative to overcome self-centered dichotomy of Cartesian perspective. It seeks to recover the characteristic of traditional education for East Asian literati as a theory of practice connecting body and mind in present text. For this, it compares visual arts of Modernism, Postmodernism and East Asian study reflecting the cultures of each times centering on their contents and forms. It is necessary to teach `` good eyes`` in East Asian study which is harmonious with nature/spirit. In short, it proposes that the traditional education of shishuhua practice is a way to discipline in order to recover meanings of symbolic layers in visible world as a basic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