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고위력 폭약의 석회암 내 장약공 폭발에 의한 지반진동 전파특성에 관한 연구

        김경규 ( Gyeong-gyu Kim ),신찬휘 ( Chan-hwi Shin ),김한림 ( Han-lim Kim ),양주석 ( Ju-suk Yang ),배상호 ( Sang-ho Bae ),윤경재 ( Kyung-jae Yun ),조상호 ( Sang-ho Cho ) 대한화약발파공학회 2023 화약발파 Vol.41 No.4

        최근 연구시설 및 자원개발 등의 목적으로 지하공간 활용이 증가하고 있으며, 저심도 암반을 넘어 고심도 암반에 대한 개발이 증가하고 있다. 고심도 지하공간 개발은 높은 응력과 높은 온도 조건에서의 암반의 안정성을 고려해야 한다. 고심도의 경우 암반 구조와 불연속면의 상태 등이 안정성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지진 및 굴착을 위한 암반발파에 의한 지반진동 전파가 지하공동의 응력변화를 발생시켜 암반의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발파공학 측면에서 지반진동을 예측하는 방법은 실측 데이터를 바탕으로 통계학적 회귀분석을 통한 경험적 회귀모형과 수치해석적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단일공 발파에 의한 폭발압력 전파특성과 지반진동 전파특성에 대한 경험적 회귀모형을 획득하기 위하여 실험적 방법을 통해 연구를 수행하였다. Recently, the utilization of underground space for research facilities and resource development has been on the rise, expanding development from shallow to deep underground. The establishment of deep underground spaces necessitates a thorough examination of rock stability under conditions of elevated stress and temperature. In instances of greater depth, the stability is influenced not only by the geological structure and discontinuity of rock but also by the propagation of ground vibrations resulting from earthquakes and rock blasting during excavation, causing stress changes in the underground cavity and impacting rock stability. In terms of blasting engineering, empirical regression models and numerical analysis methods are used to predict ground vibration through statistical regression analysis based on measured data. In this study, single-hole blasting was conducted, and the pressure of the blast hole and observation hole and ground vibration were measured. Based on the experimental results, the blast pressure blasting vibration at a distance, and the response characteristics of the tunnel floor, side walls, and ceiling were analyzed.

      • KCI등재후보

        고위력 폭약의 화강암 내 장약공 폭발에 의한 지반진동 전파특성에 관한 연구

        김경규 ( Gyeong-gyu Kim ),신찬휘 ( Chan-hwi Shin ),김한림 ( Han-lim Kim ),양주석 ( Ju-suk Yang ),배상호 ( Sang-ho Bae ),윤경재 ( Kyung-jae Yun ),조상호 ( Sang-ho Cho ) 대한화약발파공학회 2023 화약발파 Vol.41 No.4

        암반발파는 광업, 터널공사, 지하 구조물 구축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특히 지하공간의 활용이 증가하면서 암반발파 기술이 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암반발파 시 발파공에서 발생하는 발파공의 압력은 파쇄도, 발파진동 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변수이며, 폭약의 성능 평가 및 발파 결과 예측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매개변수 중 하나이다. 이와 같은 발파공 압력은 몇몇 연구자들에 의해 연구가 수행된 바가 있지만, 폭약의 종류, 폭약량, 발파조건 등 실험조건으로 인하여 비교가 어려운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발파공 압력센서와 관측공 압력센서를 제작하여 단일공 발파 시 발파공과 관측공의 압력을 측정하였다.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발파공 주변 압력 전파특성과 발파진동 전파특성에 대해 고찰하였다. Rock blasting is utilized in various fields such as mining, tunneling, and the construction of underground structures. The role of rock blasting technology has became increasingly significant with the growing utilization of underground cavity. Blast hole pressure, generated during rock blasting, is a critical variable directly impacting factors such as crushing and blast vibration. It stands out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parameters for assessing explosive performance and predicting blasting effects. While blast hole pressure has been studied by several researches, comparisons are challenging due to variations in experimental conditions such as explosive type, charge, and blasting conditions. In this study, blast hole pressure sensors and observation hole pressure sensors were developed to measure pressure during single-hole blasting, The experimental results were then used to discuss the propagation characteristics of pressure around the blast hole and the corresponding blast vibration.

      • KCI등재후보

        드로잉 가공 성형폭약용기를 이용한 강재구조 발파공법에서 사용폭약의 종류가 절단성능에 미치는 영향

        김경규 ( Gyeong-gyu Kim ),박훈 ( Hoon Park ),민경조 ( Gyeong-jo Min ),신찬휘 ( Chan-hwi Shin ),조상호 ( Sang-ho Cho ) 대한화약발파공학회 2021 화약발파 Vol.39 No.1

        경제성장과 함께 급증한 산업구조물이 노후화됨에 따라 철 구조물 해체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선형 성형폭약의 관통 성능개선에 관한 연구가 관심을 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자체 제작한 성형폭약 장약 용기 내 사용하는 폭약의 종류와 기폭방식이 강재 절단 성능에 미치는 영향과 근접한 성형폭약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수치해석적인 분석을 수행하였다. 수치해석에는 폭발에 의한 재료의 대변형 해석이 가능한 ANSYS사 LS-DYNA를 사용하였으며 기체, 액체, 고체의 유동해석에 특화된 ALE(Arbitrary-Lagrange-Eulerian) 모델이 적용된다. As the national economic growth and the rapid increase in industrial structures are aging, the demand for removing steel structures is increasing, and research on improving the penetration performance of the linear shape charge explosives. In the study, numerical analyses were performed on the effect of the type of explosive used in the self-made shape charging container and the initiation method on the cutting performance of the steel plate and the effect on the shaped explosive installed close to it. ANSYS LS-DYNA, which can analyze the large deformation problem of materials due to explosion, was used, and an ALE(Arbitrary-Lagrange-Eulerian) model was applied that enables interlocking analysis of gases, liquids, and soli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