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한국의 지질유산 분포와 가치평가: 전라권

        조형성(Hyeongseong Cho),강희철(Hee-Cheol Kang),김종선(Jong-Sun Kim),정대교(Daekyo Cheong),백인성(In Sung Paik),임현수(Hyoun Soo Lim),최태진(Taejin Choi),김현주(Hyun Joo Kim),노열(Yul Roh),조규성(Kyu-Seong Cho),허민(Min Huh),신승원(Seu 한국암석학회 2019 암석학회지 Vol.28 No.4

        최근 지질유산의 보존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확산되고, 지질공원과 같은 다양한 제도적 장치가 마련됨에 따라, 지질유산의 발굴, 가치평가, 체계적인 보존 그리고 관리 및 활용을 위한 노력이 요구되고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전라권을 대상으로 지질유산 발굴, 가치평가 및 등급화, DB 구축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바탕으로 국가지질공원 유망 후보지를 제안하였다. 지질유산의 발굴은 문헌조사를 통해 총 325개의 지질유산 조사대상 목록을 작성하고, 이들 중 지질학적 가치가 높은 158개를 선정하여 상세한 야외조사와 가치평가를 실시하였다. 각 지질유산의 가치평가는 본질적 가치, 부수적 가치, 보존 및 관리의 세 항목으로 구분하여 실시하였다. 본질적 가치는 다시 학술 및 교육적 가치(대표성, 희소성, 다양성, 전형성, 재현성, 특이성)와 지형 및 경관적 가치(규모, 자연성, 심미성)로, 부수적 가치는 기능적 가치, 경제적 가치 그리고 역사 및 문화적 가치로 각각 세분하여 평가하였다. 보존 및 관리분야는 접근성, 편의 및 방호시설, 관리현황 항목에 대해 평가하였다. 지질유산의 관리등급은 본질적 가치의 점수를 기준으로 5단계로 구분하였다. 발굴된 지질유산을 유형별로 살펴보면, 지질학적 특징을 가진 유산이 73개, 지형학적 특징을 가진 유산이 42개, 양쪽 모두를 가진 복합유산이 42개가 발굴되었다. 전라권 지질유산들의 가치평가 및 등급화 결과, 세계급 보호대상인 I 등급은 12개, 국가급 보호대상인 II 등급은 39개, 국가지정 관리대상인 III 등급은 52개, 관리목록 등록대상인 IV 등급은 34개, 마지막으로 목록 작성대상인 V 등급은 21개로 각각 나타났다. 이상의 지질유산 상세 기재와 가치평가 및 등급화 결과들은 Arc-GIS를 기반으로 한 DB로 구축하였으며, 지질유산의 등급과 분포를 바탕으로 ‘지리산 및 섬진강 유역권(구례, 광양, 남원)’과 ‘전남 남해안권(해남, 진도, 고흥, 보성)’의 두 곳을 지질공원 유망후보지로 제안하였다. Recently planification and effort for management, assessment and discovery of geological heritagesare being increasingly demanded with institutional strategies such as geopark, as their preservation is asked socially. In this study, we discovered geological heritages in the Jeolla Province and then performed assessment of the value and grading of them and finally suggested a promising and suitable site for the National Geopark. A total of 325 geological heritages are listed on literature review and then detailed description in field and assessment of the value for selected 158 geoheritages are completed. The assessment items are categorized into intrinsic value, subsidiary value, and preservation/management part. The intrinsic value is subdivided into scientific/educational value, composed of representativeness, rarity, geodiversity, typicality, reproducibility, and particularity, and geomorphological/landscape value composed of scale, naturality (integrity), scenery (aesthetic value). Also, subsidiary value consist of 7 subsections of soil function, ecological function, tourism value, geological resource, historical value, folk tale or legend and symbolic value, and accessibility, convenient facility (infrastructure), management condition (legal protection) is evaluated in preservation/management part. The heritages in the Jeolla Province subdivided into three types: 73 geological heritages, 42 geomorphological heritages, and 42 composite heritages. Based on points acquired in intrinsic value, all geological heritages are graded Class-I to -V. As a result, numbers of geoheritage belong to Class-I (protection at world level), -II (protection at national level), -III (nationdesignated management), -IV (involved management list), -V (candidate management list) are 12, 39, 52, 34, 21, respectively. Finally, we construct database based on Arc-GIS with all informations for each geological heritage and suggest three promising and suitable sites, ‘Jirisan-Seomjingang Area’ and ‘south coast area of Jeolla Province’, for the National Geopar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