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정신질환자 인권지표 설문지의 타당도 및 신뢰도

        배재훈(Jaehoon Bae),윤보현(Bo-Hyun Yoon),남석현(Seok-Hyun Nam),시영화(Yung-Hwa Sea),송제헌(Je-Heon Song),박수희,정하란(Ha-Ran Jung) 대한사회정신의학회 2016 사회정신의학 Vol.21 No.2

        목 적 : 최근에 정신질환자의 인권에 대한 관심은 비단 정신과 영역뿐 아니라 다른 영역에서도 크게 증가하고 있다.본 연구는 2014년도에 홍창희 등에 의해 개발되었던 정신질환자 인권지표(IHM)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방 법 : IHM을 263명의 국립나주병원 입원환자를 대상으로 실시하여, 신뢰도를 내적일치도로 검증하고, 타당도를 탐색적 요인 분석과 모형 적합성을 통해 검증하였다. 결 과 : 탐색적 요인 분석 결과 “인간 존엄성을 추구할 권리”, “입·퇴원 과정에 대한 알 권리”, “입원 및 병동 생활에서의 투명성”, “치료 과정을 알 권리와 자기 결정권”, “사생활 보호”, “치료 환경”, “위생과 건강”의 7개 요인이 선택되었다. 문항의 내적 일치도는 우수하였다(Cronbach’s alpha=.68~.88). 확인적 요인분석에서 RMSEA값으로 본 7요인 모형의 타당도는 적합하였다. 결 론 : 본 연구를 통해 기존에 보고되었던 IHM 척도의 타당도가 개선되어 향후 정신과 영역에서 이를 좀 더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Objective : Recently the human right of people with mental illness has been focused not only in the field of psychiatric practices but also in other areas such as regulatory organiza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questionnaire for the Indicator of Human Rights of People with Mental Illness (IHM) that was designed to assess for them (Hong et al., 2014). Methods : IHM was administered to 263 inpatients in a national psychiatric hospital. Reliability of IHM was tested by internal consistency and validity was tested b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a fitness of the modified model. Results :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vealed 7 factors : 1) Right to human dignity, 2) Right to know about admission & discharge process, 3) Transparency for admission & hospital life, 4) Right to know about treatment and right to self-determination, 5) Privacy, 6) Treatment setting, and 7) Hygiene & Health. The internal consistency using Cronbach’s alpha was excellent (Cronbach’s alpha=.68-.88). The validity of seven factor structure based on confirmatory factory analysis was verified as root mean square error of approximation that was proved as significant. Conclusion : Based on results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validity and utility of the revised IHM was increased. Also, it may be useful to apply to the patients who have mental illnesses.

      • 통계청 근무자를 위한 한국판 직무스트레스 척도의 개발

        윤현주(Hyun Ju Yun),윤보현(Bo-Hyun Yoon),정유란(Yu Ran Jeong),임형문(Hyung-Moon Lim),백수정(Soo Jung Baek),오수정(Soo Jung Oh),조성덕(Sung-Duk Jo),최고은(Ko-Eun Choi),정숙인(Suk-In Jung),강다영(Da Yung Kang),시영화(Yung-Hwa Sea),송제헌( 대한사회정신의학회 2016 사회정신의학 Vol.21 No.2

        목 적 : 본 연구는 통계청 근무자의 직무스트레스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정신건강을 증진하기 위해 통계청의 직무에 특이적인 스트레스 척도를 개발하고 개발된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방 법 : 호남 지역 통계청에 근무하는 남·여 48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한국형 직무스트레스 척도를 기본으로 하고, 예비연구를 통해 문항이 새롭게 보강된 ‘통계청 근무자를 위한 한국판 직무스트레스 척도’(이하 통계청 직무스트레스 척도)를 개발하였으며, 이를 단축형 일반건강척도(GHQ-12), 간이정신진단검사(SCL-90-R), 삶의 만족도 척도(SWLS)를 이용하여 비교하였다. 통계청 직무스트레스 척도 문항에 대한 내적 일치도, 탐색적 요인분석 및 정신건강관련 척도와의 상관분석을 시행하였다. 모든 분석은 SPSS 21.0을이용하였다. 결 과 : 개발된 척도의 문항 내적 일치도는 우수한 편이었다(Cronbach’s alpha=0.56-0.79). 통계청 직무스트레스 척도의 요인분석 결과 직무특성 및 감정노동, 직무적성 및 만족, 조직문화, 상사리더십, 조직 내 관계, 업무부담, 공정한 대우, 급여 및 복지 등 8개의 요인이 선택되었다. 최종적으로 구성된 통계청 직무스트레스 척도와 정신건강관련 척도와의 상관관계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p<0.05). 결 론 : 본 연구에서 개발된 통계청 직무스트레스 척도는 통계청 업무의 특성을 반영하고 있어 통계청 근무자의 직무스트레스 평가 및정신건강 증진에 유용할 것이다. Objectives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Korean Occupational Stress Scale for the National Statistics Office Workers (KOSS-NSOW) and to examin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is job-specific stress scale. Methods : A total of 480 subjects who were working at the Honam National Statistics Office were included. They completed the preliminary KOSS-NSOW, the 12-item general health Questionnaire (GHQ-12), Symptom checklist-90-Revision (SCL-90-R), Satisfaction with the life scale (SWLS). The Data were analyzed for internal consistency, factor structure and correlations using SPSS 21.0 (p<0.05). Results : KOSS-NSOW’s internal consistency using Cronbach’s alpha was superior (Cronbach’s alpha=0.56-0.79). The factor analysis revealed eight-factors: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and emotional labor, Occupational aptitude and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ulture, Leadership of superior, Relationship in organization, Workload, Fair treatment, Salary and welfare were. A good validity was clearly shown by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KOSS-NSOW and GHQ-12, SCL-90-R, SWLS (p<0.05). Conclusion : This newly developed KOSS-NSOW might be useful instrument for the evaluation of occupational stress in the statistics workers and for improving mental healt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