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임교사의 유아 문제행동 지도능력 강화를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송나리 ( Song Na Ri ),권정윤 ( Kwon Jeong Yoon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6 유아교육연구 Vol.36 No.6

        본 연구의 목적은 초임교사의 유아 문제행동 지도능력 강화를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본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구성을 위하여 문헌연구, 요구 조사, 프로그램 시안 구성 및 검토의 단계를 거쳐 최종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목적 및 목표, 교육 내용 및 조직, 교수-학습 방법 및 절차, 평가로 교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본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적용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초임교사 6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2014년 8월 27일부터 2015년 2월 12일까지 총 12회의 교사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또한 면담, 참여관찰, 초임교사 저널, 현장노트, 연구자 저널, 교사교육 후 실시된 토의 내용분석 등의 자료를 수집하여 본 교사교육에 참여한 초임교사들의 질적 변화 과정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초임교사들은 유아 문제행동 지도에 대한 인식, 유아 문제행동 지도 방법, 심리적인 변화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teacher training program for reinforcing newly appointed teachers` ability to guide children`s behavior problems and to examine the program effects on these teachers. A final program was developed for organizing a teacher training program for reinforcing newly appointed teachers` ability to guide children`s behavior problems through the process of the literature review, the investigation and analysis of requirements, the organization of a program draft proposal, and the expert consultation, etc. Teacher training program were established as follows: The teacher training program targets and purposes, educational contents, teaching methods, evaluation. In order to look into application effects of the teacher training program for reinforcing six newly appointed teachers` ability to guide children`s behavior problems, teacher training was performed a total of twelve times from August 27 in 2014 to February 12, 2015. In addition, the process of qualitative changes of newly appointed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eacher training by collecting data of face-to-face talks, participant observation, reflective journals, field notes, researcher journals, analyzed discussion details, etc. Consequently, the teacher training program indicated that newly appointed teachers experienced awareness toward children`s behavior problems, methods of guiding children`s behavior problems, psychological changes.

      • KCI등재

        유야 문제행동 지도에 대한 초임교사들의 경험과 요구

        송나리 ( Na Ri Song ),권정윤 ( Jeong Yoon Kwon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3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0 No.2

        This study explored the newly qualified teachers` teaching experiences and needs regarding children`s behavior problems in order to get effective teaching and guiding methods and teaching improvement.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0 newly appointed teachers who have worked in private kindergartens and child care centers in Korea? The researchers conducted in depth interviews and gathered the data. This study found that firstly, the newly qualified teachers applied the giving attention to the children, circle time discussion and using story books which is about relevant behavior problems, 1: 1 interaction, co-work with family and co-teachers, using time-out, using positive reinforcement, giving a warning being assertive, or threatening loosing teachers` temper on children`s behavior. Secondly, the newly qualified teachers had difficulties for teaching children`s behavior problems. The difficulties were due to the teachers` psychological matters, the difficult relationships with the parents` of the children, and the working environments. Lastly, the newly qualified teachers` wanted psychological and physical supports, intensified pre-service teacher training regarding the guidance for children`s behavior problems, collaboration with professionals, developing a mentoring program, and intensified parent education program for dealing with children`s behavior problems.

      • KCI등재

        시각이미지 분석을 통한 그래픽 T-shirts 활성화 방안 연구 및 제안

        지성(Ji Sung Song),나리(Na Ri Ju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2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8 No.2

        금융위기의 영향 하에서 정부가 중국 경제의 기반인내수시장의 활성화를 위한 내수시장에 발 벗고 나서면서 중국은 세계 최대의 생산 기지인 동시에 세계 최대의 소비 시장으로서의 입지를 굳혀가고 있다. 경제 성장과 더불어 중국인들의 패션의식에도 변화가 일어나면서 의류 구매 시 가격보다는 품질을 중시하고 자신의 개성에 맞는 브랜드 제품을 추구함에 따라 글로벌브랜드들의 중국의 패션내수 시장공략이 활성화되고있다. 1990년대 후반부터 한국 패션 기업들의 중국 시장 진출도 소싱기지 개척의 목적을 기점으로 활발하게진행되었으나 중국인들의 한국에 대한 긍정적 인식에 도 불구하고 성공률이 10%미만으로 추정되면서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다. 본 논문 연구의 목적은 중국 내수 시장에 진출 계획이 있거나 진출 중인 한국 패션기업에 중국 상해의 스트리트 패션과 패션 시장 분석을 통한 선호 패션 그래픽 모티브와 기법을 제시함으로써 현재 중국 패션 시장에 대한 지역적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은 문헌연구와 실증연구를 병행 하였는데, 실증적 연구에서는 중국 패션도시이자 경제중심 도시인상해를 선정하여 중요 패션 거리에서 2011년 S/S 시즌 현지 촬영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결과 판독이 용이한 20∼30대 성인 여성의 사진 3000장의 유형을 분류,분석 하였다. 상해의 5곳의 장소의 사진을 분석한 결과 티셔츠의 시각 요소 중 가장 높은 빈도의 모티브는 타이포, 캐릭터, 감성형 심플 도형 순위였고 기법요소로는 스팽글, 핫픽스, 큐빅등의 소재를 활용한 기법이 가장 높은빈도를 차지 하였다. 다음으로는 나염과 실사이미지를 활용한 그래픽의 선호도가 높게 나왔다. 분석결과 20-30대 중국 여성의 패션 그래픽 모티브 선호 유형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위의 원리를 바탕으로 현지중국내의 브랜드에 적용을 제안해 보았다. 본 연구의 내용과 결과로 고객의 선호도와 발빠른시장 트렌드의 중요성을 알 수 있었으며, 더 나아가추후 지속적인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한다면 빠르게 급변하고 예측하기 힘든 현대의 소비자들의 패션 트렌드를 빠르고 더 정확히 예측 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다. Under the influence of a financial crisis, as the government has taken measures in order to vitalize a domestic market whose base is the Chinese economy. Therefore, China is consolidating itself as both the world`s largest production base and consumption market. Along with its economic growth, a change in Chinese people`s awareness of fashion has taken place, thereby emphasizing quality over price upon purchasing clothes, while pursuing brand clothes tailored to their own taste. This, in turn, has allowed global brand makers to actively advance into China`s fashion market. Since the late 1990s, Korean fashion companies have also actively advanced into the Chinese market with an aim to establish sourcing bases, however they are struggling in the market with only 10% of a success rate despite Chinese people`s positive image on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regional data on the current Chinese fashion market to Korean companies that plan to advance into Shanghai, China or that are already stationed in the city by suggesting a preferred fashion graphic motive and technique through analyses on Shanghai`s street fashion and the city`s fashion market. A study method combines both a literature study and an empirical study. An empirical study was conducted in Shanghai, China`s city of fashion and of economy by filming the city`s major fashion streets with a theme of 2011 S/S season. As a result, 3,000 pictures of adult female in their 20s to the 30s were classified and analyzed. As a result of analyzing pictures of five places in Shanghai, the most frequent motives for a t-shirt`s visual factors are typo, character, and sentimental simple figures in order. As for technique factors, techniques using spangle, hotpix, and cubic were most frequent in order. Next, preferences for graphics that employ textile printing and real images were high. As a result of the analysis, we were able to understand a preferred type of a graphic motive for Chinese women in their 20s to the 30s.

      • KCI등재후보

        저출산 문제에 대한 기독교인의 담론분석

        규운 ( Song Kyu-woon ),송나리 ( Song Na-ri ) 서울신학대학교 기독교신학연구소 2018 神學과 宣敎 Vol.52 No.-

        본 연구는 오늘날 우리 사회의 문제가 되고 있는 저출산 문제에 대해 기독교 교인들은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이를 해소하기 위한 교회의 역할이 무엇인지에 대해 알아보는 데 연구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미혼 청년 및 부부, 목회자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에 참여한 연구 대상자들은 자녀를 출산하고 양육하는 것이 당연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는데, 이는 출산이 하나님의 축복으로 여기는 기독교적 신념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저출산 문제 해소를 위한 교회의 역할에 대해서는 자녀를 출산하고 양육하는데 있어서 바른 가치관 형성을 도울 수 있는 신앙교육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또한 어머니의 출산 및 양육을 지원해 줄 수 있는 아기 학교나 어머니 모임 등과 같은 공동체 모임을 통한 지원이 필요하다고도 하였다. 이 외에도 아버지의 양육 참여를 지원해 줄 수 있는 아버지를 위한 교육 및 공동체 모임의 필요성에 대해서도 요구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on Christian’s children’s perspective on the low birth rate, which has become a problem of our society, and the role of churches for solutions. The interviewees went through in-depth interviews. The interviewees include single adults, married couples, and pastors. Based on the result of this research, having children and raising them is considered natural because the belief that conceiving children is a gift from God influences the interviewees’ mind. The interviewees stated that role of churches needs to include a faith education that constructs righteous values. Also, community supports that are provided by baby schools or groups of moms are needed. Moreover, the necessity of supports and educations and community for fathers was brought up, which helps father to involve in raising children.

      • KCI등재

        어린이집 CCTV 의무화로 인한 유아 문제행동 지도의 어려움 및 개선방안

        권정윤 ( Kwon Jeong Yoon ),송나리 ( Song Na Ri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8 유아교육연구 Vol.38 No.2

        본 연구는 어린이집 교사들이 유아의 문제행동을 지도할 때 CCTV로 인해 어떠한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개선방안은 무엇인지를 알아보는데 연구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어린이집 교사 10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여 2017년 5월부터 9월까지 심층면담을 실시하고 부가적으로 참여관찰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교실에 CCTV가 설치된 상황은 교사가 적극적인 문제행동 지도를 할 수 없는 어려움을 초래하고 있었다. 교사들은 CCTV 설치 이전에 비해 제한적인 신체접촉을 하거나 적극적인 지도를 회피하고 소극적인 방식으로 지도하고 있었으며 이에 대한 한계를 느끼는 모습도 보여주었다. 또한 교사들은 CCTV 설치로 인해 유아의 문제행동을 지도할 때 지도와 아동학대라는 경계선 사이에서 심리적인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교사들은 문제행동을 지도하는 과정에서 CCTV를 의식하여 위축되고 불안한 모습을 보여주었고, ‘어떻게 보이는가’의 측면에서 다양한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린이집 CCTV 의무화로 인한 유아 문제행동 지도의 어려움 개선방안에 대해서 교사들은 문제행동 지도 측면을 고려한 새롭고 명확한 아동학대 기준 마련, 문제행동지도 상황 이해를 위한 부모 소통 기회 확대, 변화된 환경을 반영한 문제행동 지도 관련 연수 및 전문가 자문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기초로 어린이집 CCTV 의무화 법안의 개정 필요성을 제기하였고 유아를 존중하면서 문제가 되는 행동을 지도하는 긍정적인 행동지도 방법의 실천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iculties that teachers experience when teaching children with behavior problems due to the mandatory CCTV in child care centers and how to improve these difficulties regarding addressing children’s behavior problems. A number of 10 child care teachers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and subjected to in-depth interviews from May to September, 2017.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context in which CCTV is installed in the classroom is causing difficulties in teaching method and psychological stress for teachers. Teachers showed limited physical contact, only used verbal notice, avoided active guidance, and felt restricted as compared to the time before the CCTV’s installation. Teachers were experiencing psychological difficulties in guiding behavior problems of children due to the installation of CCTV, oscillating between the boundary of guidance and the concern for being accused of child abuse. Teachers are concerned that the process of teaching behavior problems might be seen as child abuse, showed a shrinking and anxious state, and expressed difficulties in terms of ‘how it looks'. As for the ways to improve the difficulties in teaching behavior problems of children due to the mandatory CCTV in child care, teachers suggest that new standards of child abuse should be established considering the aspect of problem behavior, expand parent participation to understand the situation of child care and behavior guidance, and training and expert support for behavior problems guidanc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necessity to reform the mandatory CCTV in child care legislation was raised, and the necessity of practicing positive behavior strategies to guide problem behaviors while respecting children was discussed.

      • KCI등재

        포토보이스를 통해 나타난 영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연구

        이옥희 ( Lee Ok Hui ),송나리 ( Song Na Ri ),박성은 ( Park Sung Eun ),정유리 ( Jeong Yu Ry ) 한국유아교육학회 2021 유아교육연구 Vol.41 No.6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의 영유아를 지도하고 있는 영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 및 어려움, 요구를 탐색하고자 2021년 4월부터 5주 동안 포토보이스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연구를 실행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7명의 영유아교사를 연구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토론과 개별면담을 진행하였으며 이 과정을 통해 사진 및 전사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다문화교육에 대해 영유아교사들은 다문화교육이란 일상적이고 필수적인 교육, 다름을 인정하고 존중하는 교육, 공감부터 시작해야 하는 교육으로 인식하였다. 다문화교육을 실행하며 경험하는 어려움에 대해서는 교사가 갖고 있는 편견이나 다문화교육에 대한 실천적 지식이 부족하다고 하였다. 또한 이 외에도 다문화교육을 할 때 다양성을 어디까지 인정해야 하는지 고민하게 되며 부모들이 가진 역사적 인식이나 고정관념들로 인해 어려움을 경험하게 된다고 하였다. 마지막으로 다문화교육을 실행하기 위해 필요한 지원에 대한 영유아교사의 요구로는 유아교육기관에서 다문화교육을 실행하기 위한 적절한 환경이 지원되기를 원하였다. 또한 새로운 방식의 부모교육, 다문화가정의 영유아를 담당하는 영유아교사에 대한 경제적 지원, 지역사회와의 연계를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다문화교육을 실행하는데 가장 핵심적인 요소인 영유아교사들이 직접 사진을 찍어 참여하는 포토보이스 연구를 통해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과 어려움, 요구에 대하여 주도적으로 이야기를 풀어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s, difficulties, and needs regarding multicultural education in their instructions for infants and you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utilizing the photovoice methodology for five weeks starting in April, 2021. In the study, seven early childhood teachers participated in focus group discussions and individual interviews, through which photograph and transcription data was collected and analyzed.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considered multicultural education as daily and essential education, education to recognize and respect differences, education to respect individuality, and education that should start with empathy. While providing multicultural education, they experienced difficulties caused by their prejudices and lack of practical knowledge about multicultural education. In addition, they expressed concern over the degree of diversity to be recognized in multicultural education. Their difficulties also stemmed from parents’ biases and historical preconception. As for support,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requested a proper environment for multicultural education to be created at their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Moreover, they recommended a renovated approach for parental education, financial support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in charge of you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connection with the local community. In this present study,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which are the principal protagonis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took a leading role in discussing their perceptions, difficulties, and needs regarding multicultural education through the photovoice methodology of taking pictures themselves, which grants significance to the study.

      • KCI등재

        유아교육기관에서의 놀이에 대한 유아교사의 생각과 갈등

        이승숙(Lee, Seung Suk),송나리(Song, Na Ri),배지희(Bae, Ji Hi) 한국육아지원학회 2017 육아지원연구 Vol.12 No.4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에서 이루어지는 유아 놀이에 대해 교사들은 어떠한 생각을 가지고 있으며 유아의 놀이를 계획하고 실행하는 과정에서 교사들이 경험하는 갈등은 무엇인지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유아의 놀이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에 따라 유치원 및 어린이집에 재직하고 있는 유아교사 14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교사들은 유아의 놀이란 유아 스스로가 즐거움을 느끼는 것이라고 생각하였으며, 교사가 의도적으로 계획한 활동이라 하더라도 유아들이 즐거움을 느낀다면 그 역시도 놀이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사들은 놀이를 유아들이 자유롭게 선택하는 것이라고 생각하였다. 교사가 유아의 놀이를 계획하고 실행하는 과정에서 어떠한 갈등을 느끼고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교사들은 많은 업무로 인하여 유아의 놀이를 위한 준비를 할 수 있는 시간이 부족하고 유아들과 놀이를 할 시간이 부족할 때 갈등을 느끼게 된다고 하였다. 또한 열악한 놀이 환경 속에서 갈등을 느끼고 있었으며 최근 미세먼지로 인해 실외 놀이가 제한되고 있는 상황 속에서도 갈등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에도 자신이 가지고 있는 놀이의 신념과 맞지 않는 상황일 때, 놀이규칙과 유아의 자유로운 선택 사이에서 갈등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xamined teachers’ perceptions of children’s play and the tensions in the planning and implementation of children’s playtime at kindergarten and childcare centers. In-depth interviews conducted with 14 early childhood teachers revealed that they highly value children’s joy and pleasure in play. The teachers felt that activities planned by teachers could also be considered as play if children experienced joy and pleasure in the activity. In addition, teachers thought that children should be allowed to make their own choices for play.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d that teachers experienced tensions due to inadequate preparation time for children’s play as well as lack of time to play together. Further challenges included poor play facilities for play, restrictions in outdoor play activities due to the fine dust air pollution problem, and classroom rules that were in conflict with children’s freedom in play activities.

      • KCI등재

        2019 개정 누리과정을 반영한 놀이지도 대학전공교재 분석

        이옥희(Ok Hui Lee),송나리(Na Ri S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5

        목적 본 연구는 2019 개정 누리과정의 놀이 중심 교육과정이 유아교육 현장에서 활발하게 실행될 수 있도록 놀이지도 대학전공교재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2019 개정 누리과정을 반영하여 2021년 9월까지 출간된 놀이지도 교재 10권을 선정하여, 교재 전체 구성 비율을 분석하고, 교재의 이론편과 실제편을 구분하여 내용을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결과, 놀이지도 대학전공교재 개발 방향에 관한 내용으로 먼저, 구성 측면에서는 이론과 실제 비중의 적절성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내용 측면에서는 교육과정 개정 목적 및 실행 사례 증대, 놀이 환경 재구성의 내용과 사례 증대, 놀이 관찰 및 평가의 내용 변화, 영아 대상의 실제편 증대, 실제편 구성에 대한 보편적인 합의 선행, 교사들의 놀이 지원 방향성 제시, 누리과정 5개 영역 및 내용 범주의 통합 구성 제시, 다양한 놀이 유형 및 놀이 자료 제시 등을 제안하였다. 결론 이에 본 연구는 놀이지도 대학전공교재에 대한 내용분석을 통해 향후 놀이지도 대학전공교재를 개발하는데 여러 시사점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Objectives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directionality of college major textbooks on play instructions so that the play-oriented curriculum of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can be actively implemented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Methods This paper selected 10 play instruction textbooks published by September 2021, reflecting the 2019 revised Nuri course and analyzed the content by dividing the total composition ratio of textbooks and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sections of textbooks. Results Regarding the development directions of college major textbooks on play instructions, the findings raise a need to strike balance between theory and practice in terms of composition. In terms of content, the study proposed to increas the purpose of curriculum revision and implementation cases, increas the contents and examples of reconstructing the play environment, change the content of play observations and assessments, increase real practices for infants, reach a universal consensus on the composition of real practices in advance, provide directionality for teachers' play supports, integrate the five areas and content categories of the Nuri Curriculum in composition, and provide a variety of play types and materials. Conclusions The present study analyzed the content of revised college major textbooks on play instructions and provided several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future college major textbooks on play instructions, thus holding its significance.

      • KCI등재

        유아 문제행동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유형화 연구: Q 방법론적 접근

        김소영 ( Kim So Young ),손난희 ( Son Nan Hi ),송나리 ( Song Na Ri ) 한국유아교육학회 2020 유아교육연구 Vol.40 No.5

        본 연구는 Q방법을 활용하여 유아 문제행동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을 유형화하고 각 유형에 따른 특성을 분석하였다. 개방형 설문지를 통해 94개의 Q 모집단을 구성하였고, 범주화 과정을 거쳐 총 40개의 Q 표본을 추출하였다. 이후 P 표본 대상으로 선정된 유아교사 41명에게 Q 표본 진술문을 분류하도록 하고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유아 문제행동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은 5가지로 유형화되었는데, 제 1유형-유아발달에 근거하여 인식하는 유형, 제 2유형-유아가 표현하는 어려움으로 인식하는 유형, 제 3유형-타인을 괴롭히는 행동으로 인식하는 유형, 제 4유형-교사의 편견이 문제라고 인식하는 유형, 제 5유형-바람직하지 못한 행동의 연속성으로 인식하는 유형으로 명명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유아 문제행동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이 다양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향후 유아 문제행동 지도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어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categorized the awarenes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bout children’s problematic behaviors and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using Q Methodology. A total of 94 Q populations were organized with an open questionnaire and 40 Q samples were extracted through a categorization process. Afterwards, 41 early childhood teachers selected as the P sample were asked to sort Q sample statements for execution of a factor analysis. The result is as follows. The awarenes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bout children’s problematic behaviors was categorized into the following 5 types. Type 1 was named as a type recognizing problematic behaviors on the basis of early childhood development; Type 2 as a type recognizing problematic behaviors with the difficulties expressed by children; Type 3 as a type recognizing problematic behaviors as those harassing others; Type 4 as a type thinking that the prejudice of the teacher is the problem; and Type 5 as a type recognizing problematic behaviors as continuity of undesirable behaviors.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re are various kinds of recogni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bout children’s problematic behaviors, and it is expected that the findings of this study could be utilized when addressing problematic behaviors of children in the future.

      • KCI등재

        만 2세 다정반의 놀이 중심 보육과정 실천에 대한 실행연구

        이옥희 ( Lee Ok Hui ),박성은 ( Park Sung Eun ),송나리 ( Song Na Ri ) 한국유아교육학회 2021 유아교육연구 Vol.41 No.2

        본 연구는 만 2세 다정반의 놀이 중심 보육과정 실천에 대한 과정과 영아와 교사의 경험을 탐색하고자 다정반 교사와 영아 4명을 대상으로 실행연구를 수행하였다. 2020년 10월부터 12월까지 참여관찰 일지, 영아의 놀이 장면을 녹화한 동영상, 교사의 반성적 저널, 교사와 연구자의 면담, 보육일지 등의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다정반의 놀이 중심 보육과정 실천에 대해 살펴본 결과 ‘문제파악 및 변화의 계획단계: 진짜 놀이에 대한 고민과 실천을 위한 발돋움하기’, ‘실천과 변화: 놀이 들여다보기와 놀이 지원하기’, ‘반성 단계: 상호작용을 통한 놀이의 의미와 배움을 발견하기’, ‘발전 계획: 교사가 주도하는 놀이에서 영아가 주도하는 놀이로 변화하기’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놀이 중심 보육과정을 실천하는 과정에서 영아들은 긍정적 몰입을 통한 즐거운 놀이, 자발적이고 주도적인 놀이, 소통을 통한 협동 놀이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사는 놀이 중심 보육과정을 실천하는 과정에서 놀이 중심 보육과정의 이해 및 교사의 인식 변화, 영아에 대한 이해 증진, 시행착오를 통한 교사 효능감 증진을 경험하였다. 본 연구는 놀이 중심 보육과정이 실제 보육현장에서 어떻게 실천되어 나가며 영아와 교사가 어떤 경험을 하게 되는지를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action research was conducted with the teacher and four two-year-old infants of Class Dajeong in order to explore the process of play-centered childcare of the class and their experiences. From October to December 2020, observation logs, video recording of the infants playing, the teacher's reflective journal, the results of an interview with the teacher, and childcare journal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results of investigating the play-centered childcare of Class Dajeong are as follows. First, the process included “Problem identification and planning for change: Contemplating on the real play and improving for practice,” “Practice and change: Looking into and supporting play,” “Reflection: Discovering the meaning and learning of play through interaction,” and “Development plan: Transforming from teacher-led play to infant-led play.”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infants experienced joyful play through positive immersion, initiative and proactive play, and cooperative play through communication during the process of practicing play-centered childcare. In addition, the teacher experienced a change in understanding and perception of play-centered childcare, increased understanding of infants, and improved teacher efficacy based on trial and error.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examined how play-centered childcare is practiced on the ground, and what experiences infants and teachers undergo.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