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COVID-19 시대 남녀 대학생의 불확실성에 대한 감내력 부족과 정신건강: 규칙적 생활양식의 조절효과

        송경희(Keng-hie Song),이종표(Jong-pyo Lee),차세영(Se-young Cha),노명은(Myeong-eun Noh) 한국발달지원학회 2021 발달지원연구 Vol.10 No.3

        본 연구는 COVID-19 장기화로 대학생의 정신건강(우울 및 정신적 웰빙)을 악화시킬 수 있는 불확실성에 대한 감내력 부족의 효과를 확인하고, 이 관계에서 규칙적 생활양식의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를 위하여 남녀 대학생(만18-25세) 318명이 온라인 자기보고식 설문에 참여하였다. 지각된 코로나 스트레스를 통제변인으로 하여 위계적 회귀 모델로 분석한 결과, 불확실성에 대한 감내력 부족은 남녀의 우울을 정적으로 예측하였고, 여성의 정신적 웰빙을 부적으로 예측하였다. 규칙적 생활양식은 남녀의 우울을 부적으로, 정신적 웰빙은 정적으로 예측하였다. 다음으로 불확실성에 대한 감내력 부족과 규칙적 생활양식의 상호작용항은, 종속변인이 우울인 경우, 남녀 모두 유의했지만, 정신적 웰빙이 종속변인일 경우 남녀 모두에게서 유의하지 않았다. 조절효과의 구체적 양상을 확인한 결과, 규칙적 생활양식이 낮아질수록, 불확실성에 대한 감내력 부족과 우울의 관계는 더욱 강해지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COVID-19 시대 남녀 대학생의 정신건강을 위해 불확실성에 대한 감내력 증진과 규칙적 생활의 중요성을 강조해 주며, 나아가 성별에 따른 차별적 개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oderating effects of daily routines in the relation between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mental health (depressive symptoms and mental well-being) among college students during COVID-19. Self-reported data from 318 college students (18-25 years old) were analyzed, using the hierarchical regression model. After controlling perceived COVID-19 stress, intolerance of uncertainty not only positively predicted depressive symptoms for both gender but also negatively predicted the mental well-being of females. Regardless of gender, daily routines were negatively associated with depressive symptoms however, it predicted mental well-being positively. The moderating effects of daily routines in the relation between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depressive symptoms were significant. Specifically, when college students reported lower daily routines, the relation between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depressive symptoms was strengthened regardless of gender. However, the moderating effect of daily routines was not significant for mental well-being. These results emphasize the importance of decreasing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increasing daily routines to promote mental health among college student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Also, this study sheds light on the necessity of gender-specific intervention strategies to improve college students’ mental health.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