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컨테이너항만의 환적항 결정요인 분석

        박병인(Byungin Park),성숙경(Soukkyung Sung) 한국항만경제학회 2008 韓國港灣經濟學會誌 Vol.24 No.1

        우리나라는 투포트시스템(two-port system)을 정책기조로 삼아 부산과 광양항을 동북아 지역의 컨테이너 환적중심항만으로 발전시키는 노력을 경주해왔다. 그러나 2007년 들어 특히 광양항의 환적화물이 전년대비 31.4%나 급감하였다. 이는 북중국 화물에 대한 환적중심항전략이 북중국의 항만개발 및 선사직기항 증가로 환적물동량 증가율이 저하된 때문이다. 이에 우리나라가 추구하던 환적중심항전략이 일대 전기를 맞고 있다. 본 연구는 Lirn 외(2004)를 기반으로 계층분석기법(AHP)을 활용하여 컨테이너항만들이 동북아의 환적항으로 발전하기 위한 요인들을 환적항의 주요 고객인 국내외 선사입장에서 규명하고자 했다. 본 연구에 따르면 환적항결정을 위한 주요인으로 선사비용과 항만입지, 하위요인으로 컨테이너처리비용, 주항로근접성, 선사전략, 그리고 피더항근접성이 확인되었다. 한편, 운영사들은 환적항으로 발전하기 위해 비용 등 특정요인들에 집중하는 데 비해, 선사들은 운영사들 보다 더 많은 요인들을 중시하는 것으로 분석되어, 향후 연구결과를 참고하여 환적항 전략이 수정되어야만 할 것이다. Korea has been doing a two-port system as a main port development policy and developing the port of Busan and Gwangyang as the transshipment hubs in the northeast Asia. However, the growth rate of the transshipment container volume of the Gwangyang port in 2007 was sharply dropping more than 31.4%. The reasons why reduced the growth rate of transshipment cargo were from the port development in north China and the direct callings of ships. Therefore, it is time to evaluate the transshipment hub port policy of Korea. This study would recognize the decision criteria of shipping companies as customers for the transshipment hub in the northeast Asia by the AHP methodology based on Lirn et al. (2004). It has been known the costs of shipping companies and port location as the main first tier criteria for transshipment ports, and container handling charges, closeness to the main navigation route, carriers' strategy, and nearness to the feeder ports as the important second tier factors. Finally, the domestic terminal operating companies would focus on only a few attributes including the terminal cost factor, but the international shipping companies would be considering more several factors than they do. Therefore, the transshipment port strategy should be enriched in the near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