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직무순환에 대한 공정성 지각이 직무만족 및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세대유형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성경환(Gyeonghwan Seong),양성병(Sung-Byung Yang),최세연(Se Yeon Choi) 한국경영학회 2022 Korea Business Review Vol.26 No.2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도래와 더불어 급격한 변화와 치열한 경쟁에 직면해있는 오늘날의 경영환경에서 조직들은 조직 내외의 변화에 유연하게 대처하는 인적자원관리 전략의 하나로 직무순환을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있다. 직무순환에 관한 기존 연구들은 형태와 횟수 등의 형식적인 면에 치중해왔으나, 동일한 인사제도라 하더라도 구성원의 인식에 따라 태도와 성과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직무순환에 대한 구성원의 인식이 직무태도 및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살펴보는 것은 매우 중요하며, 이때 구성원의 특성 또한 함께 탐색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구성원 인식인 공정성 지각에 초점을 맞추어 직무순환에 대한 지각된 공정성의 세 가지 차원이 각각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고 더 나아가 조직유효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 대하여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때, 조직이 다양한 연령대의 비동질적인 집단이라는 점을 고려하여 구성원의 특성 중 세대별 유형이 각각의 과정을 어떻게 조절하는지 여부를 함께 탐색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국내 기업에서 근무 중인 X세대와 밀레니얼 세대 직장인 250명을 대상으로 실증연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세 가지 조직공정성 중 분배공정성이 직무만족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직무만족은 조직유효성의 지표 중 조직몰입과 직무성과에는 정적인 영향을, 이직의도에는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세대별 유형에 따른 차이도 보고되었는데, 상호작용공정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은 밀레니엄 세대보다는 X세대에서 더욱 크게 나타났으며, 직무만족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X세대보다는 밀레니얼 세대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직무순환에 대한 공정성 지각이 직무만족 및 조직유효성에 영향을 미치고, 이 과정에서 세대별로 차이를 보인다는 이론적 및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Facing rapid changes and fierce competition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organizations have actively employed job rotation as one of the human resource management strategies. Job rotation can play a crucial role in improving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competitiveness, and employees’ perception of job rotation can significantly influence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outcomes. This study focuses on the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justice in job rotation based on organization justice theory and aims to explore its effect on employee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addition, considering that the organization is a heterogeneous group of various age cohorts, we also investigate how different age cohorts affect this process. To test the hypotheses, we conducted an empirical study on 250 employees consisting of Generation X and Millennials working in domestic (South Korean) organizations. The results showed that, among the three dimensions of organizational justice, distributive justice is positively related to job satisfaction, which in turn leads to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e., organizational commitment, job performance, and turnover intention). In addi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actional justice in job rotation and job satisfaction is stronger in Generation X than in Millennials, while the one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is stronger in Millennials than in Generation X.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 provide important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n how the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justice in job rotation influences employee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how differences in generation affect this influencing mechan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