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감의 이용(利用)에 관(關)한 연구(硏究) -(제5보(第五報)) 삽시의 Polyethylene Film 저장(貯藏)에 따른 최적(最適) Film 두께의 조사(調査)-

        손태화,최종욱,조래광,석호문,종환,온수,하영선,강주회,Sohn, T.H.,Choi, C.J.,Cho, R.K.,Seog, H.M.,Seong, C.H.,Seo, O.S.,Ha, Y.S.,Kang, J.H.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1978 한국식품과학회지 Vol.10 No.1

        청도반시와 사곡시 두 품종(品種)을 polyethylene film의 두께와 포장(包裝) bag내(內)의 과실개체수(果實個體數)에 따라 구분저장(區分貯藏)하였을 저장시일(貯藏時日)의 경과(經過)에 따른 성분변화(成分變化)를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중량감소(重量減少)에 있어서, 청도반시는 50개(個) 포장(包裝)의 0.04mm구(區)가, 사곡시는 10개포장(個包裝)의 0.08mm구(區)와 50개포장(個包裝)의 0.04mm구(區)가 가장 감소(減少)가 적었다. 2. 경도(硬度)의 변화(變化)에 있어서 청도반시, 사곡시 모두 50개포장(個包裝)의 0.04mm구(區)가 가장 감소(減少)가 적었다. 3. 유리산(遊離酸)의 감소(減少)에서 청도반시는 50개포장(個包裝)의 0.04mm구(區)가, 사곡시는 10개포장(個包裝)의 0.06mm구(區) 및 50개포장(個包裝)의 0.04mm구(區)가 감소율(減少率)이 낮았다. 4. 당도(糖度)의 변화(變化)에서, 10개포장(個包裝)의 0.06mm구(區) 및 0.08mm구(區)와 50개포장(個包裝)의 0.04mm구(區)가 감소(減少)가 적었다. 사곡시는 10개포장(個包裝) 및 50개포장(個包裝)의 0.04mm구(區)가 가장 감소(減少)가 적었다. 5. 가용성(可溶性) tannin의 함량변화(含量變化)에 있어서 청도반시와 사곡시 두 품종(品種) 모두 3개(個) 포장(包裝)과 10개포장(個包裝)의 0.04mm구(區)가 타구(他區)에 비(比)해 잔존량(殘存量)이 많았다. 한편 두 품종(品種) 공(共)히 50개포장(個包裝)의 전구(全區)가 저장말기(貯藏末期)에 tannin함량(含量)이 적어서 삽미(澁味)가 거의 느껴지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結果)를 종합(綜合) 할 때 청도반시와 사곡시의 P.E film저장(貯藏)의 최적조건(最適條件)은 두 품종(品種) 모두 0.04mm film bag에 50개(個) 포장(包裝)하는 것임을 알수 있었다. This experiment was made to select the optimum thickness of the polyethylene (P.E) film for Cheongdo Bansi and Sagoksi in the P.E film storage kept at $0^{\circ}C$. The experimental plots were divided into 4 plots by film thickness (0.04, 0.06, 0.08 and 0.10mm) and those were subdivided into 3 plots by fruits number (3, 10 and 50 persimmons) in each film bags. We investigated five experimental items; the change of loss of weight, firmness, titratable acidity, sugar contents and soluble tannin contents. 1. In the changes of loss of weight, the plot of packing in 0.04mm P.E. film bag with 50 persimmons were more retarded than other plots in Cheongdo Bansi, and packing in 0.08mm with 10 persimmons, 0.04 mm with 50 persimmons were more retarded than other plots in Sagoksi. 2. In the change of softening, the plot of packing in 0.04 mm with 50 persimmons were more retarded than other plots in Cheongdo Bansi and Sagkai. 3. In the changes of titratable acidity, the plot of packing in 0.04 mm with 50 persimmons were more slightly decreased than other plots in Cheongdo Bansu also in Sagoksi, packing in 0.06 mm with 10 persimmons were the same results. 4. In the changes of soluble tannin contents, the plots of packing in 0.06 mm with 10 persimmons, 0.04 mm with 50 perimmons were more ratarded in Chenongdo Bansi, also in Sagoksi, packing in 0.04 mm with 10 persimmons 50 persimmons were the same results. 5. In the changes of soluble tannin contents, the plots of packing in 0.04mm with 3 and 10 persimmons were more slowly decreased than other plots in Cheongdo Bansi and Sagoksi, on. the other hand, pcaking in 0.04mm with 50 persimmins in Cheongdo Bansi and Sagoksi, had not astringent taste at 120 days in storage. Judging through the upper results, the most desirable storage conditions for Cheongdo Bansi and Sagoksi were to pack in P.E film bag of 0.04mm with 50 persimmons.

      • SCOPUSKCI등재
      • KCI등재후보

        중북부지역 답리작 보리담근먹이 조제이용 연구

        김원호(W. H. Kim),신재순(J. S. Shin), (S. Seo),정의수(E. E. Chung),임영철(Y. C. Rim),박근제(G. J. Park),최순호(S. H. Choi),이종경(J. K. Lee),유근창(G. C. Ryu)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003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23 No.4

        본 연구는 중복부지역 합리작에서 총체보리 조제방법별 조제시간 그리고 사료가치에 미치는 연구를 위해 1999부터 200l년까지 수행하였다. 총체보리 조제방법별 건물수량은 트랜치 사일로와 원형곤포 사일리지에 각각 ha당 I2.562kg과 12.555kg으로 비슷하였으나 가축기호성은 원형곤포 사일리지로 저장하는 것보다 트랜치로 저장하는 것이 좋았으며, ha당 트랜치 사일리지와 원형곤포 사일리지의 작업시간은 각각 4.9와 57시간이었다. 또한 일일 작업면적은 트랜치와 원형곤포 사일리지 각각 4ha와 3ha이었으며, 원형곤포 사일리지 조제시 효율적인 작업일은 7일정도 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