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소년기 또래관계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SNS 중독의 매개효과 검증

        강선경 ( Kang Sun-kyung ),서상형 ( Seo Sang-hyeong ) 한국정치사회연구소 2023 한국과 국제사회 Vol.7 No.6

        본 연구는 생애주기 관점에서 볼 때 청소년기의 우울이 일생 전반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에 주목하였다. 또한, 청소년기의 관계가 오프라인을 넘어 온라인까지 확장되고 있는 가운데 또래관계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SNS중독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 것을 본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청소년 646명을 대상으로 경로분석을 실시한 결과 첫째, 청소년의 또래관계가 높을수록 SNS중독과 우울은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매개효과 검증결과 청소년의 또래관계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SNS중독은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또래 관계가 SNS중독을 감소시키고 차례로 우울을 낮추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SNS addiction on the effect of peer relationships on depression, as adolescent depression has a lasting impact from a life-cycle perspective, and as adolescent relationships are expanding beyond offline to online. To this end, a path analysis was used on 646 adolescen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higher the peer relationship, the reduced the SNS addiction and depression. Second, the mediation effect was confirmed that SNS addiction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effect of peer relationship on depression. That is, peer relationship reduced SNS addiction and in turn lowered depression. Based on the above results, suggestions were made for future studies.

      • KCI등재
      • KCI등재

        장애인이 인식한 비장애인의 장애 이해도와 삶의 질의 관계에서 수요자 중심서비스 이용 경험의 매개효과

        이소영(So Young Lee),강선경(Sun-Kyung Kang),서상형(Sang Hyeong Seo) 한국장애인복지학회 2024 한국장애인복지학 Vol.63 No.-

        본 연구는 장애인복지 서비스 전달체계가 공급자 중심에서 수요자 중심으로 전환 됐음에도 불구하고 수요자 중심서비스 이용 경험을 조명한 연구가 미비한 것에 주목하였다. 이에 사회통합이론과 수요자 중심이론에 근거하여 장애인이 인식한 비장애인의 이해도와 삶의 질 관계에서 수요자 중심서비스 이용 경험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남양주시 지역 장애인복지 전달체계 구축방안 연구”에 응답한 157명을 대상으로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고, 가설 검증을 위해 Spss Process Macro를 활용하여 매개효과 검증을 하였다. 주요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장애인이 인식한 비장애인의 장애에 대한 이해도가 높을수록 장애인의 삶의 질은 높아졌다. 둘째, 수요자 중심서비스 이용 경험이 높을수록 장애인의 삶의 질이 높아졌다. 마지막으로 장애인이 인식한 비장애인의 장애에 대한 이해도와 삶의 질 관계에서 수요자 중심서비스 이용 경험은 부분매개를 하였다. 제시된 결과는 사회통합이론과 수요자 중심이론을 지지하는 바이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비장애인의 장애에 대한 이해와 수요자 중심의 서비스 제공의 필요성을 논의하였으며, 연구의 한계점을 통해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is study focused on the lack of research on consumer-centered service use experiences despite the fact that the disability welfare service delivery system has shifted from provider to consumer-centered. Therefore, based on social integration theory and consumer-centered theory,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consumer-centered service use experi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isabled people's understanding of non-disabled people's perceived disability and their quality of life. For this purpose,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SPSS PROCESS MACRO were used to conduct a mediation test on 157 respondents who responded to a study on how to build a local welfare delivery system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in Namyangju. The results show that, first, the higher the disabled people's understanding of non-disabled people's perceived disability the higher the quality of life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Second, the higher the experience of using consumer-centered services, the higher the quality of life of people with disabilities. Fin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disabled people's understanding of non-disabled people's perceived disability and their quality of life was partially mediated by their experience in using consumer-centered services. The presented results support the social integration theory and the consumer-centered theory. Finally, the need for non-disabled people's understanding of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the provision of demand-centered services was discussed,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made through the limitations of the future stud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