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죽음준비교육의 연구동향 분석

        김신향,변성원,Kim, Sin-Hayng,Byun, Soung-Won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14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2 No.12

        본 연구는 석박사 학위논문과 학술지논문의 죽음준비교육 124편 연구물에 대한 연구실태와 연구동향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도별 경향은 1990년대에는 8편에 불과하였으며, 2005-2009년에 들어와 50편(40.3%)으로 매우 높은 연구 성장을 보였다. 출처에서는 석사 학위논문이 59편(47.6%)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둘째, 연구 전공별 동향은 신학에서 가장 선두적으로 연구되었으며 사회복지학에서 29편(28.4%)으로 가장 많이 연구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대상별은 노인이 35편(40.5%)으로 가장 많이 연구되었다. 넷째, 연구방법별은 문헌연구가 61편(49.2%)로 가장 많았다. 다섯째, 죽음준비교육 중재프로그램은 실험집단-통제집단 사전 사후 설계로 총 회기는 5-8회기. 주회기는 주1회, 1회기 활동시간은 100-120분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죽음준비교육 중재프로그램의 효과변인은 죽음불안이 23편(31.5%)으로 가장 많은 효과 검증이 되었다. This study analyzed the studies and their trends, specifically 124 master's and doctoral theses, as well as research papers on the topic of education on death published from 1990 to 2014. The study's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trends by year, there were only 8papers in the 1990s but this figure saw a dramatic jump from 2005 to 2009 to a total of 50papers(40.3%). The majority of them, 59papers in total, were master's theses(47.6%). Second, in terms of the study field, theological studies took the lead and studies on social welfare accounted for 29papers(28.4%) which was the largest share. Third, in terms of study subjects, senior citizens were used in the majority of papers or 35papers(40.7%) in total. Fourth, in terms of methodology, literature studies accounted for 61papers(49.2%) which was the largest share. Fifth, for mediation programs education on death, the preferred method of study was to have a before-after design using a control group and experiment group. The most common number of total sessions was 5-8sessions with one session per week and each session lasting for about 100-120minutes. Sixth, as for the effect variable of mediation programs for education on death, death anxiety was the most frequently studied variable at 23 papers(31.5%).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중 핵심기본간호술 수행자신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김동옥(Dong-Ok Kim),변성원(Soung-Won Byun),이혜진(Haejin Lee) 한국산학기술학회 2019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0 No.7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중 핵심기본간호술의 수행자신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시행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경상북도 G시에 소재한 4년제 간호학과에 재학중인 3, 4학년 학생 190명으로 일반적 특성 및 임상실습 특성, 핵심기본간호술 경험 정도와 수행자신감을 설문조사하였다. 자료분석은 기술통계, t-test, 분산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수행경험한 핵심기본간호술의 수는 5개 이하가 51.1%였으며, 관찰경험한 핵심기본간호술의 수는 11개 이상 78.4%였다. 일반적 특성, 임상실습 만족도와 핵심기본간호술 경험 정도에 따른 수행자신감은 남자, 연령과 학년이 증가할수록, 전공만족도와 임상실습 만족도가 높아질수록 높아졌으며, 특히 수행경험한 핵심기본간호술의 수가 증가할수록 높아졌다(p<0.001). 하지만 수행자신감은 관찰경험한 핵심기본간호술의 수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p=0.463). 간호대학생의 수행자신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연령, 학년, 임상실습 만족도와 수행경험한 핵심기본간호술의 수로 나타났다. 따라서 간호교육과정에서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중 다양한 핵심기본간호술을 직접적으로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늘리는 것이 중요하고, 보안책으로 시뮬레이션 교육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was a descriptive study conducted to identify factors that had an influence on clinical competency of core basic nursing skills(CBNS) during the clinical practice in nursing students. Data were collected from 3rd and 4th grade 190 nursing students in G city using self-report questionnaire, and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he t-test, one way ANOVA, multiple regression with SPSS 23.0 program. This study found that the number of experience CBNS below 5 was 51.1%, and the number of observation CBNS over 11 was 78.4%. Clinical competency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and the level of CBNS experience increased with male, increase age and grade, and major subject satisfaction and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especially, as the number of experience CBNS increased, clinical competency increased(p<0.001). But clinical competency did not differ according to the number of observation CBNS(p=0.463). The factors affecting the clinical competency of nursing students were age, grade,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and the number of experience CBN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increase the opportunity to directly experience the various CBNS in clinical practice of nursing students in the nursing education curriculum, and it is necessary to find ways to actively use simulation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