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표준화 체험활동이 중학생의 기술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정진우(JinWoo Jung),김창훈(Changhoon Kim),백현일(Hyunil Baek) 표준인증안전학회 2017 표준인증안전학회지 Vol.7 No.4

        이 연구는 표준화 체험활동이 중학생의 기술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영가설을 설정하였다. 표준화 체험활동을 적용하기 전과 후의 중학생의 기술적 태도는 ①기술에 대한 흥미, ②기술의 성 역할, ③기술의 중요성과 영향, ④기술의 접근 용이성, ⑤기술과 학교수업, ⑥기술 관련 진로, ⑦기술과 창의적 활동과 같은 하위 요소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없을 것이다.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중학교 35명을 대상으로 자유학기제 수업에서 ‘단일집단 사전 사후검사 설계’모형을 적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대응표본 t-검증 실시하여 통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표준화 체험활동은 중학생의 기술적 태도 향상에 효과적이었다. 둘째, 표준화 체험활동은 중학생의 기술에 대한 흥미, 기술과 학교수업, 기술 관련 진로, 창의적 활동에 관한 태도를 높이는데 효과적이었다. 셋째, 표준화 체험활동은 중학생의 기술의 성 역할, 기술의 중요성과 영향, 기술의 접근 용이성에 관한 태도를 향상시 키는데 효과적이지 못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s of standardization hands-on activity on technology attitude of Junior Highschool Students. The following null hypothesis was stated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s of technological attitude of Junior Highschool Students before and after applied hands-on activity in sub-elements ①interest in the technology, ②technology’s gender role, ③technology s importance and influence, ④accessibility to technology, ⑤technology and school learning, ⑥technology-related career, and ⑦technology and creativity. One-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applied to Free semester system of ○○ middle school for this experimental research.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62 questions developed by Lee and was modified to suit the level of middle school students. The data were collected and interpreted statistically by paired samples t-test using SPSS(ver. 22).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 First, standardization hands-on activity of Junior Highschool Students was effective in raising technological attitude. Second, standardization hands-on activity of Junior Highschool Students was effective in enhancing interest in technology, technology and school learning, technology-related career, and technology and creativity. Third, standardization hands-on activity of Junior Highschool Students was not effective in improving attitude on technology’s gender role, technology s importance and influence, accessibility to technology

      • KCI등재

        초·중·고등학교 기술교육에서 표준화 교육 내용 분석

        정진우(JinWoo Jung),김창훈(Changhoon Kim),백현일(Hyunil Baek) 표준인증안전학회 2016 표준인증안전학회지 Vol.6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초·중·고 기술교육에서 표준화 관련 교육 내용을 분석하여 기술 교과에서의 표준화 교육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연구 방법으로 문헌 연구를 통해 분석 틀을 개발하였으며, 전문가 집단의 자문을 통해 수정 보완하였으며, 중학교 12종, 고등학교 7종 교과서를 내용 구성 비율, 표준 교육 내용 제시 순서, 삽화, 내용 비중, 내용 제시 방식 등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내용 구성 비율 결과 표준화 내용이 포함되어 있는 단원에서 표준 교육이 차지하는 구성 비율이 중학교 5.8%, 고등학교 7%를 보였다. 둘째, 표준 교육 내용 제시 순서 분석 결과 대부분의 교과서에서의 표준의 개념, 표준의 목적, 표준의 중요성, 표준화 사례 순으로 제시하였다. 셋째, 삽화 분석 결과 사진, 그림의 형태로 대부분 제시되었으나 제시된 수가 10개 이내로 매우 적었다. 넷째, 내용 비중 분석 결과 대부분의 교과서에서 표준의 개념, 표준의 목적, 표준의 장점 들을 다루었으나 표준화 체험활동은 대부분 다루지 않았다. 다섯째, 내용 제시 방식 분석 결과 대부분의 교과서에서 그림, 표, 삽화 등과 문장으로 혼합되어 기술되어 있어 학습자가 기술된 문장을 읽고 다양한 형태의 삽화를 통해 이해하기 쉽게 제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eaching material related to standardization in technology education in secondary education, and provide base data for the subject. For the study, the framework of analysis was developed through reviewing previous articles, modified it by consulting a expert group, and the analysis was done on the proportion of the contents, sequence of the presentation of the standardization education, pictures, weight of the contents, and the way of presenting the contents of twelve textbooks of secondary level and seven textbooks of high school.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hapters concerning the contents of standardization show 5.8 percent and 7 percent of the component proportion for standardization education in secondary level and high school each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component proportion. Second, most of the textbooks present the contents in the order of the definition, purpose, importance, instances of standardization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sequence of the presentation of the contents of the standardization education . Third, the result of the analysis of pictures shows that there are less than 10 pictures in the textbook, which is very few. Fourth, the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weight of contents shows that most of the textbooks deal with the definition, purpose, advantage of standardization. However, most of them do not cover the activities for standardization. Fifth, the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method of presentation of contents shows that most of the textbooks offer the contents with the pictures, tables in order to help the learners understand it with ea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