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조경용 상록활엽수의 식재가능범위 분석

        박석곤 ( Seok Gon Park ),명유정 ( Yu Jeong Myeong ),주슬기 ( Seul Gi Ju ),백규석 ( Gyu Seok Back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5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5 No.2

        우리나라 상록활엽수림은 연평균기온 14℃이상, 한랭지수 -10(℃·월) 이상인 남해안 일대 및 제주도, 도서지역의난온대 기후대에 주로 분포하고 있다. 우리나라 상록활엽수의 천연분포 면적은 약 9850ha로 한반도 산림면적의 1.53%에 해당되어 그 면적이 협소한 편이다. 조경수로서 상록활엽수는 내음성이 강한 편으로 대형빌딩, 아파트단지 등의반음지에 식재가능하고 낙엽수에 비해 항상 도시에 녹음을 제공하여 녹음수로서 가치가 높다고 할 수 있다. 또한 환경오염, 병충해에 대한 내성이 높아 유지관리가 용이하며, 조경수로서의 상록활엽수 활용은 조경식물 소재의 다양화에기여할 수 있다. 그러나 상록활엽수는 내한성이 약해 주로남부지방에만 심을 수 있다고 인식하여, 조경용 식물소재로서 활용성이 낮고 식재범위가 좁다는 문제점이 있다. 반면, 지구온난화, 도시의 열섬효과, 국지적 미기후 현상 등으로 우리나라의 상록활엽수 식재가능 범위의 확대가 예측된다. 또한, 상록활엽수종별로 기온에 대한 내성 및 완충능력이다르기 때문에 수종에 따라 자생지보다 식재가능범위가 더넓을 것이고 일부 수종은 중부지방까지 생육 가능할 것이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상록활엽수의 식재가능범위를 구체적으로 파악하고자 조경수로서 활용되는 상록활엽수대상으로 식재관련 문헌조사 및 내한성 분석을 토대로 천연분포역, 식재분포역, 내한성범위를 지도화하여 지역별 상록활엽수의 식재가능범위를 추정하였다. 한반도에 자생하는 난온대 상록활엽수종은 약61속 132종으로 알려져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조경용으로 생산되고활용되는 수종으로 한정하기 위해 조달청 고시자료에 기재된 조경용 상록활엽수 20종을 공시재료로 선정했다. 공시재료로 선정된 수종으로는 가시나무, 구실잣밤나무, 먼나무, 황칠나무, 후박나무, 광나무, 굴거리나무, 까마귀쪽나무, 동백나무, 아왜나무, 호랑가시나무, 금식나무, 꽝꽝나무, 다정큼나무, 돈나무, 팔손이, 회양목, 사철나무, 모람, 송악 등20종이 선정되었다. 천연분포역은 수종이 자생하는 분포범위로서 국립수목원에서는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관속식물을 대상으로 현지에서 채취한 표본을 토대로 한반도 관속식물 분포도를 제작했는데 이 문헌에서 제시한 상록활엽수의 분포도를 공시재료의 천연분포역 조사에 활용하였다. 식재분포역은 인위적으로 식재되어 생육하는 수종의 분포범위로서 관련논문, 한국조경신문, 한국조경수협회, 국립수목원 자료를 활용하여각 지역에 식재된 수종을 찾아서 식재분포역을 조사하였다. 구체적으로 학술연구정보서비스(www.riss.kr)에서 상록활엽수 식재관련 키워드를 검색하여 관련논문을 최대한 수집하여, 지역별 식재된 상록활엽수종을 조사하였다. 또한, 2007년~2015년 3월까지 발간된 한국조경신문의 조경수매매 정보마당 부분과 한국조경신문사이트(www.latimes.kr)‘나무팝니다’ 커뮤니티에서 농장주소와 그 농장에서 재배되는 상록활엽수종을 지역별로 정리하였고, 한국조경수협회 회원들의 지역별 상록활엽수 생산수종 정보를 활용하였다. 이 생산업체에서 상록활엽수를 재배·생산한다는 점은이 지역에서 상록활엽수를 식재해 생육가능한 식재분포역이라 판단하였다. 또한, 국립수목원의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www.nature.go.kr)에서는 수종별 자생분포지역 및 식재범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는데 그 정보를 공시재료 식재분포역 조사에 활용하였다. 마지막으로 상록활엽수는 내한성이 약한 편으로 동해를 입기 쉽기 때문에 내한성분포범위 분석을 실시하였는데 공시재료 20종에 대한 내한성 강도를 관련문헌(김종근 등, 2014) 및 내한성 정보(www.plantlust.com) 자료를 활용해, 우리나라 시군별 최저온도를 기준으로 미국 농무부가 제안한 내한성 분포등급(26개, Zone 1a~13b)을 토대로 시군별 내한성지도를 작성하여공시재료별 상록활엽수 식재가능범위를 분석하였다. 우리나라 전국에 분포하는 회양목은 천연분포역과 식재분포역, 내한성범위가 비슷했지만, 남부지방 및 도서지역에 분포하는 난온대 상록활엽수는 천연분포역보다 식재분포역 및 내한성범위가 넓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식재분포역보다 내한성범위가 넓은 수종은 구실잣밤나무, 굴거리나무, 먼나무, 황칠나무, 꽝꽝나무, 금식나무, 모람 등으로 분석되었다. 반대로, 식재분포역이 내한성범위보다 넓은 수종은 까마귀쪽나무, 후박나무, 돈나무, 동백나무, 송악이며, 식재분포역과 내한성범위가 비슷한 수종은 가시나무, 광나무, 사철나무, 다정큼나무, 아왜나무, 팔손이, 호랑가시나무였다. 우리나라 상록활엽수의 천연분포역은 주로 남부 및 도서지역으로 협소한 편이었지만, 식재분포역 및 내한성범위가중부지역 및 수도권 지역까지 식재 가능할 것으로 분석되어그 범위가 더 넓었다. 이는 도시의 열섬효과, 국지적 미기후현상, 지구온난화 등의 외적요인과 함께 상록활엽수종의 저온에 대한 내성 등의 내적요인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반면, 이 연구에서 이용된 문헌은 주로 도시지역 및 인근에상록활엽수의 식재 및 재배관련 자료와 미국 농무부의 내한성 강도기준을 토대로 도출된 상록활엽수종별 식재가능성을 추정한 것이다. 실제로, 수종별 식재가능지역에 상록활엽수를 식재할 경우에는 식재지의 미기후 및 극단적인 저온등의 생육환경을 고려하고, 동시에 식재수목의 저온순화 과정이 필요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