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보육교사의 장애관련 경험과 교사효능감이 통합보육태도에 미치는 영향

        백경순 ( Kyoung Sun Baek ),이태훈 ( Tae Hoon Lee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2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3 No.1

        선행연구에서 장애유아의 통합보육을 확대하는데 보육교사의 통합보육에 대한 태도가 중요한 요소로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장애관련 경험과 교사효능감이 통합보육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보육교사의 통합보육태도를 증진시키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연구 대상은 D시에 위치한 어린이집 보육교사 160명을 선정하여 설문지로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보육교사의 통합보육태도는 보통 수준이었고, 교사효능감은 보통 보다 다소 높은 수준이었으며, 특수교육과목 이수나 장애유아 통합경험 같은 장애관련 경험은 매우 낮았다. 둘째, 통합보육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연령, 경력, 특수교육과목 이수 여부, 통합보육 경험 유무, 교사효능감 7개 변수를 투입한 결과 교사효능감만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 향후 보육교사의 장애 유아 통합보육에 대한 태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교사효능감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며, 보육교사의 장애관련 현직연수 강화와 통합보육에 대한 긍정적인 경험을 확대하는 유인책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degree of disability related experience and efficacy belief for the integrated childcare attitude. So, it surveyed on how do 160 childcare teachers recognize about the attitude for integrating disability infants. The major finding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hildcare teacher`s intergrated childcare attitude was average level, teacher efficacy belief more high than average level, and disability related experience very low. The integrated childcare attitude of childcare teacher was no difference according to age and work duration. Second, the factors affecting the intergrated childcare attitude was only the efficacy belief of childcare teacher, but not affected age, work duration, and disability related experience. Hereafter, to improve the intergrated childcare attitude of childcare teacher need to ralise a efficacy belief of teacher and provide an in-service training courses of the integrated childcare of disability infant.

      • KCI등재

        영유아의 생활지도와 관련된 연구동향 분석

        백경순 ( Kyoung Sun Baek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3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4 No.3

        본 연구는 영유아의 생활지도와 관련된 논문을 분석하여 연구동향을 파악하고 향후 영·유아의 일상생활지도에 도움이 되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 논문은 『미래유아교육학회지』, 『열린유아교육연구』,『유아교육연구』,『유아교육학논집』의 4개의 등재 학술지에 게재된 98편의 “생활지도 관련 논문”이었다. 연구결과, “생활지도와 관련된 연구”는 미흡한 편이지만 2010년부터 활발해지는 경향을 보였다. 연구내용은 “유아의 행동”을 심도있게 분석한 논문이 가장 많았고, “교사의 교수행동”에 관한 연구는 적은 편이었다. 또한 세부적 연구주제는 적응(학기초, 초등학교), 기본생활 습관(예절, 정리정돈, 식생활, 경제습관, 규칙, 인사, 배변, 낮잠, 가정생활), 대인관계(갈등, 우정 또는 또래관계, 배려, 도움, 나눔) 등 이었다. 연구유형으로는 질적 연구가 많은 편이었고, 연구대상은 주로 유아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으며, 소수계층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기도 하였다. 자료수집은 관찰과 면담을 많이 사용하였고, 자료분석은 질적분석과 다중분석을 많이 사용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근거로 유아의 생활지도에 관한 교육내용을 집대성하고, 교수방법을 발달시키는 기반을 마련 하는데 기여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the research trends of theses on guidance for children in order to offer data that will give information on children`s educational guidance. The subject of this study were 98 pieces of daily life studies published by『Journal of Future Early Childhood Education』,『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 Review』.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Studies related to daily life of children" were insufficient but starting from 2010, the studies started to become active. In the contents of the study, "children`s behavior" took the largest amount of the contents. On the other hand, the least studied contents were "teacher`s instructional behavior." More detailed subjects of the study are adaptation(the beginning of the preschool term, elementary school), daily habits(manners, cleaning and arrangement, eating habits, economic habits, rules, greeting, defecation, napping, home life), personal relations(disagreement, friendship and peer relationship, regarding another person`s feelings, helping, sharing). In the type of study, qualitative research method was used most frequently. The studies were mostly focused on young children. Observation and interview were used most profoundly for data collection. The data was analyzed by qualitative analysis and multiplexed analysis. As a result, this study has integrated the contents related to children`s educational guidance, and provided groundwork for the improvement of instructional meth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