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LIDMOD2를 이용한 안동여고 옥상녹화 및 우수저류조 유출량 저감효과 모의

        배다혜 ( Da-hye Bae ),전지홍 ( Ji-hong Jeon ),박진비 ( Jin-bee Park ),배민지 ( Min-jee Bae ) 한국농공학회 2010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0 No.-

        경북 안동시에 위치한 안동여자고등학교의 건물에 대하여 LID기법 중에 하나인 옥상녹화와 지하우수저류조를 설치할 경우 건물에서의 연간 유출량 저감효과를 LIDMOD2에 의해 분석을 실시하였다. 안동여자고등 학교 부지 중 옥상녹화가 가능한 건물옥상은 총 1,790m2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총 인원이 626명이다. 강우량은 1999년에서 2008년 동안의 연간 일별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10년 평균 연강우량은 1,238.2mm인 것으로 나타났다. 건물옥상 전면을 옥상녹화를 설치하는 것으로 하였으며, 옥상녹화에서 유출된 유출유량은 다시 지하우수저류조에 저장되어 화장실 용수로 재활용 하는 것으로 대안을 설정하였다. 저류조의 용량은 토지주택연구원에서 제시한 학교용지의 빗물이용시설용량설정 가이드라인을 사용하였는데, 빗물이용시설 용량은 건축면적에 강우량 50mm에 해당하는 량으로 설정하였다. 일별 화장실용수량은 0.064 m<sup>3</sup>/day/cap로 설정한 결과 총 일별 화장실용수량은 40 m<sup>3</sup>/day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조건으로 LIDMOD2를 적용한 결과, 지하우수저류조의 용량은 90톤 인 것으로 나타났다. 옥상녹화와 지하저류조를 설치하지 않은 경우에는 연간 건물에서의 총 유출량은 1058.66mm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옥상녹화와 지하저류조를 설치한 경우에는 589.33mm로 건물에서의 유출량의 약 44%가 저감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effect of green roof and storm water storage facilities, which are one of the integrated management practices (IMPs) of low impact development (LID), on reducing runoff from Andong Woman High School was simulated using LIDMOD2. Area of rooftop is 1,790m<sup>2</sup> and the number of students are 626. The design rainfall of storm water storage facilities was 50mm and daily water reuse for toilet per person was 0.064 m<sup>3</sup> /day/cap. As a result of LIMOD2, the storage volume of storm water storage facilities was about 90 ton and total maximum amount of reuse for toilet was 40 ton/day. Annual runoff from build without and with green roof and storm water storage facilities were 1,058.66 mm and 589.33 mm, respectiv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