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새송이 버섯 재배사의 환경요인 계측

        박성우 ( Park Sung-wh ),윤용철 ( Yoon Yong-cheol ),서원명 ( Suh Won-myung ),이근후 ( Lee Keun-hoo ) 한국농공학회 2003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03 No.-

        Pleurotus eryngii is one of the most promising mushrooms produced on the domestic farms. The quality as well as quantity of Eryngii is sensitively affected by micro climate factors such as temperature, relative humidity, CO<sub>2</sub> concentration, and light intensity. At the commercial mushroom cultivation house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find out reasonable range of each environmental factor and yield together with economic and safe structures influencing on the optimal productivity of Eryngii.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from Jan. 26, 2003 to Aug. 2, 2003. Ambient temperature during the experiment period was not predominantly different from that of a normal year. The capacity of the hot water boiler and the piping systems were not enough. Maximum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growth stage during a heating time zone was about 6℃. The max. and min. relative humidity were ranged approximately 42-100%. The CO<sub>2</sub> concentration and the illuminance were lowly maintained during growing period. The average yield per bottle was about 54~102g.

      • 새송이버섯 재배사의 환경인자 계측 -영구재배사를 중심으로-

        윤용철 ( Yoon Yong-cheol ),박성우 ( Park Sung-wh ),서원명 ( Suh Won-myung ),이근후 ( Lee Keun-hoo ) 한국농공학회 2004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04 No.-

        새송이버섯 재배사의 환경조절실태를 조사하기 위하여 농가에 위치한 샌드위치패널을 이용한 영구재배사 2동을 중심으로 환경인자를 계측하여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내부온도 분포를 보면, 동절기에 전체적으로 난방이 용량이 부족하고, 재배사 내부의 공기유동이 원활하지 못하기 때문에 충간 온도편차가 크게 발생하였다. 그러나 전년도 지역의 온도편차 보다는 다소 양환 것으로 나타났다. 하절기의 경우는 설정온도보다 약간 높게 유지되는 경향은 있지만, 동절기와 같이 충간 온도편차도 나타나지 않았기 때문에 에어컨 용량에는 큰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재배기간동안 최소 상대습도는 진폭이 아주 큰 것으로 나타났지만, 평균상대습도는 전년도 측정했던 농가에 비해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경향을 보이고 있었다. 탄산가스 농도의 경우, 발이초기에는 1,000ppm이하로 거의 일정하게 유지하고, 그 이후는 상대적으로 높게(발이후기)-낮게(생육초기)-높게(생육기》-낮게(생육후기) 유지하는 경향이 있었다. 그리고 실험기간동안 상 · 하충간 탄산가스 농도차이가 거의 없었다. 조도는 위치에 따라 최소 3㏓부터 최대 6㏓까지 조도분포가 다양하고, 배지의 산도는 5.0~6.0 사이로 재배기간 동안 큰 변화가 없었다. 수확량은 재배기간이나 재배 동에 관계없이 일정하지 않았다. 또 등외품이 재배사별로 각각 26~39% 및 23~50%정도의 범위였다. 또한 전체 수확량을 평균적으로 살펴보면, 동별로 각각 병당 약 117~ 168g 및 72~175g정도로 나타났다. 이것은 전년도 두개 지역의 생산량 54~102g 및 67~85g 과는 상당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소비전력은 재배시기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일반적으로 4~6월의 소비전력이 비교적 적고 하절기보다 동절기에 전력소비량이 많은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Pleurotus eryngii is one of the most promising mushrooms being produced on the domestic farms. The quality as well as quantity of Eryngii is sensitively affected by micro climate factors. To safely produce high-quality Eryngii all the year round, it is required that the environmental factors be carefully controlled by well designed structures equipped with various facilities and control systems. This study was carried out at the commercial mushroom cultivation houses to find out reasonable range of each environmental factor and yield together with economic and safe structures influencing on the optimal productivity of Eryngii.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from Nov. 20, 2003 to Jul. 13, 2004 in Eryngii. cultivation houses. The environmental factors measured for this study were inside/outside temperature, relative humidity, CO<sub>2</sub> concentration, light intensity and pH in Pleurotus eryngii medium. In addition, the yield and quality of mushroom and electric power consumption were made investig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