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장양(藏釀) 기술이 사용된 전통 고숙성 된장에서 유래한 o-Dihydroxyisoflavone 유도체의 생리활성

        김동현 ( Dong Hyun Kim ),박준성 ( Jun Seong Park ),박녹현 ( Nok Hyun Park ),문은정 ( Eun Jeong Moon ),유선혜 ( Sun Hye Yu ),김덕희 ( Duck Hee Kim ),김한곤 ( Han Kon Kim ) 대한화장품학회 2009 대한화장품학회지 Vol.35 No.3

        된장은 한국의 독특한 발효 식품이며 장양이라 불리는 전통적인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고숙성 된장에서 새롭게 생성된 성분과 그것의 생리활성을 측정하였다. 5년 숙성된 된장으로부터 새로운 o-dihydroxyisoflavone인 7,3',4'-trihydroxyisoflavone과 기존에 알려진 두 가지의 o-dihydroxyisoflavone을 각각 분리하여 다른 isoflavone과의 항산화 효과 및 미백효과를 비교 측정하였다. Diphenyl-1-picrylhydrazyl (DPPH) 활성 저해 효과는 7,8,4'-trihydroxyisoflavone (compound 1), 7,3',4'-trihydroxyisoflavone (compound 2) 그리고 6,7,4'-trihydroxyisoflavone (compopund 3)은 각각 21.5 ± 0.2, 28.7 ± 0.4 그리고 32.6 ± 0.6 (IC<sub>50</sub>)을 나타낸 반면 daidzein은 이들에 비해 약한 DPPH 활성 저해 효과를 나타냈다. Superoxide 소거 효과는 L-ascorbic acid에 비해 compound 1 (IC<sub>50</sub> = 18.10 ± 0.2 μM)과 2 (IC<sub>50</sub> = 10.54 ± 0.4 μM)가 보다 효과적인 반면 compound 3과 daidzein은 이들에 비해 낮은 활성을 나타냈다. 또한 melan-a cells에서 o-dihydroxyisoflavone 유도체들의 티로시나제 활성과 멜라닌 생성을 비교 측정하였다. 특히 Compound 1 (IC<sub>50</sub> = 11.21 ± 0.2 μM), 2 (IC<sub>50</sub> = 5.23 ± 0.6 μM)의 경우 compound 3과 daidzein에 비해 티로시나제 활성을 억제하는데 효과가 있었으며 또한 멜라닌 생성을 50 % 억제할 때의 결과에서 이들 화합물은 각각 12.23 ± 0.7 μM (1), 7.83 ± 0.7 μM (2)과 같이 멜라닌 생성 억제 효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고숙성 된장에서 유래한 7,3',4'-trihydroxyisoflavone은 항산화 및 미백효과를 가지는 화장품 소재로써 사용 가능하리라 판단된다. Doenjang (Korean fermented soybean paste) is a unique fermented food in Korea. It has been traditionally manufactured from soybeans, by Jang Yang process. We focused on the newly formed compound in highly aged Doenjang and its biological activity. One new o-dihydroxyisoflavone, 7,3',4'-trihydroxyisoflavone and two known o-dihydroxyisoflavone derivatives were isolated from 5-year-old Doenjang and evaluated as potent antioxidant and whitening effect by comparing with other known isoflavone. 7,8,4'-Trihydroxyisoflavone (compound 1), 7,3',4'-trihydroxyisoflavone (compound 2) and 6,7,4'-trihydroxyisoflavone (compound 3) inhibited DPPH (diphenyl- 1-picrylhydrazyl) formation by 50 % at a concentration of 21.5 ± 0.2, 28.7 ± 0.4 and 32.6 ± 0.6 (IC<sub>50</sub>) respectively, whereas daidzein showed weak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n superoxide scavenging effect were measured in one assay. Compound 1 (IC<sub>50</sub> = 18.10 ± 0.2 μM) and 2 (IC50 = 10.54 ± 0.4 μM) show significant inhibitory activity and greater effect than L-ascorbic acid. But compound 3 and daidzein showed lower inhibition activity. Also, o-dihydroxyisoflavone derivatives evaluated as potent inhibitors on tyrosinase activity and melanin formation in melan-a cells. Compound 1 (IC<sub>50</sub> = 11.21 ± 0.2 μM), compound 2 (IC<sub>50</sub> = 5.23 ± 0.6 μM) exhibited significant inhibitory effect on tyrosinase activity. Furthermore, those compounds are significantly suppressed the cellular melanin formation by 50 % at a concentration of 12.23 ± 0.7 μM (1) and 7.83 ± 0.7 μM (2). This result suggests that 7,3',4'- trihydroxyisoflavone from highly aged Doenjang could be used as an active ingredient for cosmetics.

      • KCI등재후보

        저온용출법을 이용한 검은콩, 작약, 녹차 추출물의 두피 개선 효과

        민대진 ( Dae Jin Min ),박녹현 ( Nok Hyun Park ),황정선 ( Jung Sun Hwang ),문성호 ( Sung Ho Moon ),이기현 ( Ki Hyun Lee ),이존환 ( John Hwan Lee ),안수미 ( Soo Mi Ahn ),김한곤 ( Han Kon Kim ) 대한화장품학회 2009 대한화장품학회지 Vol.35 No.1

        두피의 이상은 탈모, 비듬, 가려움증 등의 두피 질환으로 이어지며, 아직까지 정확한 원인이 규명되지 않은 상태여서 발병하면 치료가 쉽지 않다. 따라서 두피의 생리적인 항상성을 유지해서 두피를 건강한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두피 질환 예방 및 치료에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다. 최근 두피 및 모발용 화장품 분야에서는 한의학적으로 효능이 있다고 알려진 약재들을 원료로 사용하려는 시도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현재까지 화장품 원료로 사용되는 한약재는 대량생산과 규격화 등의 문제로 뜨거운 물에 우려낸 열수추출물을 제형에 혼합하는 형태로 사용하고 있는데, 이 과정에서 고온에 의한 영양소와 효능성분의 파괴는 불가피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의학적으로 두피 개선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는 검은콩, 작약, 녹차 잎을 대상으로 성분파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저온용출법으로 효능 성분을 추출하고, 이 추출물들의 두피 개선 효능을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 저온용출물들은 열수 추출물보다 평균 2배 이상 높은 항산화력을 보유하였으며, 모낭 및 모발 강화, 두피 보습, 가려움 방지에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검은콩, 작약, 녹차잎의 저온용출물은 두피 트러블을 해결하는 효과적인 두피 개선 원료로 활용될 수 있다. Problems with scalp lead to hair loss, dandruff, itchiness, and other illness. No clear causes of these problems have been found and it is difficult to treat them. Therefore, the best way to prevent and treat any problems with scalp is to maintain physiological homeostasis of scalp to keep it healthy. Recently, many scalp and hair product brands have attempted to use medicinal herbs which have been extracted in hot water and mixed with other ingredients due to mass-production and standardization issues. However, many nutrients and active substances are destroyed by hot-water extraction. Therefore, this study has applied low-temperature rendering to minimize destruction of substances to extract black beans, peony, and green tea that are known to improve conditions of scalp. Then, their contribution to the improvement of scalp health was assessed. In result, it was found that low-temperature rendering retains over two times greater anti-oxidizing strengths than hot-water extraction and that the extracts from low-temperature rendering effectively strengthen follicles and hair, moisturize scalp, and prevent itchiness. Therefore, low-temperature rendered black beans, peony, and green tea extracts can be used to make effective scalp treatments.

      • KCI등재

        제주용암해수의 피부 보습 효과 연구

        이성훈 ( Sung Hoon Lee ),배일홍 ( Il-hong Bae ),민대진 ( Dae Jin Min ),김형준 ( Hyoung-june Kim ),박녹현 ( Nok Hyun Park ),최지예 ( Ji Hae Choi ),신진섭 ( Jin Seob Shin ),김은주 ( Eun Ju Kim ),이해광 ( Hae Kwang Lee ) 대한화장품학회 2016 대한화장품학회지 Vol.42 No.4

        제주용암해수는 미네랄과 영양염류가 풍부한 물로 제주만이 보유한 지하수자원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제주용암해수의 피부 보습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피부의 건조함을 막고 수분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표피층의 장벽기능이 정상적으로 기능하고, 표피층 내 수분의 유지와 이동이 원활히 이루어져야 한다. 제주용암해수를 각질형성세포에 처리한 결과 표피층의 분화과정과 natural moisturizing factor (NMF) 생성과정에 관여하는 유전자인 필라그린과 caspase-14 유전자의 발현양이 증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막관통 단백질로 수분의 이동을 조절하는 aquaporin 3 (AQP3) 유전자 발현양과 단백질 발현양도 제주용암해수 처리에 의해 증가하였다. 인공피부를 이용한 실험에서 제주용암해수를 배지에 처리하고 배양한 결과 hyaluronic acid (HA)의 수용체인 CD44의 발현양이 증가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제주용암해수는 피부 보습과 관련된 인자들의 발현 양을 증가시켜 피부의 보습기능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Many minerals and nutrient salts are abundant in Jeju lava sea wat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skin hydration effects of Jeju lava sea water. The skin barrier serves as a protective barrier that prevents the loss of moisture. The water holding capacity and water transport of the epidermis have been proposed to be important determinants of skin hydration. Jeju lava sea water increased the mRNA expression of filaggrin and caspase-14 which is related to natural moisturizing factor (NMF) formation. Aquaporins 3 (AQP3) are proteins that facilitate the transport of water across cell membranes. Jeju lava sea water increased the mRNA expression and protein expression of AQP3. We employed a skin equivalent model to assess the efficacy of Jeju lava sea water. In a skin equivalent model, Jeju lava sea water increased the CD44 (hyaluronic acid receptor) which is related to skin hydration. From these results, we found out Jeju lava sea water maybe help to skin hydr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