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문,사회과학편 : 춤 호흡 훈련이 한국 춤 동작에서 상체 움직임에 미치는 영향

        이경화(KyungHwaLee),박기자(KiJaPark),김은정(EunJungKim) 한국체육학회 2006 한국체육학회지 Vol.45 No.2

        본 연구에서는 호흡훈련의 효과를 알아내기 위해 근 골격계의 질환이 없고 호흡기본 훈련 경험이 없는 한국 무용 전공 고등학생 1학년 14명을 선정하여 12주의 호흡훈련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유추하였다. 신체 중심의 상하 이동은 훈련 전보다 훈련 후가 위쪽 상승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이것은 호흡 시 복근에 의한 복압의 증가로 척추의 신전과 밸런스 유지 시 수직 호흡과 올림 호흡에 의한 것으로 사료된다. X축에서의 몸통의 움직임은 훈련 전보다 훈련 후 몸통의 전굴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것은 단전호흡에 의한 복근의 수축에 의한 것으로 사료된다. Y축에서는 훈련 전보다 훈련 후가 지지다리 쪽으로 외전된 것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것은 지지발이 지면에 닿았을 때, 날숨에 의한 지지 발쪽으로 정확한 체중의 이동에 의해 골반의 수평적 움직임에 의한 것으로 사료된다. Z축에서는 훈련 전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수직 축에서의 몸통의 움직임은 드는 발의 움직임에 의한 것으로 드는 발의 위치는 훈련 전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호흡기본 훈련 전에는 돋음체 시 상체의 움직임이 똑바로 선 자세를 나타냈다. 그러나 훈련 후에는 호흡에 의한 복근의 사용으로 적당한 몸통의 전굴로 인해 각 관절의 협응이 잘된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movements of lower extremities and breathing during the 'Dodumche' step movement. Thereby, determine the effects of basis breathing training, the researcher sampled 14 high school first graders majoring in dance but not trained for basis breathing and thereupon, trained them for basis breathing for 12 week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f upper body centroidal movement before and after the basis breathing training.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f forward body bending on the X axis before and after the basis breathing training.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f outward leg movement on the Y axis before and after the basis breathing training. It was disclosed tha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of body movement on the Z axis before and after the basis breathing training. Lastly,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be followed up by future studies which will research into the Korean dance training terminology for training the Korean dance students as well as into the muscular movements generated by breathing.

      • KCI등재

        자연과학편 : 방향전환 각도에 따른 하지관절 움직임과 모멘트 분석

        권오복(OhBokKwon),정철정(ChulJungJung),박기자(KiJaPark),권문석(MoonSeokKwon),신성휴(SeongHyooShin) 한국체육학회 2007 한국체육학회지 Vol.46 No.2

        스포츠에서는 방향전환 동작은 흔히 발생하며 하지상해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본 연구는 방향전환 각도에 따른 하지관절각의 변화와 관절모멘트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피험자는 남성 7명으로 하였으며 2.5m/s의 속도로 오른쪽발 착지 후 왼쪽으로 0도, 30도, 60도 방향으로 달리도록 하였다. 방향전환 시 발목관절에서는 60도에서 배측굴곡각이 작게 발생하였지만 저측굴곡모멘트는 다소 크게 발생하였다. 엉덩이 관절에서는 굴곡각이 크게 발생하면서 신전모멘트 역시 0도와 30도에 비하여 크게 발생할 것을 알 수 있다. 무릎관절에서는 신전모멘트의 큰 차이를 볼 수 없었다. A direction to propel the Physical Education Advancement Scheme can be found by analyzing the development of other Physical Education Advancement schemes in western cultures from a historical point of view and also by analyzing philosophically the value they place on modem day physical education and sports. In addition, this study includes a blueprint for a '6 Part Movement’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they Physical Education Advancement scheme. Firstly, the Physical Education Advancement scheme must take the form of a social movement in pursuit of dynamic nationality cultivation through sports. Secondly, the said advancement scheme must be a social movement that encompasses the pursuit of health and happiness through sports. Thirdly, it must be able to serve as a tool for character edification and moral improvement. Furthermore, the scheme should incorporate a pursuit of healthy and appropriate leisure culture through sports. Also the Physical Education Advancement Scheme must continue and promote traditional physical culture. Finally, the scheme must be a social movement that cultivates and revitalizes social sports societies.

      • KCI우수등재

        운동역학 : 육상 단거리 크라우칭 스타트 동작의 운동역학적 분석

        신성휴(SungHyuShin),고석곤(SukGonGo),박기자(KiJaPark),김태완(TaeWanKim),권문석(MoonSeokKwon),최성회(SungHoiChoi),임영태(YoungTaeLim) 한국체육학회 2004 한국체육학회지 Vol.43 No.5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how the effect starting block angle on the starting motion of sprinters using a crouching start. After installing starting blocks on forced platform, and having four highly comparative sprinters use the starting blocks, I analyzed the temporal valuables, segment position, center of mass position, and the enforce amount imposed to the platform at the time of a crouching start. From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e following conclusions could be drawn:1. Each subject showed the shortest reaction time in each phase when the starting block angle was set as 50-55˚.2. The center of mass displacement was greater when starting block was set as 50-55˚.3. The value of ground reaction force Fy and Fz was greater when the rear starting block angle was set as 50-55˚.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