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양수장 지구를 대상으로 한 농업용수 이용특성 분석

        박기욱 ( Park Ki Uk ),정하우 ( Chung Ha Woo ),석대식 ( Suck Dae Sik ) 한국농공학회 2000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00 No.-

        The analysis of irrigation water use characteristics from a pumping station is implemented. Sangjoo district was selected as a test area. Irrigation water are varied according to manners of water manager, weather change and irrigation system changes such as the repair and improvement of irrigation canal, installation of an auxiliary water sources and canal structure. From the results, average irrigation water is 1,136mm during irrigation period from 1987 to 1997 in sangjoo district. After improvement of irrigation district, irrigation water was increased 45% as average water use in this area.

      • 농촌하천 건천화 특성조사 및 분석 -경기 진위천 중심-

        박기욱 ( Park Ki-wook ),윤여정 ( Yoon Yeo-jung ),주욱종 ( Ju Uk-jong ) 한국농공학회 2005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05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to insure flow rate for rural stream in the rural area. The analysis of drying stream characteristics for two streams(Bong-mu, Wang-jang stream) from field survey data. Also, a study area has been determined, and criteria of estimation has been established : criteria such as, available hydrological data, the size of stream lengths and basin areas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The spacial analysis is applied to stream slopes for upstream and downstream at weirs, stream networks and ground water pump stations, sinuosity of drying stream. As a result of drying streams survey analysis, drying stream characteristics are followed; levee types are earth and natural, cross sectional shapes are trapezoid, stream bed materials are gravels and sands, facilities in streams are weirs. The cause of the reduction analyzed by investigation of the current status of facilities for agricultural water use. Agricultural reservoirs block up the stream and water does not flow over the reservoirs except by storm. They also discharge water through diversion channels and the water diverted does not flow through the natural stream. Farmers directly take water from the stream by weirs.

      • 자동수위관측기를 이용한 농업용 저수지 모니터링 시스템

        김진택,박기욱,주욱종,Kim Jin Taek,Park Ki Wook,Ju Uk Jong 한국관개배수위원회 2005 한국관개배수논문집 Vol.1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reservoir water monitoring system with automatic level meter. Until now, installation of water level meter for reservoir stage monitoring were not widely spread in agricultural area. This has several reason : to

      • 지역별 이앙시기에 따른 용수수요 특성

        주욱종 ( Ju Uk Jong ),김진택 ( Kim Jin Taek ),박기욱 ( Park Ki Wook ),오승태 ( Oh Seong Tae ) 한국농공학회 2004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04 No.-

        실제 영농상황과 농업용수 공급을 위한 용수량 산정사이에는 차이가 나타나고 있다. 그 원인을 묘대기 써레용수 사용량, 묘대 급수면적 차이, 최근의 빠른 이앙시기 및 단축된 기간, 실제 경지에서의 물꼬관리 정도, 평균기온의 변화 등으로 추측할 수 있으며 최근의 연구결과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묘대기 및 이앙기에 대한 조사를 문헌 및 현장에서 실시하였으며 조사내용의 분석에 의하여 현행 농사방법에 맞는 작부시기를 설정하였다. 이앙시기는 지역별, 품종별 그리고 영농방식에 따라 각기 다르다. 최근 이앙시기에 대한 자료는 설계계산요령(농림부), 호남지역 벼 재배요령(호남농업시험장), 고품질 쌀 생산과 품질(농촌진흥청), 2004 새해영농설계교육교재(안성시 농업기술센터), 농촌용수공급체계재편계획 종합보고서(농림부, 농업기반공사)에서 찾을 수 있으며 이에 대하여 정리하였다. 영농방식의 변화에 대하여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노동력이 풍부하던 1970년대 전반까지는 손 이앙재배가 이루어졌으나 1970년대 후반부터는 다수성인 통일벼 품종이 보급되고 산업구조의 변화등으로 농촌 노동력 부족이 심화되면서 1977년부터는 이앙노력 절감을 위하여 중묘 기계이앙재배 기술체계 확립, 농가에 보급하여 1988년에는 전국 벼 재배면적의 50% 이상이 기계이앙재배가 심시되었다. 그러나 중묘 기계이앙재배는 입고병, 뜸묘방지를 위한 상토 pH조절, 녹화 및 경화를 위한 통풍관리 등 육묘관리 작업이 번잡하여 1988년부터는 육묘자재 및 육묘노력을 절감할 수 있는 어린모 기계이앙재배에 대한 기술체계를 연구 보급하여 1994년에는 기계이앙재배가 벼 재배면적의 90.8%가 되었고 이 중 어린모 재배면적이 50.5%를 차지하였다. 기존의 용수수요량 산정에서 사용하던 작부시기와 현행 작부시기를 이용하여 중부지방과 남부지방을 대상으로 용수수요량을 산정하고 분석하였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용수수요량이 30년 평균 중부지방은 11.9%, 남부지방은 12.0%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벼 생육기간중 본답기 기간이 늘어났기때문으로 판단된다. The practical date of rice growing stage and the date for calculating the water demand in paddy field have differences. The cause are discrepancies of pudding water quantity, nursery bed area and change of average temperature and so on. Some recent papers have made a same result. So we have investigated the nursery period and rice transplanting period and set up the periods in this study. And We calculated the water demand using the new period in the central districts and southern districts. The result showed a 11.9%, 12% increase in case that we calculate the water demands by the new growing period which is estimated that the paddy field period starts more early.

      • KCI등재
      • 농촌유역에서의 장기 유출특성 분석(이동유역 중심)

        오승태 ( Oh Seung-tae ),박기욱 ( Park Ki-wook ),주욱종 ( Ju Uk-jong ) 한국농공학회 2006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06 No.-

        Yi-dong experimental site is operated for research on the rural basin characteristics and accumulation of a long term data by hydrological observation equipments. This basin area is 9,300ha, length 14.4km and slope 0.67%. Hydrological observation network has 3 rainfall meter3, 3 reservoir storage levels and 2 river water levels.

      • 농촌하천 유지유량 산정기법 고찰

        오승태 ( Oh Seung-tae ),박기욱 ( Park Ki-wook ),주욱종 ( Ju Uk-jong ) 한국농공학회 2005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05 No.-

        Instream flow is necessary to manage the basic function of the rivers. The evaluation method of instream flow in a big river has been studied widely, However, the study in a small river hasn't researched. In theses days the environmental function of a river becomes very important. The evaluation method and secure of instream flow are basic conditions to perform it. Especially view of stream, recreation, protection of ecology are highly demanded in a urban according to the multipurpose of river spaces. Methods for determining the instream flow in the stream were explored and examined through careful reviews and evaluations of available literatures. Development of the instream flow estimation method is based on the reviewed results and methods which can be used within the acceptable levels.

      • 관개용수의 시설관리용수량 유형 조사 · 분석

        김진택 ( Kim Jin Taek ),주욱종 ( Joo Uk Jong ),박기욱 ( Park Ki Wook ),박지환 ( Park Ji Hwan ) 한국농공학회 2004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04 No.-

        우리나라의 농업용수의 사용은 경지면적의 감소에도 불구하고 증가하고 있다. 1999년도 농림부에서 확정한 농업 · 농촌용수 종합이용계획에 의하면 농촌지역의 용수 수요량은 1,997년에 172억m<sup>3</sup>에서 2,011년에는 179억m<sup>3</sup>으로 7억m<sup>3</sup>이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설관리용수량(수로손실량 및 배분관리용수량)은 농업용수의 가장 중요한 항목중에 하나이다. 그러나 시설관리용수량이 많을 것이라고 추정할 뿐 정량적으로 파악하기에는 자료가 미비한 상황이다. 현재 설계기준으로는 수로손실율 15%, 배분관리용수율 11% 적용하여 시설관리용수율을 26%정도로 추정하고 있으나 관련자료가 미흡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관개구역내 시설관리용수량의 유형을 분류하고, 수로손실 및 배분관리용수의 유형별 용수량의 산정을 통해 시설관리용수량을 산정하는데 있다. ■ 조사대상지구 저수지 지구의 수로관리손실 측정을 위하여 경기도 평택시의 고잔저수지를 선정하였으며 양수장 지구의 수로관리손실 측정을 위하여 건천양수장을 선정하였다. 또한, 용수지선에서의 수로관리손실 측정을 위하여 이동지구에서 2개의 지선수로를 선정하여 대상지구로 하였다. 선정된 대상지선은 방아지선과 제5-2호지선이다. ■ 조사방법 수로손실은 수로에서의 손실량 전체를 측정하는 것으로 측정수로구간에 대해서 유입 · 유출법 (Inflow-outflow method)를 사용하여 구하였다. 유량측정은 수로구간에서 유속계 및 수위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 결론 - 시설관리용수량 측정을 위한 4개지구에서 시설관리용수는 전체 용수량의 30% ~75%로 그 양의 차이가 많았으며 또한 많은 용수가 시설관리용수로서 손실되고 있었다. 수로손실은 2%~ 45%까지 그 차이가 컸으며 배분관리용수량은 25%~40%였다. - 침윤손실과 수로증발손실을 산정해 본 결과 수로손실량에서 차지하는 비을은 10%이하였다. - 수로말단에서의 손실량은 대부분 하류지역에서 재이용되고 있으며 건천양수장 지구의 경우 전체 공급량에 대해 14.1%의 용수가 손실되고 있었으며 나머지 3개 지구는 3%이하였다. - 용수지거 · 배수지거 말단손실은 용수공급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용수지거 말단보다는 배수지거 말단에서의 손실이 늘어났으며 수로를 기준으로 앞부분의 용 · 배수지거에서 많은 손실이 일어나고 있었으며 뒷부분에서는 용수가 모자라 배수로에서 다시 양수하여 용수를 공급하는 경우가 많았다. Canal system management water requriement(CSMWR) is a major factor of Irrigation water requirement. In this study, measuring of canal system management water requirement have been done in 4 irrigation district. The CSMWR is consist of conveyance losses and delivery water requirement. The rate of CSMWR were 30% ~ 75%. There were great difference between each district. And rate of conveyance losses were 2% ~ 45%, rate of delivery water requirement is 25% ~40%.

      • 직파재배 논의 지표관개 수리특성 -건답휴립직파 논은 중심으로-

        정하우 ( Chung Ha Woo ),최진용 ( Choi Jin Yong ),김대식 ( Kim Dae Sik ),박기욱 ( Park Ki Uk ),배승종 ( Bae Seung Jong ) 한국농공학회 1997 韓國農工學會誌 : 전원과 자원 Vol.39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ydraulic characteristics of surface irrigation in a paddy field of direct seeding culture. Field experiment was performed in the paddy field of ridge direct dry seeding. Simulation by a numerical model was also accomplished with the data obtained from the field experiment. The model was developed by one dimensional zero-inertia equation and finite difference method. From the result of the field observation, the furrows of the experimental field were found to have various geometric characteristics. Advance distance and time were measured both in the field and by the model simulation for various furrow lengths and irrigation discharges. Roughness coefficients of each furrow were also estimated by the mod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