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새만금 염생식물로부터 염 저항성 근권미생물의 분리 및 특성 연구

        ( Khongorzul Erdenebaatar ),김나연 ( Na-yeon Kim ),김서은 ( Seo Eun Kim ),김승남 ( Seungnam Kim ),나준영 ( Jun-yeong Na ),박가현 ( Gahyun Park ),박주혜 ( Ju Hye Park ),박지원 ( Ji-won Park ),성나윤 ( Na Youn Sung ),신선웅 ( Seo 전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23 과학과 과학교육 논문지 Vol.48 No.1

        본 연구는 전북 새만금 간척지에서 서식하는 염생식물로부터 염 저항성 근권 미생물을 발굴하고 그특성을 이해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새만금 방조제에서 채집한 염생식물은 갯메꽃, 갯씀바귀, 해당화, 갯완두, 해홍나물, 갈대, 갯개미자리, 갯잔디를 포함하여 9종이었고, 이들의 근권으로부터 염 저항성을 갖는 다양한 유형의 박테리아 균주를 선발하였다. 이 중 9개의 균주는 4M NaCl 농도까지도 염 저항성을 나타냈다. 선발된 균주는 콜로니 형태, 색깔 및 염 저항성 특성을 통해 29개의 균주로 분류하였고, 16S rRNA 기반의 ribo-typing을 통해 최종 19종의 염 저항성 박테리아를 동정하였다. 이들 중 일부는 기존에 식물의 생장을 촉진하거나 식물의 염 저항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보고된 박테리아로 Marinilactibacillus piezotolerans, Priestia aryabhattai, Bacillus xiamenensis, Rossellomorea arthrocnemi, Exiguobacterium acetylicum, Glutamicibacter halophytocola, Kushneria phyllosphaerae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분리한 염 저항성 박테리아는 식물생장 촉진 미생물로서의 활용뿐만 아니라 향후 새만금과 같은 고농도 염 토양에서 식물 재배나 경작을 가능하게 하는 중요한 생물학적 도구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iscover halotelerant bacteria from the rhizosphere of halophytes distributed in Saemangeum reclamation site in Jeollabuk-do. The halophytes used in this study include Spergularia marina, Calystegia soldanella, Suaeda maritima, Phragmites australis, Lathyrus japonicas, Rumex crispus, Zoysia sinica, Rosa rugosa, and Ixeris repens. The varous bacterial strains with salt resistance were isolated from their roots. Nine of them showed salt resistance up to 4M NaCl. They were further classified into the 29 individual strains based on colony morphology, pigments and an extend of salt resistance. A total of 19 bacterial species were identified through ribo-typing based on 16S rRNA. Among them, some strains were identified as species of Priestia aryabhattai, Bacillus xiamenensis, Rossellomorea arthrocnemi, Exiguobacterium acetylum, Gluticoptera, and Khylophaea. among others. According to literature, these bacteria might confer the plant growth promotion activity or salt resistance to plants. Therefore, it is anticipated that the bacteria isolated in this study will be useful not only as microorganisms to promote plant growth but also as important biological tools for cultivating non-halophytic plants in saline soils such as Saemangeu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