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환경산업연관분석을 이용한 농업분야의 이산화탄소 배출량 변화 분석

        민슬기 ( Seulgi Min ),노수각 ( Sookack Noh ),박재성 ( Jaesung Park ),봉태호 ( Taeho Bong ),손영환 ( Younghwan Son ) 한국농공학회 2013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3 No.-

        Kyoto Protocol, which is regulation and international agreement to prevent global warming, was adopted in 1997. South Korea is also under pressure to reduce CO<sub>2</sub> emissions according to expanded request for reducing CO<sub>2</sub> emissions. In many industry sectors, CO<sub>2</sub> emissions for products were analyzed and characterized to reduce CO<sub>2</sub> emissions. But little effort in researching agricultural sector has been undertaken. The agriculture sector because it is recognized as environmentally friendly industry, which has CO<sub>2</sub> emissions and absorptions. However, as increasing interest in eco-friendly products in the livestock and horticultural specialties sector, needs for an analysis of CO<sub>2</sub> emissions for agriculture sector is increasing.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estimate CO<sub>2</sub> emissions in agriculture sector and characterize the change of CO<sub>2</sub> emissions for agriculture sector in South Korea using Environmental Input-Output (EIO) analysis. EIO analysis is the tool which is used to analysis total CO<sub>2</sub> emissions in great scale. In this study, 1995∼2009 Input-Output Table in South Korea were used for making EIO tables. The yearbook of energy statistics 2011 in Korea was used to estimate the amount of energy source. To analyze an accurate energy usage, remove energy source that used raw material for other energy source, like anthracite coal to briquette, bituminous coal to cokes, and natural gas to city gas. As a result, CO<sub>2</sub> emissions of agriculture sector is decreased from 1995 to 1998 for 26%, From 1998 to 2003, CO<sub>2</sub> emissions of agriculture sector were not changed much. From 2003 to 2006, CO<sub>2</sub> emissions increased for 24%, but from 2006 to 2009, CO<sub>2</sub> emissions decreased for 23%. If more research conducted for changes in CO<sub>2</sub> emissions of agriculture sector, it can be useful database for reducing CO<sub>2</sub> emissions of agriculture sector.

      • 강우사상에 따른 표면침투를 고려한 제체안전율 변화 분석

        민슬기 ( Seulgi Min ),노수각 ( Sookack Noh ),최우석 ( Wooseok Choi ),손영환 ( Younghwan Son ) 한국농공학회 2012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2 No.-

        최근 기후 변화의 영향으로 강우사상이 변화하면서 농업기반시설 등 제반시설의 설계기준을 초과하는 강우가 빈번하게 일어나 자연재해 발생이 매년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또한 우리나라에 존재하는 농업용 저수지의 경우 노후화가 상당히 진행된 상태로 안정성이 우려된다. 따라서 농업용 저수지의 노후화로 인한 안전성 재평가 및 기후변화로 인한 강우사상을 변화를 적용할 수 있는 안정해석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변화하는 강우사상을 반영하기 위해 강우에 따른 표면침투를 고려하였을 때의 제체 안전율 변화를 검토하였다. 연구대상지로는 ○○저수지를 선정하였으며. 안전율 산정 방법은 Bishop의 간편법을 적용하였다. 대상 사면에 대해 여러 침투조건을 고려하기 위해 강우지속시간, 강우강도, 동일 강우량에서의 강우강도와 강우지속시간을 변화시키면서 제체의 안전율 변화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강우지속시간과 강우강도가 증가함에 따라 저수지 제체의 안전율이 저하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동일 강우량에서는 강우강도가 크고 강우지속시간이 작은 쪽이 안전율 저하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강우지속시간이 길어지면 제체하류사면에 침투하는 강우가 증가하여 안전율이 감소하는 것으로 판단되었고, 강우강도가 증가하면 단위 시간당 제체표면에 침투하는 강우가 증가하여 안전율이 감소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동일 강우량일 경우, 강한 강우강도와 짧은 강우지속시간의 경우 강우강도가 커지면서 제체 표면에 침투하는 강우는 늘어나 사면보호공이 배제하지 못한 강우는 침투하는 반면에 강우지속시간이 짧아짐에 따라 배수시간이 짧아져 습윤전선이 하강한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추후 저수지의 안전 관리에 있어서 강우사상에 따른 표면침투를 고려한 안전율 분석이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Fall-cone test와 Casagrande방법을 이용한 준설토의 액·소성한계 결과 비교

        이상협 ( Sanghyup Lee ),민슬기 ( Seulgi Min ),박재성 ( Jaesung Park ),최우석 ( Wooseok Choi ),손영환 ( Younghwan Son ) 한국농공학회 2012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2 No.-

        기존 Casagrande의 액성한계, 소성한계 시험 방법은 실험방식에 오차를 일으킬 수 있는 원인이 많이 존재하여 실험자의 주관적인 판단과 실험 숙련도에 따라 오차가 발생하게 된다. Fall-cone test는 중력에 의해 콘을 낙하시켜 액·소성한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Casagrande의 시험법보다 실험방법이 간단해 숙련도에 따른 오차를 크게 줄일 수 있으며 실험자의 주관적인 판단에 따른 오차도 적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 여러나라에서 Fall-cone test를 이용하여 액·소성한계를 추정하는 기준을 만들어 기존의 Casagrande의 방법을 대체하는 추세이다. 본 연구에서는 시흥, 안성, 제천시에 위치한 저수지의 준설토를 사용하여 Casagrande방법과 Fall-cone test로 액·소성한계를 추정하여 비교하였다. 실험 결과 시흥 준설토의 액성한계는 Casagrande방법에서는 33.62% Fall-cone test에서는 36.17%로 추정되었으며 소성한계는 Casagrande방법에서는 25.58% Fall-cone test에서는 23.70%로 추정되었다. 안성 준설토의 경우 액성한계는 각각43.69%, 48.57%로 추정되었고 소성한계는 각각 37.60%, 39.84%로 추정되었다. 제천 준설토의 액성한계는 각각 46.03%, 51.77%로 추정되었으며 소성한계는 각각 37.01%, 34.17%로 추정되었다. 결과를 종합해보았을 때, Casagrande방법으로 추정한 액성한계와 Fall-cone test로 추정한 액성한계는 약 3∼5%의 함수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소성한계는 약 3%의 함수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디지털이미지프로세싱 기법을 이용한 불포화토의 함수비 추정

        박재성 ( Jaesung Park ),김태완 ( Taewan Kim ),민슬기 ( Seulgi Min ),노수각 ( Sookack Noh ),봉태호 ( Taeho Bong ),손영환 ( Younghwan Son ) 한국농공학회 2013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3 No.-

        토양의 함수비는 흙의 공학적 특성 뿐만 아니라 물리,화학적 특성에서 기초적이고 주요한 인자이고 지점에 따른 분포와 편차가 발생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특정지점에서의 함수비 측정을 통해 얻은 대표 함수비 적용은 대규모지역의 함수비 편차와 분포를 정확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이미지를 이용해 대단지 규모에서의 함수비 및 함수비 분포를 간단히 추정할 수 있는 기법을 개발하고자 실험실 규모에서의 기초 연구를 수행하였다. 서로 다른 지점인 2개소에서 채취한 토양 시료에 대하여 함수비를 달리하며 디지털이미지를 획득하고 이 이미지의 RGB값 및 HSV값의 변화 양상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두 시료 모두 함수비 증가에 따라 RGB 값이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냈으며, 일정 함수비 이상에서는 큰 변화를 보이지 않는 경향이 나타났다. 또한 각 시료에 대한 함수비와 RGB 값 및 HSV 사이의 통계분석을 통해 회귀식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각 시료의 회귀식의 검증 실험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 상관계수 0.96~0.98로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사용한 디지털이미지프로세싱 기법을 통해 함수비 추정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고려한 이동거리에 따른 저수제 제체 둑높이기 사업 재활용 골재 대체 효과 분석

        노수각 ( Sookack Noh ),봉태호 ( Taeho Bong ),박재성 ( Jaesung Park ),민슬기 ( Seulgi Min ),손영환 ( Younghwan Son ) 한국농공학회 2013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3 No.-

        최근 국내 부족한 전력난을 해결하기 위하여 화력발전소 건설이 증가하면서 발전소 운용시 발생하는 부산물의 일종인 바텀애쉬의 양이 크게 증가하고 있으나 발생량의 대부분을 매립하여 매립부지확보에 대한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또한 최근 항만 및 하천 정비 사업으로 인해 발생하는 준설토사에 대한 적절한 처리방안을 모색 중이나 재활용의 비율은 매우 낮은 실정이다. 이러한 부산물의 발생은 국토의 효율적 관리에 지장을 초래하기 때문에 재활용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바텀애쉬는 모래와 그 성질이 유사해 뒷채움재, 배수재 등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저수지 준설토는 바텀애쉬에 비하여 세립분 함량이 많아 두 부산물의 적절한 혼합으로 그 활용범위를 넓힐 수 있다. 이러한 부산물의 활용은 경제적, 환경적 등 여러 측면에서 많은 이익을 가져다주지만 이에 대한 평가는 주로 경제적 관점에서 이루어져 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량적 환경성 평가방법으로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산정하여 재활용 골재에 대한 환경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근거리에서 채취 가능한 자연 골재에 비하여 발생위치가 고정되어있는 재활용 골재의 특성을 고려하여 이산화탄소 배출 분석을 통해 이동거리에 따른 재활용 효과를 분석하였다. 재활용 골재 대체 효과 분석을 위하여 저수지 둑높이기 사업지를 대상지로 선정하였으며 둑높이기 과정에서 제체에 사용되는 성토재를 바텀애쉬와 준설토의 혼합재료로 교체하여 분석하였다. 바텀애쉬는 대상지에서 가장 가까운 화력발전소에서 조달하고 준설토는 대상 저수지 준설토를 유용한다 가정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