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신재생에너지 기반 스마트팜형 마이크로그리드 운영 실증

        박 정민, 은아 조선대학교 IT연구소 2023 정보기술융합공학논문지 Vol.13 No.1

        In order to stabilize the supply and demand of Korea's power-grid, it is necessary to improve efficiencies such as distributed power, energy storage devices, and demand reactions rather than expanding the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system to improve the acceptability of the power distribution system. Such requirement requires optimizing energy production, operation, and consumption. In addition, microgrids that implement power systems should be activated. Through this study, power companies can use the resources held by customers to avoid the construction of power distribution facilities. In addition, customers can generate profits by increasing the utilization of their resources. For the efficient operation of microgrid resources, we would like to conduct an empirical test on a system that can be linked to the advanced distribution management system (ADMS) and improve the use of new and renewable energy. However, it is still challenging to activate distributed energy due to the problems such as distributed benefits, renewable energy volatility, and regional independence. In order to revitaliz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foundation for institutional improvement through empirical data. In addition, expanding the decentralization of energy production consumption is necessary to have markets and systems to participate in the distributed energy power market. In order to do so, it is essential to establish a production consumption system in the region through regional independence, that is, establishing a microgrid base at the village level. To activate it, we will conduct a demonstration operation to verify its validity. 전력 계통의 수급 안정화를 위해서는 배전 계통의 수용성 향상을 위해 송배전 계통 증설이 아닌 분산 전원, 에너지 저장장치, 수요 반응 등의 효율 향상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에너지 생산, 운용, 소비를 최적화할 수 있는 전력체계를 구현하는 마이크로그리드가 활성화되어야 한다. 본 연구개발 기술을 통해 전력회사는 고객이 보유한 자원을 활용하여 배전 설비 건설 회피를 도모할 수 있고 고객은 보유 자원의 활용도를 높여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 마이크로그리드 자원의 효율적 운영을 위해 배전계통 운영시스템(ADMS)과도 연동이 가능하고 신재생에너지 이용 향상을 높일 수 있는 시스템을 실증테스트 하고자 한다. 하지만 여전히 분산 편익, 재생에너지 변동성, 지역자립 등의 문제점으로 분산 에너지 활성화가 어려운 상황이며 실증데이터를 통한 제도 개선에 대한 기반 구축이 필요한 상황이다. 또한 분산 에너지 전력시장 참여를 위한 시장 및 제도 조성을 위해서는 에너지 생산 소비의 분산화 확대가 필요하고 그러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지역자립, 즉, 마을 단위의 마이크로그리드 기반 구축을 통한 지역 내 생산 소비 체계 구축이 필수적이며 이를 활성화 시키고자 실증 운영하여 타당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