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초등학교 아동에서 두통과 우울성향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노영일(Young-Il Rho),문경래(Gyoung-Rae Moon),박영봉(Young-Bong Park),양은석(Eun-Seok Yang),박상기(Sang Kee Park),김은영(Eun-Young Kim),박종(Jong Park) 대한소아신경학회 2000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8 No.2

        목적 : 두통은 학동기 아동에서 비교적 흔한 증상으로 정서적, 사회적 발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성인에서 두통과 우울증은 밀접한 관계가 있으나, 소아기 아동에 있어 두통과 우울증과 관련성에 대한 연구는 미미하다. 본 교실에서는 소아에서 두통과 우울성향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 1999년 6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 광주시내 2개 초등학교 4, 5, 6학년 학생 1,011명(남자:510명 여자:501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하여 조사하였다. 설문지는 두통의 유병율, 발생 빈도와 초발연령, 발생부위, 두통의 양상과 정도, 두통의 발생시기, 두통의 전구 증상과 동반 증상, 두통의 유발인자, 두통의 가족력 등 두통의 치료에 관한 내용으로 작성하였다. 100명의 소아를 대상으로 예비검사를 실시한 후 본 조사를 실시하여 설문지의 타탕성을 검증하였다. 우울성향을 알아보고자 한국판 Kovasc & Beck의 Children´s Depression Inventory(CDI)을 이용하였다. 결과 : 총 응답자 1011명 중 177명(17.5%)이 두통을 호소하였으며, 남아 87명(17.1%) 여아 90명(18.0%)으로 성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P>0.05). 두통군과 대조군에서 평균우울점수는 두통군에서 높았으나 통계학적인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5). 두통군에서 우울점수는 남녀의 차이가 없었으며, 연령에 따라 증가하는 성향을 보이지만 통계학적인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5). 두통의 발생시기, 발생 부위, 두통의 정도, 두통의 민도, 지속시간, 가족력, 두통의 발생 양상에 따라 우울점수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두통의 양상은 박동성인 경우가 둔통인 경우보다 빈도는 높았으나, 우울점수는 둔통인 경우에 높았으며, 통계학적인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하루에서 두통의 발생 시기에서는 학교 가기 전, 학교 수업중에 발생한 두통이 우울점수가 높았으며,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두통의 전조증상으로 "소리가 들리지 않았다" 에서 우울점수가 높았으며,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다(P<0.05). 두통의 유발요인 중에는 날씨가 좋지 않을 때가 우울점수가 높았다(P<0.05). 결론 : 두통은 소아과 진료에서 흔하게 접하는 증상 중에 하나로 두통을 진단하고 치료하는 데 있어서 두통과 우울이 관련이 있음을 고려하여 필요하면 정신과적인 치료도 겸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되고, 또한 두통과 소아우울증 발생에 대한 연구가 더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our study is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depression and characteristics of headache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Methods: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as completed by one thousand and eleven children(510 boys and 501 girls) of grades 4 to 6 in Gwangju city during the period from June 1 to June 30 1999. The relationship between headaches and depressive trends was investigated with the Kovasc & Beck Children´s Depression Inventory modified for Korean. Result: The prevalence of headache was 17.5%(17.1% among males, 18% among girls). The mean depressive scores in the headache group was higher than those in control group, but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depression scores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depending on sex, and family history of headache. The depression scores did not correlate with the onset, location, severity, frequency, duration, and onset pattern of headache. The mean scores of depression in the dull and tightness pattern(17.46±7.18)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pulsatile and other patterns. The mean scores of depression in the onset time of occurrence of headache were significantly high before school(24.33+5.69), at school(15.66}6.32, P<0.05). The mean score of depression in the aura was significantly high "inaudible(22.00±9.49)" and in the trigger factors was significantly high weather change(16.18±6.85, P<0.05). Conclusion: Based on our analysis,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depressive trends and characteristics of headache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So, we suggested that depressive trends should be evaluated in children with headach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