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문화와 국제커뮤니케이션

        심두보 ( Doobo Shim ),리팅응 ( Liting Ng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8 인문사회 21 Vol.9 No.4

        본 논문은 지난 2000년대 중반 이래 급증하고 있는, 한국 정부 각 기관에 의한 해외의 한류와 한국에 대한 인식도 조사가 지닌 함의와 한계를 분석한다. 이를 위해 논문의 저자는 싱가포르에서 행해졌던 한국과 한류에 대한 인식도 조사에 책임연구원으로 참여했던 경험을 살려, 초국가적 대형 서베이의 강점과 약점을 조망하고, 현지조사가 간과할 수 있는 연구 조건을 비판적·맥락적으로 검토한다. 이를 위해, 논문은 서베이에 참여했던 인터뷰 조사자들로 하여금 자신의 조사경험 보고서를 제출케 하였으며, 이에 대한 분석을 통해 이들이 겪는 어려움은 무엇인지, 싱가포르 인들은 한국 사회와 문화를 어떤 통로를 통해 주로 인식하게 되는지, 다문화사회인 싱가포르 내 언어 현실은 어떠한지를 비판적으로 고찰한다. 연구를 통해 논문은 한류 현상이 한국의 위상과 소프트 파워를 제고한 것은 사실이나, 해외에서 인식되는 한국 사회와 문화가 드라마와 케이팝 등 한류문화의 표상에 지나치게 지배 받고 있음을 확인한다. 결국, 지속적으로 한류가 발전하기 위해서는 해외 한국학 진흥과 인적 교류가 보다 증진되어야 함을 제언한다. 본 연구 주제의 향후 과제로는 한국 인식에 있어서 해외 케이팝과 한국 드라마 팬이 어떤 변화 과정을 겪게 되는지 참여관찰을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논문은 과거 미국문화제국주의를 중심으로 펼쳐졌던 국제커뮤니케이션 연구로부터 탈피하여, 다문화사회로 나아가는 국내의 현실에 국제커뮤니케이션 연구가 어떤 방식으로 기여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의 화두를 던진다. 추후에는 커뮤니케이션 이론, 질적 인터뷰 방법론 그리고 다문화주의에 대한 맥락적 연구가 융합된 보다 깊이 있고 맥락적인 연구가 나타나기를 기대한다. This paper analyze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transnational, large-scale surveys on the perception of Korea and Hallyu abroad executed by various government agencies since the mid 2000s. For this purpose, the authors asked the interviewers who participated in such a survey in Singapore to submit their own interviewer reports. This paper demonstrates that while the Korean wave has enhanced the status and soft power of Korea, it has its own drawbacks: Foreigners recognize the Korean society and culture excessively through the lens of Hallyu, particularly Korean dramas and K-pop. For the Hallyu to steadily continue and grow, it is recommended that overseas Korean studies and people-to-people exchange programs be promoted. While the traditional research on the international communication has revolved around the concept of American cultural imperialism, this paper asks how international communication research can contribute to the domestic reality, i.e., the multicultural society. It is expected that a more contextually developed research that would draw from communication theories, qualitative interview methodologies and multiculturalism would emerge to address the issues raised in this pap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