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慵齋叢話』에 나타난 욕망관에 관한 고찰

        류정월(Ryu, Jeong-Wol) 한국고전연구학회 2005 한국고전연구 Vol.11 No.-

        본고는 『慵齋叢話』에 등장하는 향락적 인물들에 대한 평가가 유가적 욕망관과 괴리를 이루는 지점을 살펴보고 그러한 괴리를 극복하기 위한 서술자의 서술 전략을 고려함으로써 『용재총화』에 나타난 욕망관에 대해 비판적 고찰을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향락적 인물에 대한 성현의 인식은 텍스트에 직접적으로 드러나지 않는다. 본고에서는 평가 장치를 통해 이 인물에 대한 담론적 저자의 견해를 살피는 방법을 택한다. 이 과정에서 향락적 인물에 대한 정의는, ‘욕’과 ‘인욕’의 구분을 통해 정의된다. 향락적 인물은 인간이면 누구나 가지는 생존을 위한 ‘慾’이 아니라, 본능에의 탐닉, 즉 ‘人慾’을 가지고 있는 인물을 말한다. 유가의 이론은 인욕에 대해서는 부정적 입장을 취한다. 『용재총화』에서 향락적 인물들에 대한 평가는 충돌하는 경향이 있다. 본고에서는 향락적 인물 일화에 나타난 평가를 통해 『용재총화』의 욕망관에 접근한다. 그것은 기본적인 욕망이 없는 것에 대한 부정적 인식과 향락적인 욕망에 대한 인정으로 나타난다. 인욕에 대한 긍정적 인정은 두 가지 방향에서 합리화되는데 인물의 성적 욕망을 인성을 구성하지 않는 요소로 보거나 호걸스러움이라는 인성을 대변하는 요소로 보는 것이다. 이렇게 향락적인 욕망이 인정되는 상한선은 욕망의 성격의 문제가 아니라 어떤 인물의 욕망인가에 따라, 즉 욕망 주체의 정치적 업적에 따라 소급적으로 이루어진다. This paper purposes to study the intention of Yougnjeachongha [용재총화] focusing on the anecdotes of sensualists. This type of person gives rise to some issues about morality. Author's attitude toward the sensualists represents his ultimate interests in which he has unconsciously. Yougnjeachongha [용재총화] is posited as a significant and representative text in the sense that this is a collection of many different stories and the author, Seonghyun [성현] wrote a text on the perception of the stories, Chonjongbiaseo [촌중비어서]. First, this paper examines the author's perception of stories through Chonjongbiaseo [촌중비어서] to compare with the practice at the concrete text. He recognizes the importance of stories from a different standpoint, recoding and teaching. Next, this paper examine the evaluations about the sensualist. There are several kinds of indirect evaluation devices, for examples character's roles, speech behaviors of other characters besides of direct evaluations by commentator. The evalvations about the sensualist clash in one text. But the author doesn't intervene to settle the discordances. So this paper draws a conclusion that despite the equal stress upon the importance of recording and teaching at the theoretical level, Seonghyun [성현] thought recording a reality is more important than teaching a lesson at the practical level. Finally this paper inquiries into the basis of the thought.

      • KCI등재후보

        홍윤성(洪允成) 일화의 재현 방식과 현실 맥락

        류정월(Ryu Jeong Wol)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0 서강인문논총 Vol.0 No.29

        The compilers of miscellaneous records choose the events which they write. This paper examines the representation of a historical figure, Hong Yunsung(洪允成) in the anecdotes from Chosun Dynasty. The representation is (specially) characteristic of the age. It is dependent upon context. This paper concerns the context which allows the representation. This paper divides the level of represention into two part, one is the material and the other is the meaning or intention of represention. We can find the meaning in the settings, the part of introduction. Hong Yunsung(洪允成) anecdotes represented individual tastes in early years. It is concerned with a political affair that public historical records were oppressed by some power elites at that time. The early compilers had to choose the event which they make into record about Hong Yunsung(洪允成) not to get on his nerves. After his death, the anecdotes about him represented the violences and corruptions. At the same time, the anecdotes showed the two sides of him, the positive and the negative in the middle years. Compilers who could write their work free from outer oppression had strong desire to record his total aspect as well as his negative aspect. In the late years the compilers considered the public records about him and his life story important. They could not learn him by hearsay any more. The only information which they could get was the previous records. So the compilers collected all the materials from previous records. It seems that they had strong desire to remove the timing difference between the days of his survival and the time when the record was written. This paper adds a postscript to last chapter about the limit of historial introspection which was fulfilled by miscellaneous records.

      • KCI등재후보

        웃음 유발자로서의 기생의 역할과 그 의의

        류정월(Ryu Jeong wol)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05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0 No.11

        문헌 소화에서 등장인물들을 크게 웃음 유발자와 웃음 대상자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기생이 웃음 대상자로 등장하는 소화들이 다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본고에서는 특히 웃음 유발자로서 기생의 역할에 초점을 맞추어, 그것이 가지는 의의를 살펴보려 한다. 웃음 유발자로서의 역할이 문헌 소화의 다른 여성 등장 인물들 가운데에서 찾아보기 힘든 것인 데다가, 그 의의가 무엇인가는 쉽게 판단하기 어려운 문제이기 때문이다. 웃음 유발자로서 기생의 역할이 가지는 의의에는 애매한 지점이 있는데, 그것은 체제를 전복시킬 수도 있고 현상태를 유지할 수도 있는 웃음의 속성 때문이기도 하다. 그렇다면 양반들을 때로 웃음 대상자로 만들기도 하는, 웃음 유발자로서 기생의 역할은 어떤 것으로 귀결될까 생각해 보아야 한다. 그것은 과연 양반 문화의 엄숙한 이면을 폭로, 양반과 기생 사이의 위계에 균열을 일으키는가? 아니면 기생과 양반 사이에 잠재되어 있던 불안을 웃음으로 해소, 더욱 돈독한 관계를 도모하는가? 그 어떤 쪽이건 간에 웃음 유발자로서 기생의 역할을 분석하면서 그녀들이 만들어 내는 균열점을 파악하고 그 균열점이 어떤 반향을 일으키는가를 고찰해야 할 것이다. 본고에서는 기생들이 웃음 유발자로 등장하는 문헌 소화들을 크게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고찰하는데, 사기담(詐欺譚), 음담(淫譚), 그리고 재기담(才氣譚)이 그것이다. 먼저 각 이야기들에서 기생들이 양반을 어떻게 웃음꺼리로 만드는가를 차례로 고찰할 것이다. 그러나 궁극적으로 양반과 기생 사이의 위계는 변화하지 않는데 이것은 각 이야기 속에서 기생들의 재현 방식을 통해 주로 거론된다. 사기담에서 기생들은 성적 욕망과 부에 대한 욕망에 의해 추동되는, 신뢰할 수 없는 존재로, 부정적으로 형상화된다. 이렇게 명시적으로 부정되지 않는 경우, 즉 음담에서처럼 남성의 성을 판결하고 평가하는 주체들인 경우에도 이들이 가지는 유일한 권위는 양반과의 성적 경험을 통해 만들어진 것으로 재현되기도 한다. 기녀들의 자질이 가장 긍정적으로 형상화되는 재기담의 경우, 그들의 지적 자질은 연회를 빛내는 도구로서의 의미를 가지게 되며 포상의 대상이 된다. 이렇게 텍스트 내에서 기녀들은 타자로서 재현된다. 또한 웃음 유발자로서 기녀가 등장하는 이야기들이 읽힐 때, 양반 독자들은 우월감에 기반한 웃음을 생성하게 된다. 이렇게 텍스트 내부와 외부에서 이루어지는 문헌 소화의 독해 방식은 기녀들의 잠재적 전복성을 관리하는 방향으로 나아간다. This article attempts to study on the Kisaeng[妓生], as a comic heroine in Korean old funny stories settled down in an anthology, Gogmsochong[古今笑叢] The characters of the old funny stories are divided into two roles, one is a comic butt and the other a comic hero. The women are mostly represented as a comic butt. The same may be said of Kisaeng. But the Kisaeng exceptionally performs a comic hero. So I call them a 'comic heroine'. The Kisaeng, as a Comic heroine is laughed at Yangban[兩班] or men, the upper class of old Korea. So it is questionable whether the Kisaeng upsets the hierarchy of status and gender or not in the last analysis. The Kisaeng plays an important part as a trickster, a tactful woman and a lewd woman in the funny stories. This article exams the roles in order. In the stories, they are not women to be trusted because of their desire for money or sex. Their knowledge of sex originates from the relations with Yangban. They are awarded for their contribution to the creation of a pleasant atmosphere in the party with Yangban. In the spite of their role's superiority, the representation of the Kisaeng is negative or inferior. Finally this study focuses on the mechanism of laugh in the practical reading process. The process also controls the potential overturn by the Kisaeng.

      • KCI등재

        <변강쇠가>의 의미 층위 연구

        류정월 ( Jeong Wol Ryu ) 한국기호학회 2013 기호학연구 Vol.34 No.-

        The text is very difficult to interpret. This paper studies several layers of meaning in <Byungangsoiga>, the folk religion, sexual relation, economical ability and wisdom of something. Especially the level of sexual relation and folk religion offer more coherent interpretations to the text. For the purpose I quote Liszka and Greimas who emphasize the composition of the elements of the narrative. One is the kinds of agents, another is the actantial roles and the third is a narrative type. Narrative develops the story within the framework of a type. I analyze the text by the three elements. <Byungangsoiga> is difficult to interpret. I explain the reason by the position of agent on semiotic square. Ongny is the only agent who is represented from beginning to end, but she doesn`t affirm the texual meaning, because she is located in the lower position on the semiotic square. While Gangso is located in the upper position, his marked feature disappears in the middle of text by his sudden death. Also this paper explains the reason why the text is ommited among the five famouse Pansori. The increase of abstruseness causes the result in the transition period to modern era. In that era the interpretation of text is more difficult, because of the new paradigm for religion. The cultural meaning had changed with the new religious paradigm.

      • KCI등재
      • KCI등재

        문헌설화에서 "투기하는 부인[妬婦]"의 형상화와 의미

        류정월 ( Jeong Wol Ryu )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12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0 No.24

        조선시대 문헌설화에는 투기하는 부인[妬婦]이 등장하는 이야기가 있다. 여성의 투기는 당대의 규범과 윤리에서 볼 때 부정적인 것이지만 이여성들의 이야기가 형상화되고, 향유될 때에 동일한 시각이 유지되지는 않는 듯하다. 인물 형상화는 독자들이 인물에 대해 상상하고 추측하는 지점을 포함한다. 본고는 독자가 매개되는 텍스트의 인물 형상화를 살펴봄으로써 그러한 형상화가 기반 하거나 영향을 미치는 문화에 대해 추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투기하는 여성에 대한 이야기는, 분명하게 구분 되는 것은 아니지만 소화(笑話) 혹은 일화(逸話)로 향유된다. 소화로 소통되는 투기하는 부인들의 이야기를 읽는 독자는 이 여성들을 규범으로는 통제할 수 없지만, 성적으로는 종속시킬 수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이들의 행위는 비판이나 반성의 대상이 되기보다는 웃음을 야기하는데, 이러한 반응은 투기하는 부인의 인물 형상화를 개인적·유희적인 것으로 위치 짓는 데 일조한다. 일화로 소통되는 투기하는 부인 이야기를 읽는 독자들은, 이들의 여러 특질을 하나로 종합하려고 시도함으로써, 투기하는 부인의 형상화를 이중적이면서도 긍정적으로 위치 짓게 한다. 독자들은 인물의 행동에 대한 반응과 종합을 통해 형상화를 최종적으로 구성하는 자리에 있다. 이렇게 존재하는 투기하는 부인 이야기들은 당대의 다른 담론, 불투기의 담론과 일정한 관계를 가진다. 15~16세기 투기하는 부인들이 사회적·도덕적으로 형상화되기보다는 개인적·유희적 차원에서 형상화된것은 투기를 금지하는 유교적 담론이 양적·질적으로 미비했던 것과 관련이 있다. 17세기 이후 투기하는 부인 이야기는 일화로 다수 존재하는데, 이때는 대량으로 교훈서들이 보급되었던 때이다. 이런 교훈서들은 투기하는 여성들을 비판적으로 보는 사회적·도덕적 담론을 만들어내는 데에 일조할 수 있지만 투기하는 여성들 자체를 통제하는 데에는 성공하기는 어려웠다. 투기하는 여성들의 일화는 투기에 대한 사회적·도덕적 시각이 만연함에도 불구하고 투기하는 여성 자체를 근절시킬 수 없었던 상황에서 소통·향유되었다고 할 수 있다. 투기하는 부인 이야기는 남 : 녀=지배 : 피지배, 불투기 : 투기=선 : 악의 기존의미를 미끄러지게 하며, 문화적 의미들의 안정성을 위태롭게 한다. 투기하는 부인 이야기는 젠더와 가부장제에 대한 문화적 의미의 안정성을 흔드는, 불온한 잠재력을 가진 텍스트라고 할 수 있다. There are some few of stories about jealous wives in literature tales of the Joseon Dynasty. Women`s jealousy is forbidden in that days and jealous wive were considered immoral. But the feature of the women in some literature tales is positive. There is a gap between social ideals and textual characterizations. I study the cultural meaning of the difference. To do that, I focus on the textual characterizations. The stories of jealous women are found in the funny stories or anecdotes. The former is tend to be short and fictional but the latter long and nonfictional. However the boundary is not clear. In the funny stories the jealous wive are expressed in the features who have individual (sexual) desire for their husband while in the anecdotes they are represented in the features who have mixed two virtues. One is negative, as you know, ``jealous`` and the other is positive, for example, ``confident``, ``perspective``, ``judicious``. I relates this different characterization to the discourse to forbid women`s jealousy. Since the 17th century, a lot of texts were published to educate young women. These texts emphasized the teaching of Confucianism for women. I think this discourse couldn`t succeed to forbid jealousy. These texts didn`t consider the position of the readers who had experienced real and strong jealousy. The Joseon Dynasty allowed concubinage system for yangban[兩班]. As a result, in the spite of social attempt to forbid jealousy, the Joseon Dynasty produced a lot of jealousy wive. In this context, the characterization of literature tales could wave the fixed meaning, man/woman, top/bottom and jealous/non-jealous, good/evil. These stories make a very narrow gap in gender and patriarchy of the Joseon Dynasty.

      • 연구논문 : 무대에서의 전래 동화 구연에 관한 연구 -언어적/비언어적 요소와 콘텍스트를 중심으로-

        류정월 ( Jeong Wol Ryu ),윤인선 ( In Son Yoon ) 시학과 언어학회 2011 시학과 언어학 Vol.20 No.-

        This paper studies the Korean traditional children`s stories which are performed by members of a volunteer organization. These performances have two levels. One consists of verbal factors and the other nonverbal factors. Most of communication studies and performance studies focus on the verbal factors but this paper focuses on the other factors, too. The analysis of the performances has to consider not only text but also context. The stage of the performances is a library for children in Seoul. There are several volunteer organizations. Doggaebi gamto is one of them. It has thirteen members and they are over age 60. We choose two female tellers. Children responded very positively to their stories. They tells Korean traditional children`s stories every Saturday in a room which is located in the library. The room is their stage. Goffman is known for stage metaphor to convey his thoughts about social interactions. We divided the "front" and "backstage" and investigated their relations according to Goffman. Frist, this paper studies environmental and visual signs in the stage to analyse nonverbal factors. Second, this paper focuses on meta-narrations which reveal the teller-audience relations to analyse verbal factors. Finally, this paper explores the religious context and traditional context. And to conclude, the two teller`s performance have different code. One is vertical code and the other is horizontal code.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일반논문 : 현대적 이야기판에서 설화 연행의 한 양상- 음성, 표정, 동작, 청중을 중심으로

        류정월 ( Jeong Wol Ryu ) 한국고전연구학회 2014 한국고전연구 Vol.0 No.29

        본고는 지역의 도서관에서 이루어지는 현대적 이야기판을 대상으로, 연행의 제반 요소 가운데 지금까지 그 연구가 간과되었던 음성, 표정, 동작, 청중과 그 상관관계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의도적으로 만들어진 현대적 이야기판의 구연은 정형성이 높고 패턴화 되는 경향이 있기에, 연행을 구성하는 이런 비언어적 요소들을 확인하는 데 있어 전통적 이야기판보다는 수월한 지점이 있다. 먼저 본고는 송파 어린이 도서관의 화자들을 대상으로, 이들의 음성, 표정, 동작 등이 어떤 양상을 보이는가 살펴보았다. 이는 무대 앞면에서 보이는 요소인데 크게는 이야기 세계를 형상화하기 위한 것, 즉 이야기 세계에 속하는 것과, 이야기를 하고 있는 화자의 심리나 필요에서 기인하는 것, 즉 담화 세계에 속하는 것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이야기 세계에 속하는 음성, 표정, 동작이 강화되면 이 구연은 지시적referential이며 연극적인 것이 될 가능성이 높다. 반면 담화 세계에 속하는 음성, 표정, 동작이 강화되면 이 구연은 교감적phatic이며 상대적으로 자연스러운 것이 된다. 이 도서관 대부분의 화자들은 연극적 음성· 표정의 사용을 제한하는 경향이 있는 반면, 친교적·교감적 음성과 표정의 사용에 있어서는 자유로웠다. 이런 화자의 경향성에 대한 파악은 비언어적 측면을 연구함으로써 도달할 수 있는 것으로, 언어적 측면에 대한 연구만으로는 획득할 수 없는 지점이기도 하다. 또 다른 한편 도서관의 연행은 구술되지만, 역설적이기도 기술된 이야기 세계를 중시한다. 많은 화자들은 도서관에 있는 동화책을 빌려가서 읽으면서 연행을 준비한다. 화자들은 전래동화로 읽은 것을 잊지 않고 구연하는 데 가장 중심을 둔다. 이들은 이야기를 음성, 표정, 동작을 통해 자연스럽게, 연극적이지 않게 전달하는 것이다. 현대적 이야기판의 한 장소인 이 어린이 도서관에서 진행되는 연행은 자연스러운 “기술(技術)의 기술성(記述性)”을 특징으로 한다. This paper studies the Korean traditional children``s stories which are performed by members of a volunteer organization. These performances have two levels. One consists of verbal factors and the other nonverbal factors. Most of communication studies and performance studies focus on the verbal factors but this paper focuses on the other factors, voices, expressions, actions of storytellers and audiences. The analysis of the performances has to consider not only verbal art but also non-verbal art. There are a lot of modern stages to tell folktales, of the performances is a library for children in Seoul. There are several volunteer organiza tions. Doggaebigamto[도깨비감투] is one of them. They tell Korean traditio nal children``s stories. I research their voices, expressions, and gestures of storytellers and audiences, using a Jengganbo[井間譜], a Korean tradi tional music score. Goffman is known for stage metaphor to convey his thoughts about social interactions. According to Goffman, I divided the "front", the stage for storytelling and "backstage", the space for practice and rehearsal. On the front, storytellers tend to limit their dramatic voices and expressions but they make gestures more freely. On the backstage, they rank their ability to communicate. I can observe their ranking by determinating parts for Kamisiby(かみ-しばい [紙芝居]), the old Japan drama. They highly appreciate the ability to communicate continuously. They tend to orient a phatic performance rather than a referential performance. In the storytelling performances, the performan ce skill is important. The skill is relative with literacy. So I call the performance in the library for children literacy of the skil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