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연희현장에서의 올바른 활용을 위한 진도다시래기 음악분석

        한승석 ( Seung Seok Han ),남초롱 ( Cho Long Nam ) 한국공연문화학회(구 한국고전희곡학회) 2012 공연문화연구 Vol.0 No.25

        다시래기는 전라남도 진도 지방에서 전승되는 상장례놀이로서, 죽음의 현장에서 새 생명이 탄생한다는 생사불이(生死不二)의 메시지를 담고 있다. 더불어 많은 춤과 노래, 재담을 포함한 독특한 양식적 구조로 인해 현장 연희판에서 새로운 콘텐츠에 목말라 있 던 공연문화 담당층의 주목을 끌기에 충분했다. 다시래기에 관한 많은 선행연구물들이 이들의 다시래기 재창조 작업에 커다란 도움을 주었다는 것은 불문가지의 사실이다. 그 러나 이전의 연구들이 진도다시래기를 다각도로 다루어 적지 않은 성과를 이루어 내었지 만 주로 학술적 접근을 통해 연행의 상징적 의미를 구명하는 데 치중한 것이 사실이다. 또한 공연요소들에 대한 접근도 대본, 노래가사, 재담, 행색, 소도구, 장단, 춤사위 등의 소개에 그쳐 정작 중요한 공연요소인 소리(唱)의 구체적 모습에 대한 연구가 없어 아쉬움 으로 남아 있었다. 이에 본고는 다시래기 음악을 분석하고 그 음악의 성격과 특징을 악보 와 함께 제시하여 공연현장의 연희실기자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본고에서 음악분석 대상으로 삼은 소리는 가상제놀이와 거사·사당놀이에 나오는 모 든 소리, 그리고 연희패의 입장 시에 부르는 상여소리로 한정하였다. 다시래기 다섯 절차 중 가상제놀이와 거사·사당놀이, 상여소리가 가장 많이 공연되기 때문이다. 수많은 공연 자료가 있지만 분석의 텍스트로는 E&E미디어에서 출반된 음반인 「진도다시래기」를 택하였다. 이는 이 음원의 녹음상태가 우수하며 무엇보다 본고에서 제시된 악보를 학습 자료 로 삼아 다시래기 소리를 익히고자 하는 연희실기자들이 음원 구득과 그 활용을 용이하 게 할 수 있다는 판단에서이다. 음악분석 결과, 진도다시래기에서 불리는 소리들은 대부분 꺾는 음이 있는 ``미``음계를 사용한 전형적인 육자배기토리로 짜여 있었다. 그리고 ``솔``음계의 남부경토리는 극히 일부분에 짧게 나타나며, 음악적 완결성은 갖추지 못하고 있는 것도 알 수 있었다. 또한 같 은 상장례음악임에도 씻김굿과의 음악적 친연성은 거의 발견되지 않는데, 이는 망자를 달래서 천도하는 씻김굿과 산 자의 삶을 북돋우는 다시래기의 성격과 기능이 다른 데서 비롯된 음악적 특징이라고 생각된다. 한편 다시래기 소리 전반에 판소리 음악어법적 특 징들이 보이는데, 이는 다시래기의 복원과 전승에 있어서 주도적 역할을 한 예능보유자 의 과거 창극단 활동이력과 무관하지 않다고 여겨진다. 다시래기 예능 담당자의 이러한 활동이력은 다시래기 원형의 변질을 초래한 원인이 되기도 하였지만, 한편으로는 다시래 기의 공연요소를 더욱 풍부하게 하여 공연현장에서 콘텐츠로 활용될 수 있는 연희적 기 반을 확장시킨 결과로도 나타났다. 본고의 작업이 다시래기를 원형 삼아 죽음의 상실을 극복하고 삶의 활력을 지켜낼 미래의 진지한 현장예술가들에게 의미 있게 활용되기를 기 대한다. Dasiraegi is a traditional funeral rite performance of Jindo located in the South Jeolla Province of South Korea. With its unique stylistic structure including various dances, songs and witty dialogues, and a storyline depicting the birth of a new life in the wake of death, embodying the Buddhism belief that life and death is interconnected; it attracted great interest from performance organizers and performers who were desperately seeking new contents that can be put on stage as a performance. It is needless to say previous research on Dasiraegi had been most valuable in its recreation as it analyzed the performance from a wide range of perspectives. Despite its contributions, the previous researches were mainly academic focusing on: the symbolic meanings of the performance, basic introduction to the components of the performance such as script, lyrics, witty dialogue, appearance (costume and make-up), stage properties, rhythm, dance and etc., lacking accurate representation of the most crucial element of the performance which is sori (song). For this reason, the study analyzes the music of Dasiraegi and presents its musical characteristics along with its scores to provide practical support for performers who are active Out of all the numbers in Dasiraegi, this study analyzed all of Geosa-nori and Sadang-nori, the funeral dirge (mourning chant) sung as the performers come on stage and Gasangjae-nori, because among the five proceedings of the funeral rite they were the most commonly performed. There are a plethora of performance recordings to choose from, however, this study chose Jindo Dasiraegi, an album released by E&E Media. The album offers high quality recordings of performances, but more importantly, it is easy to obtain and utilize for performers who want to learn the Dasiraegi based on the script provided in this study. The musical analysis discovered a number of interesting findings. Firstly, most of the songs in Dasiraegi use a typical Yukjabaegi-tori which applies the Mi scale frequently containing cut-off (breaking) sounds. Although, Southern Kyoung-tori which applies the Sol scale was used, it was only in limited parts and was musically incomplete. Secondly, there was no musical affinity between Ssitgim-gut and Dasiraegi albeit both are for funeral rites. The fundamental difference in character and function of Ssitgim-gut and Dasiraegi may be the reason behind this lack of affinity, as Ssitgim-gut is sung to guide the deceased to heaven by comforting him/her, whereas, Dasiaregi is sung to reinvigorate the lives of the living. Lastly, traces of musical grammar found in Pansori are present in the earlier part of Dasiraegi. This may be attributed to the master artist (Designee of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who was instrumental in the restoration and hand-down of Dasiaregi, and his experience in a Changgeuk company. The performer`s experience with Changgeuk may have induced the alterations in Dasiraegi, causing it to deviate from its original form. On the other hand, it expanded the performative bais by enhancing the performance aspect of Dasiraegi allowing it to be utilized as contents for Performing Arts. It would be meaningful to see this study utilized to benefit future performance artists, taking Dasiraegi as their inspiration, which overcomes the loss of death and invigorates the vibrancy of lif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