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새만금배후지 계화조류지의 수환경 특성

        장정렬 ( Jeongryeol Jang ),황선경 ( Sunkyoung Hwang ),남귀숙 ( Guisuk Nam ),홍대벽 ( Daebyeok Hong ) 한국농공학회 2009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09 No.-

        새만금호의 수질보전을 위해서는 호 내뿐만 아니라 새만금호와 인접한 배후지역의 수질오염물질 배출특성에 맞는 체계적인 수질보전대책 강구가 필요하다. 새만금 간척지와 인접해 있는 계화조류지는 1960년대 조성된 계화간척지로부터 배수되는 우수를 저류하여 바다로 방류시키는 홍수조절지이나, 유역의 농지로부터 배출되는 각종 물질들이 오랜 시간 집적되어 녹조현상이 빈발하고 화학적산소요구량(COD)이 20 mg/L를 초과하는 등 수질오염이 심각해 지고 있어 장래 새만금호 수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수질개선대책 수립을 위한 기초 수환경 조사를 실시하였다. 축산계 배출부하량이 BOD 32.1%, T-N 40.8%, T-P 48.4%가 배출되며, 토지이용에 의한 배출부하량이 BOD 18.8%, T-N 30.9%, T-P 28.9%로서 비점오염 성격의 배출부하량이 큰것으로 나타났다. 계화 조류지의 유입수 수질은 엽록소-a 농도(4.0~409.2 ug/L)는 조사 시기에 따라 점차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고, 질소계 (T-N: 0.34~10.42, NO3-N: 0.00~5.17, NH4-N: 0.00~5.50 mg/L)농도는 영농기인 5, 6월서 높은 농도를, 8, 9월에는 낮은 농도였으며, 총인 (0.01~1.03 mg/L), 용존성 무기인 (0.001~0.946 mg/L)는 지점 간에 차이는 나타났으나, 시기별 농도는 비슷한 경향을 보이고 있다. 계화간척 농경지의 2개의 소유역에 대해 강우 유출수 수질을 조사한 결과, 내륙의 농경지에서 질소는 유량변화와 관계없이 Random 하게 변화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는데 반하여 계화지구 농경지에서는 유량 변화와 비례하는 패턴을 보였는데 그 이유는 계화지구 농경지의 토성(사질토)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강우사상 유출 원단위를 기존 다른 농경지 자료와 비교한 결과 TSS, COD, TP 값이 현저하게 낮은 수준을 보였다. 그 이유는 계화 간척지는 전체유역이 규격화된 논으로 구성되어 있고 TSS 유출에 가장 민감하게 작용하는 유역경사(경사인자)가 거의 없는 평탄한 지형여건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반면에 TN 값의 경우 다른 농경지 유역과 비교하여 작거나 큰 수치를 보이고 있는데 그 이유는 TN은 농지에 주입된 비료성분인 NH<sup>4+</sup>나 생화학적 반응에 의해 전환된 NO3-와 같은 이동성이 강한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토사와 관계없이 강우시 유출되는 특성을 갖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계화조류지 호내의 부유물질 농도는 9.4~70.7 mg/L, 투명도는 18.0~52.0 cm, 질소계(TN: 0.56~6.47, NO3-N: 0.00~1.34, NO2-N: 0.00~0.3, NH4-N: 0.00~3.56 mg/L) 농도는 영농시기인 5~6월에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총인 농도(0.054~0.515 mg/L)도 영농기에 높은 농도를 나타냈다. 계화지구 조류지 20개 지점으로부터 퇴적물을 채취하여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지점에서 모래가 80%이상인 모래가 주종을 이루었고 토성은 Loamy sand이며, 유기물함량은 0.2% 내외, 강열감량은 1.0% 내외로 매우 작은 수치를 보였다. TN 함량은 179.5~507.1mg/kg, TP는 20.1 ~ 50.6mg/kg이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