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PBI 설정을 위한 살충제 Diazinon의 알타리무 중 흡수이행시험

        김영은 ( Young Eun Kim ),임다정 ( Da Jung Lim ),김선욱 ( Seon Wook Kim ),윤지현 ( Ji Hyun Yoon ),김희경 ( Hee Gyung Kim ),김인선 ( In Seon Kim ) 한국환경농학회 2020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20 No.-

        농약허용물질목록고시제(Positive List System, PLS) 시행과 관련하여 비의도적인 과정을 통한 잔류농약으로 PLS에 위반되는 사례가 발생하고 있다. 비의도적인 농약 오염에는 대표적으로 후작물 흡수이행이 있으며 우리나라의 경우 연속재배 및 혼작재배 형태의 작부체계가 많기 때문에 비의도적 농약오염의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전작물 재배 후 후작물을 식재하기까지의 기간인 PBI(Plant-Back-Interval)의 설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유통 농산물 중 다빈도 검출농약 중 하나인 diazinon의 PBI설정을 위한 알타리무 중 흡수이행시험을 수행하였다. Diazinon 34% 유제를 연중 최대 사용농도 수준(12 mg/kg)으로 토양혼화처리한 7일 후 알타리무를 파종하여 60일 간 재배하였다. 시료는 수확시기에 준하여 4일 간격으로 총 9회에 걸쳐 경시적으로 채취하였다. 수확한 시료는 알타리무(지하부)와 무청(지상부)로 분리한 후 QuEChERS 방법에 준하여 전처리하였으며 잔류량평가는 농촌진흥청 잔류농약분석 가이드라인에 의거하여 LC-MS/MS로 수행하였다. 분석법 정량한계 (Metiiod Limit of Quantitation; MLOQ)는 0.001 mg/kg이었으며 10MLOQ 및 50MLOQ 수준에서 diazinon의 평균 회수율은 알타리무에서 90.9±1.9% 및 90.0±0.4%이었고 무청 에서 73.9±2.0% 및 74.8±1.1%로서 변이계수는 20% 이내이었다. 시료 중 diazinon의 잔류량은 경시적인 감소를 보였으며 파종 44일 후 정량한계 미만으로 검출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토양에 잔류하는 diazinon은 알타리무에 의한 흡수이행성이 낮아 PLS를 위반할 가능성이 미비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 PBI 설정을 위한 살충제 Chlorantraniliprole의 알타리무 중 흡수이행시험

        김영은 ( Young Eun Kim ),임다정 ( Da Jung Lim ),김선욱 ( Seon Wook Kim ),윤지현 ( Ji Hyun Yoon ),김희경 ( Hee Gyung Kim ),김인선 ( In Seon Kim ) 한국환경농학회 2020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20 No.-

        농약허용물질목록고시제(Positive List System, PLS)의 도입으로 비의도적 농약 오염으로 인한 피해가 우려되며 전작물에 살포한 농약이 토양 중 잔류하면서 후작물에 흡수되어 PLS 기준 0.01 mg/kg이상으로 검출되는 사례가 발생하고 있다. 우리나라 작부체계는 연작 및 혼작이 이루어지는 후작물 작부체계이다. 따라서 비의도적 농약오염을 예방하기 위해 전작물을 수확 후 후작물 식재까지의 기간인 PBI(Plant-Back-Interval)의 설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토양잔류농약 실태조사 결과 검출 상위 성분인 chlorantraniliprole의 PBI설정을 위한 알타리무 중 톱수이행시험을 수행하 였다. Chlorantraniliprole 5% 입상수화제를 연중 최대 사용농도 수준(1 mg/kg)으로 토양혼화처리 한 7일 후 알타리무를 파종하여 60일간 재배하였다. 시료는 수확시기에 준하여 4일 간격으로 총 9 회에 걸쳐 경시적으로 채취하였다. 수확한 시료는 알타리무(지하부)와 무청(지상부)로 분리한 후 QuEChERS 방법에 준하여 전처리하였으며 잔류량평가는 농촌진흥청 잔류농약분석 가이드라인에 의거하여 LC-MS/MS로 수행하였다. 분석법 정량한계 (Method Limit of Quantitation; MLOQ)는 0.001 mg/kg이었으며 10MLOQ 및 50MLOQ 수준에서 chlorantraniliprole의 평균 회수율은 알타리무에서 95.0±1.3% 및 95.3±0.7%이었고 무청에서 89.0±3.1% 및 89.1±2.0%로서 변이계수는 20% 이내이었다. 시료 중 chlorantraniliprole의 잔류량은 경시적인 감소를 보였으며 파종 32일 후 0.01 mg/kg 미만으로 검출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토양에 잔류하는 chlorantraniliprole은 알타리무에 의한 흡수이행성이 낮아 PLS를 위반할 가능성이 미비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 축산물 중 Fenpropimorph와 대사체 Fenpropimorph-acid 동시분석법 개발

        김선욱 ( Seon Wook Kim ),임다정 ( Da Jung Lim ),김영은 ( Young Eun Kim ),윤지현 ( Ji Hyun Yoon ),김희경 ( Hee Gyung Kim ),김인선 ( In Seon Kim ) 한국환경농학회 2020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20 No.-

        Fenpropimorph가 사용된 곡류들은 가축의 사료로서 사용되어 축산물에서 잔류될 가능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축산물 잔류농약수준을 평가하기 위해 분석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시료는 소고기(등심), 돼지고기(삼겹살) 닭고기(닭다리살), 우유, 계란과 부산물인 소지방 및 돼지지방등이었다. QuEChERS 방법에 준하여 시료를 전처리한 후 LC-MS/M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법은 7가지 축산물 시료에서 분석할 수 있도록 최적화하였다. 분석법 검증을 위해 회수율 시험 및 상대표준편차(RSD), 매질효과를 통한 ion suppression 또는 enhancement 정도를 시험하였다. 분석법 정량한계 (Method Limit of Quantitation; MLOQ) 는 0.005 mg/kg 이었으며 축산물 중 fenpropimorph 회수율은 MLOQ, 2MLOQ, 10MLOQ 수준에서 평균 69.1~92.5%,76.6~90.2%, 82.6~100.6%이었다. Fenpropimorph-acid의 회수율은 MLOQ, 2MLOQ, 10MLOQ 에서 평균 69.3~111.1%, 76.3-100.7%, 70.1~111.2%이었다. 회수율의 상대표준편차 (RSD)는 20% 미만이었으며 분석성분의 매질효과는 -4.410~11.821%이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본 연구에서 개발된 분석법은 축산물 중 fenpropimorph와 대사체 fenpropimorph-acid 동시분석에 적합하다고 판단되었다.

      • PBI 설정을 위한 살충제 Cyantraniliprde의 알타리무 중 흡수이행시험

        김영은 ( Young Eun Kim ),임다정 ( Da Jung Lim ),김선욱 ( Seon Wook Kim ),윤지현 ( Ji Hyun Yoon ),김희경 ( Hee Gyung Kim ),김인선 ( In Seon Kim ) 한국환경농학회 2020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20 No.-

        우리나라는 안전한 농산물 생산을 위해 농약허용물질목록고시제(Positive List System,PLS)를 시행하고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비의도적 농약 오염을 통해 농민에게 불이익을 안겨줄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들려오고 있다. 비의도적인 농약 오염의 대표 사례는 후작물 흡수이행이 있으며 이를 통해 0.01 mg/kg 이상으로 농약이 농산물에 잔류할 경우 PLS에 위반된다. 따라서 전작물 수확 후 후작물을 식재하기까지의 기간인 PBI(Plant-Back-Interval)의 설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반감기 70일 이상, Gus값 3.0 이상의 고잔류성 농약 중 하나인 cyantraniliprole의 PBI설정을 위한 알타리무 중 흡수이행시험을 수행하였다. Cyantraniliprole 10.26% 액상수화제를 연중 최대 사용농도 수준(2 mg/kg)으로 토양혼화처리한 7일 후 알타리무를 파종하여 60일간 재배하였다. 시료는 수확시기에 준하여 4일 간격으로 총 9회에 걸쳐 경시적으로 채취하였다. 수확한 시료는 알타리무(지하부)와 무청(지상부)로 분리한 후 QuEChERS 방법에 준하여 전처리하였으며 잔류량평가는 농촌진흥청 잔류농약분석 가이드라인에 의거하여 LC-MS/MS로 수행하였다. 분석법 정량한계(Method Limit of Quantitation; MLOQ) 는 0.001 mg/kg 이었으며 10MLOQ 및 50MLOQ 수준에서 cyantraniliprole 의 평균 회수율은 알타리무에서 94.9.±3.2% 및 99.7±2.8%이었고 무청에서 87.9+5.2% 및 85.9±3.4%로서 변이계수는 20% 이내이었다. 시료 중 cyantraniliprole의 잔류량은 경시적인 감소를 보였으며 파종 25일 후 0.01 mg/kg 미만으로 검출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토양에 잔류하는 cyantraniliprole은 알타리무에 의한 흡수이행성이 낮아 PLS를 위반할 가능성이 미비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