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농업 및 농촌에 대한 대학생 인식조사 비교 연구

        박진선 ( Jinseon Park ),최수광 ( Soogwang Choi ),김난영 ( Nanyeong Kim ),김혜지 ( Heyji Kim ),유승종 ( Seungjong Yoo ),김태헌 ( Taeheon Kim ),윤성수 ( Seongsoo Yoon ) 한국농공학회 2017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7 No.-

        농업과 농촌은 우리나라의 근간을 이루는 산업이자 그 산업이 유지되는 공간이었으나, 산업의 규모는 축소되고 농촌 인구는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고자 농업 장려와 농촌 공간 활성화 사업이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4차 산업혁명의 기술력을 도입하여 농업 생산성을 증진시키고, 이를 통해 소득 증대를 위한 노력이 계속되고 있으며, 귀농·귀촌 정책의 활성화로 농업 및 농촌으로 회귀하려는 인구 또한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정책 및 정보가 지속적으로 홍보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농업과 농촌은 여전히 젊은 계층에게는 생소하고 기피하는 현상을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일반 국민이 느끼는 농업과 농촌에 대한 인식조사와 젊은 계층을 대표하는 대학생의 인식을 비교하고, 농업계열 전공자와 비농업계열 전공 대학생이 갖는 농업과 농촌에 대한 인식 차이를 살펴보고자 한다. 대상학생은 충북대학교 학생 116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4차 산업혁명의 농업 적용, 농업 및 농촌 정책, 농업 및 농촌 이주 선호도 등에 대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으며, 설문방법은 구글 설문과 설문지 배포를 통해 이루어졌다. 설문 결과를 통해 농업 및 농촌 정책에 대한 인지 및 이해의 정도를 파악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고, 대학생들의 농업 및 농촌에 대한 선호도 및 기피이유 등을 살펴 볼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