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전시와 권력: 1960~1970년대 한국 현대미술에 작용한 권력

        김형숙,Kim, Hyung-Sook 한국미술이론학회 2005 미술이론과 현장 Vol.3 No.-

        Contemporary Korean art in the 1960s and the 1970s reflects the social and political contexts in Korea from the 5 16 revolution through the Yoo Shin period. This paper investigates whether art has been free from power or not. It examines the power embedded in contemporary Korean art in the 1960s and the 1970s. This paper examines the historical moments of the Korean Art Exhibition, focusing on the complications between the abstract and figurative artworks of the 1960s. One of the significant art exhibitions since the 8 15 liberation of Korea, the Korean Art Exhibition witnessed conflict among Korean artists who wanted to have power in the art world of Korea. Institutional contradiction based on factionalism and conservatism prevailed in the Korean Art Exhibition was attacked by the avant-garde young artists in the 1960s. With the contact of Abstract Expressionism, young artists' generation participated in the The Wall Exhibition. This exhibition challenged and established moral principles and visualized individual expression and creation similar to the Informal movement in the West. In the world of the traditional painting of Korea, the Mook Lim Exhibition of 1960, organized by young artists of traditional painting, advocated the modernization of Soo Mook paintings. Additionally, abstract sculptures in metal engraving were the new trends in the Korean Art Exhibition. In the 1970s, the economic development and establishment of a dictatorial government made the society stiffen. Abstract expression died out and monochrome painting was the most influential in the 1970s. After the exhibition of Five Korean Artists, Five White Colors in the Tokyo Central Art Museum in 1976, monochrome paintings were formally discussed in Korea. 'Flatness' 'physicality of material' 'action' 'post-image' 'post-subjectivity' and 'oriental spirituality' were the critical terms in mentioning the monochrome paintings of the 1970s. 'Korean beauty' was discussed, focusing on the beauty of white which was addressed by not only Yanagi Muneyoshi but also the policy of national rehabilitation under the Yoo Shin government. At this time, the monochrome paintings of the 1970s in Korea, addressing art for art's sake, cutting of communication with the masses, and elitism, came to be authorized.

      • KCI등재

        무용의 과학화를 위한 학문적 과제와 전망

        김형숙(Hyung Sook Kim) 한국무용과학회 2005 한국무용과학회지 Vol.11 No.-

        본 연구는 움직임의 과학적 원리를 규명하고 체계적으로 학문화하여 무용 현장에 과학적 영역을 지속적으로 접목하고 개발함으로서 새로운 무용 과학적 영역의 창출을 위한 학문적 과제를 제시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연구(descriptive)를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무용의 과학화를 위하여 기초과학영역의 이론적 체계화를 통한 실증적 과정이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뉴테크놀러지의 도입을 통하여 새로운 무용 과학적 영역을 창출해야 한다. 셋째, 미래의 무용영역에 있어서 무용과학의 중요성이 부각되는 만큼 현장 지도교사의 적극성이 요구된다. 즉, 신기술을 무용에 지속적으로 통합 할 수 있는 과정으로 미래 무용과학의 방향성을 전개해 나가야 한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기초과학영역의 이론화를 통한 무용과학의 통합이론을 창출해야 한다. 이를 위하여 기본적 개념 확립을 통한 새로운 테크놀로지와의 접목이 이루어질 때 새로운 시대에 맞는 다양한 춤이 시도될 수 있다. 또한, 이 과정에서 새로운 무용 과학적 영역의 창출이 이루어질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cientific principles of the movement and then apply to the dance field by systematic establishing the academic view of the dance, so that this procedure should contribute to the dance, continuing development of the new technologies. To answer these problems, we use the descriptive and analyze, which includes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o scientize dance, we should conduct the positive procedures through systematizing dance area with the scientific method by theorizing on the basic concepts of the science. Second, the introduction of the new technologies should create the newly made dance area in using scientific method. Third, as the attention of the dance with the scientific approach is growing more and more, the active teachers are required for the future of the dance, That is, the procedures should be conducted in integrating the newly made technologies with the dance area consistently, so that it should present the direction which means what the scientific dance area should be. On the basis of the above-mentioned results, we should establish the integrating theories of dance area with the scientific method by theorizing on the basic concepts of the science. When we integrate existent theories with new technologies through the well-established on the fundamental notions, a variety of the dances are created and attempted with the present times. In addition to, through these procedures the newly made dance area in using scientific method would be appeared.

      • KCI등재

        Motif writing의 활용에 따른 적용방안 연구

        김형숙(Hyung Sook Kim) 한국무용과학회 2005 한국무용과학회지 Vol.11 No.-

        본 연구의 목적은 무용창작의 과정에 Motif writing을 활용하여 과학적 분석을 통한 창의적 움직임 프로그램으로의 활용과 다중지능이론의 신체운동적 영역에 적용하여 분석적인 시각과 새로운 움직임 프로그램의 이론적 기초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WIKC에 참여하여 Motif writing수업을 받은 어린이에 관한 연구결과를 문헌연구(descriptive)로 분석하였고, A. S영어 유치원에 재원하고 있는 어린이를 대상으로 일반적 창작무용수업진행과정을 수업관찰을 통해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Motif writing 수업 적용의 유·무에 따른 수업의 결과를 비교·분석하였으며, 자료의 진실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구성원 간 검토, 동료 간 협의, 다각도 분석법을 적용하였다. 이러한 방법을 통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로, Motif writing수업은 다양한 기호를 인지함으로서 무용언어로 이해될 수 있었으며, 무용 창작의 과정에서 상대방과 의사소통하며 춤에 대한 자신들의 아이디어를 제공하였다. 둘째로, Motif writing수업은 잠재적 무용 인구의 저변확대와 문화예술 향유의 관점에 있어서의 소비자로서 중요한 자원을 형성하는 방법적 대안으로 가장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것이며 무용의 대중화에 있어 중요한 과정으로 판단된다. 셋째로, Motif writing을 적용하지 않은 일반적 창작무용 수업은 움직임 교육 수업모형에 따라서 수업이 진행되고 있었으나 어린이들이 과제에 대해 어렵게 생각하여 수업이 의도하는 자발적 참여수업이 진행되는데 다소 어려움이 있었다. 이를 위하여 교육모형을 바탕으로 관행처럼 실시해오던 방법을 탈피하여 창조적 구성과 기능적 다양화를 바탕으로 과학적 움직임 프로그램의 제시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무용 창작과정의 수업은 과학적 움직임 프로그램으로서 다중지능이론(MI이론)의 신체-운동적 지능 영역에 Motif writing수업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창의적 움직임의 교육과정 통합 프로그램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며 이를 위한 교수, 학습활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져야 한다고 사료된다. The purpose for this study is the use of creative movement program based on the scientific analysis in the dance creative process by using Motif writing, and the offering analytic view and the new theoretical basis by applying Multiple lntelligence(Ml) theory to the field of physical-motion. In order to accomplish this purpose, findings which are about the children taken the lesson of Motif writing are analyzed as a descriptive process with participating WIKC and general creative dance lesson's process also analyzed for the children attending the English A.S. kindergarten. Therefore the results of lesson, according to the existence and nonexistence of applying Motif writing lesson, are compared and analyzed. In addition to, in order to make sure of authenticity of this materials, investigation between members, consultation between colleagues, and multiple-analytic method are applied. Through using these method, here are the following analytic results. First, Motif writing lessons are understood as a dance-language by recognizing a variety of symbols and their ideas about dance are offered,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in the dance creative process. Secondly, Motif writing lessons will play the most important role as a alternative method in making an important consumer' resource, in terms of the extension about the stratum of potential dance population and possession about culture and art. Also Motif writing lessons are considered as an important process in publicizing dance. Thirdly, the results about lesson observation of general creative dance which is not applied Motif writing are that the lessons are conducted to the movement education class-model, but the children who are participated in class are felt a little bit hard about the task. Therefore there are some difficulties in volunteering participation to the class according to the lesson plan. The presentation of scientific movement program is necessarily considered on the basis of creative composition and functional diversity while the routine class is conducted on the basis of education model. On the basis of the above-mentioned results, the dance creative process lessons can be applied to the field of MI theory, which is also applied the field of physical-motion intelligence as a scientific movement program by using Motif writing lessons. Moreover the developments for the program-educational curriculum of the creative movement- are seriously needed, and instruction and learning activities' vigorous performances are also needed for achieving these goals.

      • KCI등재

        한국의 미술대학 회화과의 성립과 현행 교과과정 분석

        김형숙(Kim Hyung-Sook),고홍규(Koh Hong-Kyu) 한국미술교육학회 2006 美術敎育論叢 Vol.20 No.1

          한국의 미술교육에서 고등교육에 관한 논의는 질적·양적으로 매우 부족하다. 특히 대학의 회화과에 관한 논의는 매우 드물며 그동안 기초조사 없는 피상적인 논의의 성격이 강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구체적인 자료 수집과 분석으로 논의의 근거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에 먼저 회화과의 설립과정을 개괄한 후 현재 회화과를 설치하고 있는 각 대학의 2005학년도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교육목표, 학점 구성, 교과목 편성 구조를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해방 이후 시작된 한국의 대학미술교육은 근대화 과정에서 보편적 합의를 이루지 못한 학과명의 사용으로 인한 학과 개념의 혼란과, 특성 없이 천편일률적인 교육목표와 교과목 구성 등의 쟁점을 도출하였으며, 해외의 유수한 미술학교의 사례를 통해 시사점을 살펴보았다.   Previous studies of visual arts education at the university level in Korea were sufficient neither in quality nor quantity and not supported by basic research. This paper have therefore examined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e of the collective educational programs in visual arts departments through an analysis of the credit-distribution ratios as well as the course arrangements present in the curriculum. Preceding an in-depth discussion of these questions, the current state of visual-arts departments in Korea is addressed by way of an examination of their development. Analyses of these curricula are presented in three sections: educational goals, minimum credit requirements for graduating majors, and course arrangement. Cases from ten different colleges in United States and Japan are utilized in these analyses. This research has yielded the following conclusions: the confusion of definitions among majors, the educational goals and course arrangements that are not reflect the philosophy of each universities and monotonous, and others.

      • KCI등재

        ICT기반 인터랙티브 아트 STEAM프로그램 개발: 고등학교중심

        김형숙 ( Hyung Sook Kim ),황정환 ( Jung Hwan Hwang ) 한국무용과학회 2015 한국무용과학회지 Vol.3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인터랙티브 아트 활동을 통하여 학생들이 과학·기술 기반 지식을 재미있고 다양하게 학습할 수 있는 STEAM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고등학교 1학년 과학 교과서 중심으로 내용을 분석하고, 통합예술활동과 키넥트 활동 등으로 과학기반 지식의 이해를 확장하고 이를 사회적 관심사와 연계하여 학생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주제에 따라 상황제시, 창의적 설계, 감성적 체험의 STEAM 준거틀에 따라 전체 10차시로 구성하고 상황제시는 각 차시의 주제에 관심을 갖고 이해를 돕기 위한 애니메이션, 사진, 동영상 등의 자료를 제시하였다. 창의적 설계는 교사가 주제에 따른 내용을 통합예술과 키넥트 등을 선택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감성적 체험은 학습내용을 공유할 수 있도록 발표, 패션쇼, 전시회, 인터랙티브 아트 등으로 구성하였다. 인터랙티브 아트를 활용한 STEAM 프로그램을 통하여 향후 다양한 사회문제해결형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velop STEAM program through interactive art activities so that students can study science and technology-based knowledge with having fun. For this, a science textbook of the first grade of high school was mainly analyzed and this study focused on integration art activities and Kinect activity to expand the knowledge. We constituted 10 times of classes by topics such as presenting situations, creative design, and emotional touch according to the STEAM standards. Presenting situations provide animations, pictures and video clips to help understanding about the topics. An instructor can choose appropriate integrated art activities or Kinect in each topic in the creative design. Lastly the emotional touch is constituted by presentations, fashion show, exhibition, interactive arts and so on. It is considered that a variety of social problem solving programs can be developed through the STEAM program utilizing the interactive arts.

      • KCI등재후보

        예술가의 창의성 유형에 기초한 융합형 예술영재 교육기관 설립에 관한 고찰

        김형숙 ( Hyung Sook Kim ) 한국예술교육학회 2012 예술교육연구 Vol.10 No.3

        이 연구는 예술가들의 특징을 유형별로 구분하여, 융합형 예술영재교육을 위한 선발제도와 교육과정을 탐구하는데 목적을 가진다. 2000년 ``영재교육진흥법 시행령`` 이후에 우리나라에서는 영재교육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그 열기에 부응하여 초등학교의 1%까지 영재교육을 실시하자는 의견이 나타나기에 이르렀다. 이처럼 영재교육에 대한 관심의 교육의 수월성에 대한 요구와 함께 높아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선발제도 및 교육과정에 대한 논의도 다양하게 나타난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교육에서 수월성 흐름에서 21세기를 선도해 나갈 인재양성을 위한 융합형 예술방법 및 교육과정에 대해 연구하고자 합체적인 제안을 하고, 융합인재의 특징에 대해서 고찰해 본다. 따라서 번 논문에서는 첫째, 창의적 예술 가들의 유형들을 세 가지 유형으로 고찰해 본다. 둘째, 창의적 인물을 양성하는 제도로 영재교육의 사례들을 알아보고 이에 따른 특성 및 선발방법에 대해 고찰한다. 마지막으로 창의적인 융합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제도 및 교육과정에 대해서 제언 및 시사점을 도출한다. This study aims to classify the features of artists into specific types, thereby exploring screening system and educational curriculum for cultivation of creative convergent talent. Since the enactment of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Gifted Education Promotion Act in 2000, gifted education has gained considerable momentum in Korea, In response to such educational boom" some voice the necessity of applying gifted education to the top 1% of students at primary and middle schools. Likewise, attention grows over gifted education with demands for excellence in education, being accompanied by controversy over screening system and educational curriculum. In the belief that such trend illustrates part of excellence in education, this study construes it as a type of proposal for nurturing talent at the forefront of the 21st century. Accordingly, the study presents concrete proposals through review of screening method and curriculum for cultivation of creative convergent talent, thereby identifying the distinction of convergent talent. First, it examines creative artist types under the three categories. Second, it looks at specific cases of gifted education as a system for fostering creative manpower, thereby pondering over the distinction and screening method hereunder. Finally, it produces suggestions and implications for such screening system and educational curriculum for nurturing creative convergent talent. Based on the afore5aid discussion, it clarifies that studies on educational curriculum and program for cultivation of creative talent in rune with the society in the 21st century are closely connected with how to nurture convergent talent.

      • KCI등재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이 남긴 과제 - 세계시민교육을 향하여 -

        김형숙(Kim, Hyung Sook) 한국미술교육학회 2019 美術敎育論叢 Vol.33 No.3

        이 논문은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에 대해 미술과의 특성, 성격과 내용체계 등을 알아보고, 2015 개정 교육과정이 남긴 과제를 통해서 미래 미술과 교육과정의 지향점을 세계시민성교육과의 연계성을 통해 고찰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둔다. 따라서 본고는 첫째, 2015 개정 교육과정과 미술과 교육과정과의 관련성과 차이점을 논의 하기 위해서 핵심역량을 다룬다. 또한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의 특성과 내용 체계를 논의하여 학습자가 제한된 수업시수 내에서 학습할 수 있는 체험, 표현, 감상 영역의 내용체계 구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둘째, 이 논문은 역량중심 미술과 교육과정이 남긴 과제를 중심으로 미래의 교육과정 개발 방향을 세계시민교육과 관련하여 논의를 진행시킨다. 이는 세계시민교육이 지향하는 주요 학습자의 특성과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핵심역량을 중심으로 파악한다. 따라서 이 연구는 정부주도 하에 수시개정체계와 정시 개정체계를 병행하고 있는 교육과정 개정시, 미술교과의 지식과 기능, 그리고 역량을 연결하여 세계시민교육의 가치와 의미를 창조할 수있는 측면에서 고려되어야 할 것임을 주장한다. School education is placing greater emphasis on the acquisition of knowledge, rather than focusing on the character development of students. Teenage students, who are the future of South Korea, thus receive an imbalanced education in schools. Art education with its basis on emotion, pursues psychological development. However, psychological development is sorely lacking.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was developed under these circumstances in order to provide the future generation and society with not only the ability to learn piecemeal knowledge and notions, which is the mission of traditional school education, but to encourage them to discover and apply knowledge, and to create new knowledg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examines the art curriculum in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nd aims to present goals for future education plans, and to discover the implications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First, this study discusses the characteristics and content structure of the curriculum in the 2015 Revised Art National Curriculum, by exploring the relation between general education and art education. In particular, the structures of experience, expression, and appreciation in the art curriculum in the 2015 Art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re discussed to understand the factors of capacity-centered the 2015 Revised Art National Curriculum. Second, this study discusses the relation betwee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nd the 2015 Revised Art National Curriculum, focusing on capacity-centered art curriculum. The implications and task from the 2015 Revised Art National Curriculum are examined to propose future goals for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 KCI등재

        미술과 지역사회의 파트너쉽

        김형숙(Kim, Hyung Sook ) 한국미술교육학회 2009 美術敎育論叢 Vol.23 No.1

        최근 한국에서 논의되고 있는 지역사회 미술교육은 공교육에서 미술교육의 부실과 위축을 극복하고 실기와 기능 전수의 전통적 미술교육 개념을 넘어 미술교육의 확장을 가져올 수 있는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간주된다. 국가차원에서 실행되고 있는 문화예술교육정책과 교육과정에서는 지역사회와 연계된 미술교육의 프로그램이 개발되고 학습자의 미술교과서에 교수 학습방법으로 제시되고 있으나, 실제 중학교 학생들에게 지역사회 미술교육에 대한 이해와 반응을 조사한 결과 그다지 동기부여가 되고 있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정황에 비추어 보아, 지역사회 미술교육을 국가적 차원에서 강조하는 차원에서 벗어나 학습자나 지역시민들이 모두 공감하고 참여할 수 있는 단계로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본다. 이 연구에서는 지역사회 미술교육이 문화예술교육정책의 관점에서 어떻게 실행되고 있는지, 교육과정 속에서 나타나고 있는 현상들을 파악하고 분석한다. 또한 지역의 공공문화기반 시설 중의 하나인 박물관·미술관에서 지역사회와 연계된 프로그램들의 현황을 살펴보고 문제점을 진단하고자 한다. Community-based art education in Korea today is considered as a new art education paradigm in overcoming the earlier weakness of school art education which had been focused on studio-oriented and technique- oriented art education. Even though various governments through the Ministry of Culture and Tourism and Ministry of Education tried to assist community-based art education to develop a culture and art education policy and the national curriculum, middle school students have not any motivation and interest in visual art education for engaging in their own communities, based on data from survey research on students. Since most art classes related to communities were provided not as regular art classes but as after school activities, only a small percentage of students could participate in these art programs.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that it is time to promote the current stage of community-based art education to a stage in which students and people in communities actively can participate. This study firstly examines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community-based art education and various art programs and cases in order to reconsider current community-based art education in Korea. The literature on John Dewey’s education theory is reconsidered focusing on students’ experiences, processes, and themes. Second, this study discusses how culture and art education policy activated a partnership between art education and communities. Third,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urrent situa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of community-based art education which have appeared in art textbooks. Variou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of community-based art education are also analyzed in order to uncover problems with current art education related to communities. Finally, this study examines the programs of community-based art education in Korean museums which are one of many significant cultural and educational institutions. It is a key element that community based art education needs to have partnerships with various cultural organizations and human and educational resources in society.

      • KCI등재
      • 알콜성 간질환의 간이식 전 상담, 교육, 모니터링

        김형숙 ( Hyung Sook Kim ) 대한간학회 2018 춘·추계 학술대회 (KASL) Vol.2018 No.1

        2010년 9월 미국 장기이식관리센터(United Network for Organ Sharing: UNOS)의 통계에 따르면 알코올성 간질환은 미국의 전체 간이식 원인의 2위를 차지했다. 2016년 우리나라 장기이식관리센터(Korea Network for Organ Sharing: KONOS)에 따르면 간이식을 받은 19.56%가 알코올성 간질환이 원인이었으며 이중 생체로 간이식을 받은 경우는 12.65%이고 뇌사자로부터 간이식을 받은 경우는 32.68% 였다. 이는 2012년 간이식을 받은 원인이 알코올성 간질환에서 9.89%였던 때보다 1.98배 증가하였다. 알코올로 인한 간질환은 지방간, 급성 알코올 간염이나 알코올 간경변으로 변화되며 이는 이따금씩 폭음을 하는 습관보다는 지속 적인 음주습관자에서 흔하게 발생한다고 한다. 알코올성 간염의 경우 금주를 시행하고 steroid를 포함한 약물요법을 시행할 경우 간기능의 회복을 기대할 수 있으나 3-6개월 이상의 치료에도 불구하고 호전증세가 보이지 않을 경우 간이식을 고려할 수 있다. 그러나, 간이식 후 음주를 계속하는 경우가 생겨서 Dew들은 메타분석을 통해 간이식 전 사회적인 지지의 부족, 알코올 중독 이 있는 가족력이 있는 경우와 금주기간이 6개월 미만인 경우를 간이식 후 음주에 노출될 수 있는 3가지 요인이라고 하였다. 6개월 미만의 금주에 대해서는 논쟁의 여지는 있지만 6개월 금주기간의 예측 유용성에 대해서는 널리 사용하는 편이다. 예전의 연구들은 알코올 중독으로 간이식을 받고 나면 이식 후 관리에만 집중하여 알코올 중독에 관한 치료를 꺼려한다고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알코올성 간질환으로 간이식을 대기하는 동안, 이식 전의 일반적인 건강상태를 증진하고 간 이식 후 음주를 줄이기 위해 심리 치료법을 테스트하게 되었다. 국내에서도 병원에 따라서는 알코올성 간질환의 대한 이식 전부터 금주를 위한 프로그램을 진행하면서 이식을 하는 경우도 있으나 병원별 차이가 있고 이에 대한 규정이 없는 상황이다. 알코올 중독에 의한 간이식을 진행되는 경우 가족 관계에도 변화가 생겨서 알코올 중독으로 인해 고통을 받았던 가족 구성원 은 환자의 상태가 급박하여도 생체로 간을 기증할 의사는 없지만, 뇌사자에 의한 이식을 원하는 가족들을 만나게 될 경우가 많다. 뇌사자에 의한 간이식은 응급도에 의해서만 진행 될 뿐 알코올에 대한 금주여부가 규정으로 없기에 실제 간이식 후 음주를 하는 환자들도 있어서 소중한 뇌사자 간이식을 통한 생명 나눔의 본 취지가 퇴색되지 않도록 하는 규정이 필요하다고 본다. 또한 알코올성 간질환으로 인한 간이식의 경우 간이식 전부터 프로토콜을 가지고 준비를 하는 것에 대한 필요성들을 있으며 더 나아가 알코올 중독인 환자로 인해 상처받고 피폐된 다른 가족구성원들에 대한 심리적 지지 역시 필요성을 제기하고 싶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