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Improvement In Cardiovascular Efficiency As A Function of Heart Rate Response During Training

        김창규(ChangKewKim) 한국체육학회 1977 한국체육학회지 Vol.15 No.-

        심폐기능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형태의 운동 program이 이용되고 있다. 어떤 운동을 할까하고 고르는 것은 심폐 stress의 정도를 생각해서, 심폐적성의 증가에 관계가 있어야 한다. 본 硏究의 目的은 持久力(1½ mile), 전반적인 신체적성 (5BX-XBX), 그리고 유연성 (Sanasession)에 유의하면서 3 가지 종류의 운동효과를 조사하기 위한 것이다.33명으로 구성된 남녀 (21才∼58才 사이)를 대상으로 8주 동안 3 group(1½ mile-Walk-jog. 5 BX-XBX, Sanasession)으로 나누어 정해진 운동 program에 의해 주 5회씩 실시하였다.체중, 피하지방, 그리고 % Body fat는 S-nasession group에 유독히 저하현상을 나타내었으며, 반면 회복시 심박수는 5 BX-XBX group에서 낮았다. 심폐효율은 Walk-jog group과 5 BX-XBX group에서 VO₂와 예상된 Max. VO₂가 증가되었으며, Sanasession group 에서는 변하지 않았다. group별로 비교해 보면, Sanasession group은 Walk-jog group 보다 체중에 있어서 더 감소되었으며, 그렇지만은 Walk-jog group과 5 BX-XBX group은 운동시 심박수가 낮았다.이상의 결과를 보아 다음과 같이 결론을 내릴 수 있다.1. 중량의 감소 및 % Body fat의 변화는 운동자체 보다는 음식의 요인(dietary bactor)에 의해 더 영향을 받으며2. 유연성 운동은 심폐기능에 어떤 변화도 주지 않았으며,3. 심폐기능에 증가현상을 얻은 사람은 훈련 중 자기에게 부과된 운동량에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내었다.

      • KCI우수등재

        야구선수(野球選手)들의 PRE-SEASON TRAINING의 의의(意義)

        金昌圭(ChangKewKim) 한국체육학회 1976 한국체육학회지 Vol.13 No.-

        Pre-season 동안 野球選手들로 하여금 Weight training 과 interval training에 參加시키는 것은, 그리 쉬운 일이 아니므로 가끔 選手와 코우치 사이에 不和가 일어나기도 한다. 本 硏究의 目的은 大學野球選手 16名을 Pre-season conditioning program (weight training 과 interval training)에 12주 동안 參加시킨 後 體力 筋力 心肺機能 그리고 代謝過程에서 어느 程度의 運動效果가 있었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測定種目은 體重, 皮脂厚, 握力, 背筋力, 自轉車 ergometer 에서의 代謝測定, 그리고 Power test 등으로 Program 시작 前 (pre-test) 과 後 (post-test) 에 測定하였다.測定結果는 大部分의 筋力이 增加했으며 특히 horizontal flexon, 最大酸素消費量(VO<sub>2</sub> max) 및 PWC는 顯著하게 增加했으며 power test 역시 7 %나 增加하였다. 그러나 休息時 및 回復時 그리고 Submaximal 에서의 心拍數 및 自轉車 ergometer (900KPM) 에서의 酸素消費量 (VO<sub>2</sub>) 과 最高血壓은 低下되었다. 一般的으로 pre-season conditioning program은 效果과 있었으며 外野群과 投手群과의 差異는 없었다.

      • KCI우수등재

        자연과학편 : 안구운동(眼球運動)에 의한 근시(近視)인 개(犬)의 안근(眼筋)과 굴절(屈折)의 변화(變化)

        김창규(ChangKewKim),박기호(GeeHoPark) 한국체육학회 1993 한국체육학회지 Vol.3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rify validity of eye exercise on myopia, Subjects were sixteen eyes of myopic dog for two month. The distribution ratio between ST & FT of superior rectus and inferior oblique muscles was analysed in comparison with the change of vertical refractio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traind to eye exercise for 4 and 8 weeks, but the control group were not.Eye exercise program were composed of saccadic, smooth persuti and vestibular exercise. Vertical refraction was measured by use of retinoscopy and trial lens at 2/3 M. The distribution ratio between ST & FT of superior rectus and inferior oblique muscles was measured and stained by myosin APT technic on the pH 10.3, 4.6, 4.3. The results were as follow:(1) The difference of vertical refraction between groups did`t have any significance in respect of the peroid such as 4 and 8 weeks. But the 8-week eye exercise made the increase of myopic phenomenon more weak for the experimental group than for the control group, which showed the tendency of effects of eye exercise the change of control group was significant on p<0.001. experimental group were p<0.05 for 8 weeks which difference of two group were great. The tendency of effects of eye exercise were showed.(2) The difference of the ratio between ST and FT of two groups didn`t have any significance in respect of the period such as 4 and 8 weeks. But the 4-week eye exercise increased the ratio of FT of the superior rectus muscle in the experimental group but decreased it in the control group, which showed the tendency of effect of eye exercise.

      • KCI우수등재

        스포츠 생리학 : 운동 후 조정경기 선수의 폐기능 변화

        김창규(ChangKewKim),조홍관(HongKwanCho) 한국체육학회 1996 한국체육학회지 Vol.35 No.4

        대학조정경기 선수들의 운동 후 폐기능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12명의 일반학생과 14명의 조정경기 선수들을 대상으로 폐기능 테스트인 노력성 폐활량, 노력성 호기량 1초치, 최대호기유속 및 노력성 호기유속 등을 측정 하였다. 노력성 폐활량은 안정시, 운동후에 각각 운동선수가 비운동선수보다 다소 증가를 보이거나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노력성 호기량은 안정시, 예비운동후, 운동후 등에서 각각 운동선수가 비운동선수보다 높았고, 이에 따라 노력성 호기량 1초치도 역시 운동선수가 비운동선수보다 높게 나타났다.최대호기유속 및 노력성 호기유속 등은 운동후에 FEF 25% 만이 운동선수가 비운동선수에 비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비운동선수는 오히려 감소하거나 비슷한 수준을 나타냈다. 또한 운동시간 경과에 따른 변화는 운동선수가 다소 증가한 반면, 비운동선수는 감소하였다.이러한 결과는 체력단련이나 지구력 훈련을 통하여 노력성 폐활량은 증가하지 않는다는 선행연구들과 달리 운동선수가 다소 높거나 증가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In order to investigate of the pulmonary functions after exercise in non - athletes and athletes, 14 male athletes from rowing were tested with 12 male college students.Pulmonary function test of forced vital capacity, forced expiratory volume, and forced expiratory flow were performed using the spiro-analyzer test system. Followings were obtained by tests and analyses :1. Forced vital capacity(FVC) of resting ha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thletes of 5.12±0.25 ℓ and non-athletes of 4.36±0.18 ℓ (p< .05).After exercise FVC were higher than resting both in non-athletes(4.39±0.15 ℓ) and in athletes(5.33±0.18 ℓ, p< .05) respectively.2. Forced expiratory volume for 1 second(FEV₁) of resting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thletes of 4.62±0.19 ℓ and non-athletes of 3.70±0.22 ℓ (p< .05). On this, FEV_(1%) also came out difference between athletes of 90.23±4.16% and non-athletes of 84.86±3.53%.After exercise FEV₁ were lower than resting or were much the same as resting in non-athletes(3.59±0.20 ℓ) and athletes(4.85±0.14 ℓ) respectively.3. After exercise FEV_(25%) only was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thletes of 7.68±0.81 ℓ/sec and non-athletes of 5.01±0.45 ℓ/sec(p< .05) whereas, PEER, FEF50% and FEF75% made no difference between the two.

      • KCI우수등재

        스포츠생리학 / 트레드밀 운동프로그램이 비만자의 심폐기능 및 혈액성분에 미치는 영향

        김영일(YoungIlKim),김창규(ChangKewKim),황수관(SooKwanHwang) 한국체육학회 1999 한국체육학회지 Vol.38 No.4

        본 연구는 중장년의 비만자 10명(32-59)을 대상으로 운동프로그램 적용시켜 전과 후의 심폐기능(폐기능, 심박수, 혈압, 산소섭취량)과 혈액성분(혈청지질, 혈액량)에 어떠한 차이가 나는지를 규명하고, 중장년의 비만자들게 운동요법의 중요성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체지방률(fat %)은 운동프로그램 적용 후 유의한(p<.05) 감소를 나타냈고, 체중은 유의하지 않았지만 감소함을 나타냈다. 폐기능 중의 폐활량(VC)은 운동프로그램 적용 후 유의하지 않았으나 증가함을 보였고, 노력성호기량 1.0초율(FVE1)과 최대환기량(MVV)은 각각 유의한(p<.05), (p<.01) 증가를 보였다. 혈액성분 중의 총콜레스테롤(TCH)과 총콜레스테롤과 고밀도지단백과의 비율(TCH/HDL), 저밀도지단백질(LDL)과 중성지방(TG)은 각각 유의한(p<.01), (p<.05) 감소를 나타냈고, 고밀지단백질(HDL)은 유의하지 않았지만 증가함을 보였다. 또한 백혈구(WBC), 적혈구(RBC), 헤모글로빈(Hgb), 헤마토크리트(Hct)는 유의하지 않았지만 증가함을 보였다. 수축기혈압(SBP)은 운동프로그램 적용 후의 운동중 3-7분 유의한(p<.05)감소를 보였고, 이완기혈압(DBP)은 안정시에서 유의한(p<.05)감소를 보였다. 심박수는 운동프로그램 적용 후 운동중 5-9분에 유의한(p<.05) 감소를 보였고, 안정시와 회복기에도 유의하지 않았지만 적용 전 보다 감소하였다. 산소섭취량은 운동프로그램 적용 후 운동중 9분에 유의하게(p<.05) 증가를 나타내었다.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지구성 운동을 통하여 비만자의 심폐기능과 혈액성분이 개선되었다. 따라서 중장년의 비만자들에게 규칙적인 신체활동과 규정된 운동프로그램이 비만의 예방과 신체기능 향상에 필수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readmill exercise programs on cardiopulmonary functions and serum lipids, blood volume in adult obesity man.The subjects consisted of 10 obese adults between 32 to 59 years old and all of them had no other complications. Subjects participated in treadmill exercise programs for 12 weeks according to the exercise prescriptions. They started to exercise for 20 minutes per day, six times a week at 50% of maximum O₂ consumption(V˙O₂), and later exercised for 50 minutes at 80% of V˙O₂max which was the maximum exercise intensity of the programs(Exercise intensity has been increased gradually). The results were compared according to before, after and all the subjects.1. Body weight fat was not significant reduced, percent body fat was significantly decreased(p<.05) after exercise programs.2. Forced expiratory volume for 1 second percent and maximal voluntary ventilation were significantly increased(p<.05, p<.01), Vital capacity increased after exercise programs.3. Total cholesterol, LDL cholesterol, total cholesterol/HDL cholesterol rate and triglycerides were significantly reduced(p<.05, p<.01), and HDL cholesterol levels increased after exercise programs. also, blood volume(WBC, RBC, Hgb, Hct) not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exercise programs.4. Systolic blood pressure were significantly decreased(p<.05) during exercise between 5-7 minute, resting diastolic blood pressure were significantly decreased(p<.05) after exercise programs.5. Heart rate were significantly decreased(p<.05) during exercise between 5-7 minute after exercise programs.6. Oxygen uptake were significantly increased(p<.05) during exercise 9 minute after exercise programs.In this study, the treadmill exercise programs suitable for the obese was developed and applying this programs weight, percent body fat and serum lipid levels were reduced. thus cardiopulmonary functions were improved.

      • KCI우수등재

        운동생리학 : 유산소 운동과 저항성 운동 프로그램이 고령 여성의 심혈관계 및 견관절 등속성 근력에 미치는 영향

        김남익(NamIkKim),김영일(YoungIlKim),최건식(KunSikChoi),김창규(ChangKewKim) 한국체육학회 2001 한국체육학회지 Vol.40 No.2

        본 연구는 고령 여성들의 규칙적인 유산소 및 저항성 트레이닝 프로그램 참여에 따른 심혈관계 요인과 견관절 등속성 근력에는 어떠한 변인들이 영향을 미치는지를 구명(究明)하고, 노인들의 효과적인 트레이닝 방법을 제시하고자 고령 여성 총 10명을 대상으로 운동 프로그램 참여 전과 후의 신체조성, 운동부하 검사시 심혈관계 요인, 등속성 근력 검사시 견관절의 peak torque와 average power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신체조성 분석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안정시 심박수는 운동 프로그램 참여 후에 유의하게 감소하였고(p<0.05), 최고 심박수는 운동 프로그램 참여 후에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혈압에 있어서, 최고 수축기 혈압은 운동 프로그램 참여 후에 유의하게 감소하였고(p<0.01), 그 외 다른 요인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안정시(p<0.01), 최고 심근 산소소비량 (P<0.05)은 운동 프로그램 참여 후에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안정시, 최고 산소소비량은 운동 프로그램 참여 후에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1). 안정시, 최고 ECG ST level은 운동 프로그램 참여 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안정시, 최고 ECG ST slope는 운동 프로그램 참여 후에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운동부하 검사시 운동 지속시간은 운동 프로그램 참여 후에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1).견관절 등속성 근기능에 있어서, 60o/sec 최대 근파워 검사 결과, 왼쪽 신전근 peak torque에서만 프로그램 참여 후에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1). 180o/sec 최대 순발력 검사 결과, 신전근 왼쪽의 peak torque(p<0.05)와 average power(p<0.01)에서 프로그램 참여 후에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굴곡근에서는 왼쪽 average power에서만 프로그램 참여 후에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결과를 종합하면, 12주간 유산소 및 저항성 복합 트레이닝은 고령 여성들의 신체조성에는 유의하게 영향을 주지 못했지만, 심장 혈관계와 견관절 등속 근력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유산소 운동뿐만 아니라, 근력 운동을 병행하는 것이 호흡 순환계, 심장, 근 신경기능에 영향을 미치므로 인해 고령자들의 상해를 예방하고 고령 여성들의 트레이닝 능력과 건강유지에 기여하여 보다 활력적인 일상생활을 영위할 수 있을 것이다.한편 Cr 투여 후의 뇨량의 변화로 근육 내로의 Cr loading을 추정할 수 있어, Cr 투여 그룹을 다시 세분하여 분석한 결과, 근섬유 조성비 및 하지신근력의 결과는 서로 다르게 나타났다. This study is to catch the effects of shoulder isokinetic muscle strength, cardiovascular system on aerobic exercise and resistance strength exercise program in elderly women(65-72 years), we enrolled 10 elderly women into 12week aerobic exercise and resistance strength exercise training program. In measurements index, percent body fat and body fluid were determined by bioelectrical impedance measures. Cardiovascular system assessment included measurements of heart rate, blood pressure, myocardial oxygen uptake, oxygen uptake, ECG V5 ST levels, V5 ST slope. Shoulder isokinetic muscle strength assessment included measurements of peak torque, average power in 60o/sec and 180o/sec.After exercise program, HRrest were decreased significantly(p<0.05), and HRpeak were increased significantly(p<0.05). SBPpeak were decreased significantly(p<0.01). Also MVO₂rest(p<0.01) and MV0₂peak(p<0.05) were decreased significantly. And VO₂rest and VO₂peak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p<0.01). Exercise time also increased significantly(p<0.01). In shoulder isokinetic muscle strength, after program, peak torque, average power in 60o/sec and 180o/sec were increased.These data suggest that aerobic exercise and resistance strength exercise program in elderly women is an effective to improve cardiovascular system factors and shoulder isokinetic muscle strength

      • KCI우수등재

        스포츠 생리학 : 경사대를 이용한 신체 자세 변화시 심장기능의 변화

        고성경(SeongKyeongKo),황수관(SooKwanHwang),김덕원(DeokWonKim),김창규(ChangKewKim) 한국체육학회 1997 한국체육학회지 Vol.36 No.4

        경사대를 이용한 자세 변화시 심장 기능의 변화를 규명하기 위하여 20∼23세의 건강한 남성 6명을 선정, 임피던스 심장 기록법으로 심장기능을 측정하였다. 실험은 앙와위 안정기, 자세 변화기 그리고 앙와위 회복기의 3단계로 구분하여 각 5분씩 연속적으로 진행하였으며 실험에 채택된 자세는 0°, ±2°, ±45° 그리고 ±90°와 같이 7가지였다.연구 결과, 심박출량은 앙와위 안정기에 비해 두부 상위에서 감소하였고 두부 하위에서는 증가하였는데, 두부 상위에서의 변화는 심박수와 일회박출량의 변화에 영향을 받은 것이며 두부 하위에서는 주로 일회박출량의 변화에 영향을 받았다. 각 측정 항목들은 신체 자세에 따라서 그 변화의 크기가 달랐는데 ±45°, ±90°의 자세에서는 자세 변화 5초부터 심박수, 일회박출량, RPP 및 심근의 수축도가 뚜렷하게 변화하였으나, 0°, ±2°의 경우에는 안정시에 비해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본 연구 결과를 볼 때, 5분 동안의 자세 변화시 심박출량을 결정하는 주된 요소는 심박수와 일회박출량이나 주로 일회박출량의 영향이 큰 것으로 생각되며 이는 체액의 이동에 따른 효과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In order to study the cardiac functional responses on postural changes by tilt table, 6 males were selected, and impedance cardiogram were recorded. An experiment was continuously conducted based on resting in a supine position, changing posture and recovering in supine for each 5 min Postural changes consisted of seven tilting angles ; 0°, ±2°, ±45° and ±90°1. While the cardiac output was decreased from that of supine resting in head up posture because of decreasing stroke volume and increasing heart rate, cardiac output was increased by increasing stroke volume during head down posture.2. At ±45° and ±90° postures, measured parameters were significantly changed in 5 sec after postural changes, but at 0° and ±2° postures, measured parameters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at of supine resting state.The cardiac output is the product of heart rate and stroke volume, but during postural changes stroke volume by fluid shift was main affecter to cardiac output. In conclusion, responses of cardiac function during postural changes are like to start with postural change, and magnitude of cardiac response is like to relate with the tilting ang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